[加減四物湯][가감사물탕]

治便血亦 治腸風

側柏葉, 生地黃, 當歸, 川芎 各一錢

枳殼, 荊芥, 槐花炒, 甘草灸 各五分

右犫作一貼 薑三片, 烏梅一箇 煎服[得效]

피똥을 누는 것을 치료하는데 장풍(腸風)도 낫게 한다.

측백잎, 생지황,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4g,

지각, 형개, 홰나무꽃(괴화, 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오매 1개와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經四物湯][청경사물탕]  (0) 2023.07.15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0) 2023.07.14
[四物湯][사물탕]  (0) 2023.07.12
[紫草飮][자초음]  (0) 2023.07.11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四物湯][사물탕]

通治血病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 各一錢二分半

右犫作一貼 水煎服[局方]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一方 春倍川芎, 夏倍芍藥, 秋倍地黃, 冬倍當歸

春加防風, 夏加黃芩, 秋加天門, 冬冬加桂枝[綱目]

어떤 처방은 봄에는 천궁를 곱으로 넣고 여름에는 백작약을 곱으로 넣으며

가을에는 숙지황을 곱으로 넣고 겨울에는 당귀를 곱으로 넣어 쓰게 되어 있다.

봄에는 방풍을 넣고 여름에는 속썩은풀(황금)을 넣으며

가을에는 천문동을 넣고 겨울에는 계지를 넣어서 쓴다[강목].

 

當歸和血歸經, 芍藥凉血補腎, 生地黃生血寧心,

熟地黃補血滋腎, 川芎則行血通肝[丹心]

당귀는 피를 고르게 하여 본경으로 돌아가게 하며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피를 서늘하게 하고 신()을 보하며

생지황은 피를 생기게 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찐지황(숙지황)은 피를 보하고 신음을 불쿼주며

궁궁이(천궁)는 피를 잘 돌게 하고 간기(肝氣)를 통하게 한다[단심].

 

劉宗厚曰 欲求血藥其四物之謂乎夫

川芎血中氣藥也 通肝經性

味辛散能 行血滯於氣也

地黃血中血藥也 通腎經性

味甘寒能生眞陰之虛者也

當歸分三治血中主藥也

通肝經性味辛溫

全用能活血各歸其經也

芍藥陰分藥也通脾經性

味酸寒能凉血 又治血虛腹痛

若求陰藥之屬必於此而取則焉

유종후(劉宗厚)가 혈병에 쓰는 약을 구할 때에는 먼저 사물탕을 찾아야 한다고 하였다.

궁궁이(천궁)는 혈약(血藥)이면서도 기약(氣藥)인데 간경(肝經)을 통하게 하며

맛이 맵고 흩어지게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기로 피가 막힌 것을 잘 돌게 한다.

지황은 혈약 가운데서도 혈약인데 신경을 잘 통하게 하고

맛이 달며 성질이 차서 진음(眞陰)이 부족한 것을 생기게 한다.

당귀는 3부분으로 나누어 쓰는데 혈약 가운데서도 주약이다.

이것은 간경을 통하게 하는데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다.

전체를 쓰면 피가 잘 돌아 제각기 해당한 경맥에 가게 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음분약(陰分藥)이며 비경(脾經)을 통하게 하는데

맛이 시고 성질이 차서 피를 서늘하게 하고 피가 부족하여 배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음증(陰證)에 쓰는 약을 구할 때에는 반드시 이 약을 찾아야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四物湯][가미사물탕]  (0) 2023.07.14
[加減四物湯][가감사물탕]  (0) 2023.07.13
[紫草飮][자초음]  (0) 2023.07.11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紫草飮][자초음]

治痘瘡出不快三四日 隱隱將出未出

紫草二兩

細犫以 百沸湯一大椀沃之 以物盖定勿令氣出候

溫服 半合或 一合痘卽出[本草]

구슬이 시원히 돋지 않고 3-4일 동안 은근히 내돋을 듯하면서도 돋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지치 80g.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끓인 물 1사발에 불려 뚜껑을 덮어서

약 기운이 나가지 않게 하였다가 따뜻해지면 반 홉이나 1홉씩 먹이면 구슬이 곧 내돋는다[본초].

