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鼠粘子湯][서점자탕]

治痘疹稠密 身表熱 急用此 以防後患

地骨皮五分

柴胡, 連翹, 黃芩, 黃妉 各三分半

鼠粘子, 當歸, 甘草 各二分半

右犫作一貼 水煎服[東垣]

 

마마의 구슬이 돋은 것이 배면서[稠密] 몸 겉에 열이 있을 때에는

빨리 이 약을 써서 뒤에 올 수 있는 증을 방지해야 한다.

지골피 2g,

시호, 연교, 속썩은풀(황금), 단너삼(황기) 각각 1.4g,

우엉씨(서점자), 당귀, 감초 각각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樺皮飮子][화피음자]  (0) 2023.06.06
[胡荽酒][호유주]  (0) 2023.06.05
[連翹升麻湯][연교승마탕]  (0) 2023.06.03
[絲瓜湯][사과탕]  (0) 2023.06.02
[紫草飮][자초음]  (0) 2023.06.01

[連翹升麻湯][연교승마탕]

治瘡疹一發便密 如蠶種 或如糠粃 毒盛者

卽 升麻葛根湯(方見寒門) 加連翹一味也[正傳]

구슬이 돋는 것이 몹시 배서[便密] 누에알 같거나 쌀겨 같으며 독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즉 승마갈근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연교 한 가지를 더 넣은 것이다[정전].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治瘟病 及 時令感冒

葛根8g

白芍藥 升麻 甘草 4g

剉作一貼 入薑三葱二 煎服(局方).

온병과 돌림감기(四時感冒)를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파밑(총백) 2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胡荽酒][호유주]  (0) 2023.06.05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6.04
[絲瓜湯][사과탕]  (0) 2023.06.02
[紫草飮][자초음]  (0) 2023.06.01
[快癍散][쾌반산]  (0) 2023.05.31

[絲瓜湯][사과탕]

發痘疹最妙

取絲瓜 連皮子 燒存性 爲末

砂糖溫水 調下 半匙許 或以紫草茸 甘草 煎湯調服 尤妙

今人 水煎服 亦得[丹心]

마마와 홍역 때에 구슬이나 꽃이 내돋게 하는 데 제일 좋다.

수세미오이(사과, 껍질과 씨째로 약성이 남게 태운 것)를 가루를 내어

반 숟가락씩 사탕(砂糖)을 넣은 더운물에 타 먹이거나 자초용과 감초를 두고

달인 물에 타 먹이면 더욱 좋다.

지금 사람들은 물에 달여 먹이는데 그것도 좋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6.04
[連翹升麻湯][연교승마탕]  (0) 2023.06.03
[紫草飮][자초음]  (0) 2023.06.01
[快癍散][쾌반산]  (0) 2023.05.3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0) 2023.05.30

[紫草飮][자초음]

治痘瘡出不快 三四日 隱隱將出 未出

紫草二兩

細犫 以百沸湯一大椀 沃之 以物盖定 勿令氣出

候溫服半合 或一合 痘卽出[本草]

구슬이 시원히 돋지 않고 3-4일 동안

은근히 내돋을 듯하면서도 돋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지치 80g.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끓인 물 1사발에 불려 뚜껑을 덮어서

약 기운이 나가지 않게 하였다가

따뜻해지면 반 홉이나 1홉씩 먹이면 구슬이 곧 내돋는다[본초].

 

治痘紫草 皆當用茸 有發出之攻

今人用根 反利大便 大便泄者 勿用[辨疑]

마마를 치료할 때에 지치의 전초를 쓰되 반드시 싹을 써야 한다.