 

治痘 紫草皆當用茸有發出之攻

今人用根 反利大便大便泄者勿用[辨疑]

마마를 치료할 때에 지치의 전초를 쓰되 반드시 싹을 써야 한다.

그것은 내돋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 사람들은 뿌리를 써서 오히려 설사하게 하는데 설()할 때는 써서는 안 된다[변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減四物湯][가감사물탕]  (0) 2023.07.13
[四物湯][사물탕]  (0) 2023.07.12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絲瓜湯][사과탕]

發痘疹最妙

取絲瓜連皮子燒存性

爲末 砂糖溫水調下半匙許

或以紫草茸 甘草煎湯調服 尤妙.

今人 水煎服 亦得[丹心]

마마와 홍역 때에 구슬이나 꽃이 내돋게 하는 데 제일 좋다.

수세미오이(사과, 껍질과 씨째로 약성이 남게 태운 것)

가루를 내어 반 숟가락씩 사탕(砂糖)을 넣은 더운물에 타 먹이거나

자초용과 감초를 두고 달인 물에 타 먹이면 더욱 좋다.

지금 사람들은 물에 달여 먹이는데 그것도 좋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사물탕]  (0) 2023.07.12
[紫草飮][자초음]  (0) 2023.07.11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三豆飮][삼두음]

赤小豆, 黑豆, 菉豆 各一升

甘草五錢

右水煮熟 逐日飮汁 喫豆任意服

已染則輕解 未染者 服之過七日 永不出[得效]

붉은팥, 검정콩(흑두), 녹두 각각 1,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매일 먹이되 콩은 마음대로 먹게 한다.

이미 전염된 것은 경하게 앓고 전염되지 않았을 사람은

7일 이상 먹이면 일생 동안 걸리지 않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草飮][자초음]  (0) 2023.07.11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黑散子][흑산자]

解痘毒 初出服此 便消不出

臘月猪糞 甁子盛瓦片

盖口火禭存性放冷 硏細 每二錢 新水調下[類聚]

마마독을 푼다.

구슬이 처음 나왔을 때에 이것을 먹이면 삭아지고 나오지 않는다.

음력 섣달의 저분(猪糞)을 병에 넣고 기와조각으로 아가리를 덮은 후

약성이 남게 불에 달구어 식혀서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8g씩 물에 타 먹인다[유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絲瓜湯][사과탕]  (0) 2023.07.07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神功散][신공산]

治痘毒太盛 以此解之 毒氣卽散 陷者卽起

川芎, 當歸, 升麻, 甘草 各六兩

右爲㵋末 一起取 東流水 煎三次

每次 用水三椀 文武火煎至一 椀半濾下

又煎二次共藥水四椀半 聽用

又用好朱砂四兩 以絹袋懸入磁罐 加煎藥水封固水煮盡爲度

取出焙乾爲末 以紙羅過聽用再以引經散用姎米二三合

以紙包緊 外用黃泥固濟 入火煉紅 冷定打碎

取米黃色者用之 白色者不用 每服

以朱砂一錢 米末一錢 煉蜜二匙 好酒二匙

百沸湯 一小鍾共一處 調勻 用茶匙 活盡取效[醫鑑]

마마독이 아주 심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 약으로 독기를 풀어 주고 구슬이 꺼져 들어간 것은 곧 부풀어 오르게 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승마, 감초 각각 2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강물에 넣고 달이기를 세번 하되

한번에 물 3사발씩 붓고 약하지도 세지도 않은 불에 달인다.

한 사발 반이 되면 약물을 걸러 낸 다음 찌꺼기를 다시 달이는데

이렇게 두번 더해서 약물이 모두 4사발 반이 되게 한 다음

약탕관에 붓고 좋은 주사(朱砂) 160g을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약탕관 안에 달아 매고 꼭 봉한다.

이것을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 다음 꺼내어 약한 불기운에 말린 후

가루를 내어 종이에 놓고 까불어서 쓴다.

그리고 인경(引經)약으로는 찹쌀 2-3홉을 종이에 단단히 싼 다음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바른다.

이것을 벌겋게 구워 식혀서 깨뜨린 다음 꺼내어

노랗게 된 찹쌀은 쓰고 흰 것은 쓰지 않는다.

한번에 주사 4g, 찹쌀가루 4g, 졸인 꿀 2숟가락, 좋은 술 2숟가락 등을

끓인 물 1종지에 넣고 고루 섞어서 찻숟가락으로 먹인다.

약을 다 먹으면 효력이 난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豆飮][삼두음]  (0) 2023.07.06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7.01

[四齒散][사치산]

治痘不紅不起發 或黑陷焦枯

人齒 猫齒 狗齒 猪齒 各等分

盛砂鍋內火禭 候冷 硏爲細末 每取五分 熱酒調下

一二歲兒服 二三分, 五六歲兒服 四五分 取效如神

盖黑證屬腎 四齒亦屬腎 故能發腎毒

又猫齒 能解熱毒

若無猫齒 只用 人齒亦可 但不如四齒全方[入門]

구슬이 붉지 않고 물이 실리지 않거나 거멓게 꺼져 들어가고 윤기가 전혀 없는 것을 치료한다.

고양이 이빨, 개 이빨, 돼지 이빨 각각 같은 양.

위의 것들을 사기그릇에 담아서 불에 달구어 식은 다음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2g씩 데운 술에 타 먹인다.

1-2살 어린이에게는 0.8-1.2g, 5-6살 나는 어린이에게는 1.6-2g을 먹이면 효과가 좋다.

대개 거멓게 꺼져 들어간 것은 신에 속하는 증상이고

이 약도 신에 속하기 때문에 신의 독을 몰아낼 수 있다.

또 고양이 이빨은 능히 열독을 잘 푼다.

만일 고양이 이빨이 없으면 다른 것을 쓰는 것도 좋으나 3가지를 다 쓰는 것만 못하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散子][흑산자]  (0) 2023.07.05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7.01
[加味犀角消毒飮][가미서각소독음]  (0) 2023.06.30

[回生散][회생산]

治囍亂 吐瀉過多 但一點

胃氣存者 服之回生

藿香, 陳皮 各五錢

右犫作一貼水 煎溫服[入門]

곽란( 으로 몹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기(胃氣)가 조금이라도 있을 때 먹어야 한다.

곽향, 귤껍질(陳皮)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功散][신공산]  (0) 2023.07.04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7.01
[加味犀角消毒飮][가미서각소독음]  (0) 2023.06.30
[加味消毒飮][가미소독음]  (0) 2023.06.29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治婼吐血不止 及上焦瘀血

面黃 大便黑 能消化瘀血

生地黃三錢, 赤芍藥二錢

犀角戮, 牡丹皮 各一錢

右犫作一貼 水煎服[入門]

回春 加 當歸, 黃芩, 黃連 各一錢尤佳

코피와 피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과 상초(上焦)에 어혈(瘀血)이 있어

얼굴이 누렇고 대변이 검은 것을 치료하는 데 어혈을 삭힌다.

생지황 12g, 함박꽃뿌리(작약) 8g,

서각(가루낸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회춘에는 당귀,속썩은풀(황금), 황련을 각각 4g씩 넣어 쓰면 더 좋다고 씌어 있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齒散][사치산]  (0) 2023.07.03
[回生散][회생산]  (0) 2023.07.02
[加味犀角消毒飮][가미서각소독음]  (0) 2023.06.30
[加味消毒飮][가미소독음]  (0) 2023.06.29
[消毒飮][소독음]  (0) 2023.06.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