그것은 내돋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 사람들은 뿌리를 써서 오히려 설사하게 하는데 설()할 때는 써서는 안 된다[변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連翹升麻湯][연교승마탕]  (0) 2023.06.03
[絲瓜湯][사과탕]  (0) 2023.06.02
[快癍散][쾌반산]  (0) 2023.05.3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0) 2023.05.30
[四聖散][사성산]  (0) 2023.05.29

[快癍散][쾌반산]

治痘出不快 或被風復入

紫草茸, 蟬殼, 人參, 白芍藥 各六分

木通三分半

甘草二分半

右犫 水煎服[入門]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풍사를 받아서 돋았던 것이 도로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자초용, 매미허물(선각), 인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2.4g,

으름덩굴 1.4g,

감초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絲瓜湯][사과탕]  (0) 2023.06.02
[紫草飮][자초음]  (0) 2023.06.0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0) 2023.05.30
[四聖散][사성산]  (0) 2023.05.29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27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治痘出不快 或陷伏倒櫏 一切惡候

紫草茸, 木通, 木香, 黃妉, 川芎, 人參 甘草 各四分

蟬殼二分

右犫作一貼 入姎米百粒 水煎服 能養而發之[入門]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속으로 꺼져 들어가는 일체 좋지 못한 증후를 치료한다.

자초용, 으름덩굴, 목향, 단너삼(황기), 궁궁이(천궁), 인삼, 감초 각각 1.6g,

매미허물(선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이면 원기를 보해서 구슬이 잘 돋게 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草飮][자초음]  (0) 2023.06.01
[快癍散][쾌반산]  (0) 2023.05.31
[四聖散][사성산]  (0) 2023.05.29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27
[犀角消毒飮][서각소독음]  (0) 2023.05.26

[四聖散][사성산]

治痘瘡出不快 及倒櫏

紫草茸, 木通, 枳殼, 甘草 各等分

右爲㵋末 每一錢 水煎服[錢乙]

疹痘 最要 大小分解 錢氏四聖散 用木通 枳殼極好[綱目]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못한 것과 나왔다가 꺼져 들어가는 것을 치료한다.

자초용, 으름덩굴, 지각,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물에 달여 먹인다[전을].

마마 때에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이때는 전씨사성산(錢氏四聖散)에 으름덩굴과 지각을 넣어 쓴 것은 아주 잘 된 처방이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快癍散][쾌반산]  (0) 2023.05.31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0) 2023.05.30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27
[犀角消毒飮][서각소독음]  (0) 2023.05.26
[化毒湯][화독탕]  (0) 2023.05.25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凡痘出速且密

或七日後 壯熱毒盛 氣弱聲啞 此藥主之

防風一錢

地骨皮, 黃妉, 白芍藥, 枳殼, 荊芥穗, 鼠粘子 各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易老]

대체로 구슬이 빨리 나오면서 배게[] 나오고

7일 후에도 열이 심하거나 독이 심하고 기운이 약하며 목이 쉰 데는 이 약을 주로 쓴다.

방풍 4g,

지골피, 단너삼(황기),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각, 형개수, 우엉씨(서점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역로].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四聖散][가미사성산]  (0) 2023.05.30
[四聖散][사성산]  (0) 2023.05.29
[犀角消毒飮][서각소독음]  (0) 2023.05.26
[化毒湯][화독탕]  (0) 2023.05.25
[消毒飮][소독음]  (0) 2023.05.24

[犀角消毒飮][서각소독음]

治痘疹未能快透 或已出熱 尙未解 急服此藥

鼠粘子二錢

荊芥穗, 防風, 黃芩 各一錢

犀角屑, 甘草 各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入門]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못하거나 이미 나왔으나

열이 아직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는 빨리 이 약을 먹인다.

우엉씨(서점자) 8g,

형개수, 방풍,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서각가루,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聖散][사성산]  (0) 2023.05.29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27
[化毒湯][화독탕]  (0) 2023.05.25
[消毒飮][소독음]  (0) 2023.05.24
[神解湯][신해탕]  (0) 2023.05.19

[化毒湯][화독탕]

治痘出不快 且令稀少

紫草茸一錢

升麻, 甘草 各五分

右犫作一貼 入姎米五十粒 同煎服 神效[得效]

구슬이 시원하게 내돋지 않거나 드물게 나온 것을 치료한다.

자초용 4g,

승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50알과 함께 달여 먹이면 잘 낫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27
[犀角消毒飮][서각소독음]  (0) 2023.05.26
[消毒飮][소독음]  (0) 2023.05.24
[神解湯][신해탕]  (0) 2023.05.19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05.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