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消毒飮][소독음]

治痘不快出 及胸前稠密 急用三四服 快透解毒 神效

鼠粘子二錢, 荊芥穗一錢,

生甘草, 防風 各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

或加 山擀子, 酒芩, 紫草服

或和犀角磨汁服 尤佳[醫鑑]

구슬이 시원히 내돋지 않거나 앞가슴에 배게[稠密] 난 것을 치료하는데

빨리 3-4첩을 써서 시원히 내돋게 해서 독을 풀면 잘 낫는다.

우엉씨(대력자) 8g, 형개수 4g, 감초(생것), 방풍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

혹 찔광이(산사),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 지치 등을 더 넣어 먹인다.

혹 서각즙을 타 먹이면 더욱 좋다[의감].

 

[消毒飮][소독음]

治瞼生風粟

大黃氖, 荊芥穗 各二錢

惡實, 甘草 各一錢

右犫水煎服[得效]

一名, [加味荊黃湯][入門]

검생풍속(瞼生風粟)을 치료한다.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형개수 각각 8g,

우엉씨(대력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일명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이라고도 한다[입문].

 

[消毒飮][소독음]

治便毒

三四日可消

爣角刺, 金銀花, 防風, 當歸, 大黃, 瓜蔞仁, 甘草 各一錢三分

右犫作一貼 水酒各半 煎服仍頻提疦頂中髮立效[丹心]

변독을 치료하는데 3-4일 쓰면 삭는다.

주염나무가시(조각자), 금은화, 방풍, 당귀, 대황, 하늘타리씨(과루인), 감초 각각 5.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과 술을 각각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서 먹은 다음 정수리의 머리털을 자주 잡아당기면 잘 낫는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犀角消毒飮][서각소독음]  (0) 2023.05.26
[化毒湯][화독탕]  (0) 2023.05.25
[神解湯][신해탕]  (0) 2023.05.19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05.18
[紅綿散][홍면산]  (2) 2023.05.17

[神解湯][신해탕]

治發熱欲出痘而腰痛者

柴胡6g,  乾葛4g

麻黃 白茯苓 升麻 防風 3g,  甘草2g

剉作一貼 水煎服 溫覆出汗 不汗再進一服

免出腎經之痘 此法甚奇(醫鑒).

열이 나면서 구슬이 돋으려고 할 때에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시호 6g, 칡뿌리(갈근) 4g,

마황, 흰솔풍령(백복령), 승마, 방풍 각각 3.2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 다음 덥게 덮어 주어 땀을 내게 한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인다.

()과 관련된 마마는 생기지 않게 되는데 이 방법이 아주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毒湯][화독탕]  (0) 2023.05.25
[消毒飮][소독음]  (0) 2023.05.24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05.18
[紅綿散][홍면산]  (2) 2023.05.17
[加味敗毒散][가미패독산]  (0) 2023.05.16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治熱毒太盛 狂言煩渴 及痘瘡紅紫黑陷

滑石240g硏水飛

甘草細末24g

辰砂水飛12g

片腦1g

另硏別入左和勻 春秋 以燈心煎湯調下

夏月 以新汲水調下

三五歲兒 服4g 十歲 服8g

發熱之初 用加味敗毒散調下 能解毒稀痘

出痘紅紫者 亦效(醫鑒)

열독이 지나치게 성하여 미친 말을 하고 번갈이 나는 것과

구슬이 검붉고 속으로 꺼져 들어간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갈아서 수비한 것) 240g,

감초(보드랍게 가루낸 것) 24g,

주사(수비한 것) 12g,

용뇌(따로 가루낸 것) 1.2g.

위의 약들을 함께 섞어서 봄과 가을에는 골풀속살(등심) 달인 물에 타 먹이고

여름에는 새로 길어온 물에 타 먹이되

3-5살 난 어린이에게는 4g, 10살 난 어린이에게는 8g씩 먹인다.

열이 날 초기에는 가미패독산을 타 먹이면 독을 풀고

구슬이 드물게 나며 구슬이 자줏빛이 나는 데도 좋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消毒飮][소독음]  (0) 2023.05.24
[神解湯][신해탕]  (0) 2023.05.19
[紅綿散][홍면산]  (2) 2023.05.17
[加味敗毒散][가미패독산]  (0) 2023.05.16
[參蘇飮][삼소음]  (0) 2023.05.15

[紅綿散][홍면산]

熱盛發驚搐

全蝎, 麻黃, 荊芥穗, 天麻, 甘草 2g

剉作一貼 更加薄荷 紫草 蟬殼 水煎服(醫鑒).

전갈, 마황, 형개수, 천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 데 또 박하, 지치, 매미허물(선각) 등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解湯][신해탕]  (0) 2023.05.19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05.18
[加味敗毒散][가미패독산]  (0) 2023.05.16
[參蘇飮][삼소음]  (0) 2023.05.15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5.14

[加味敗毒散][가미패독산]

發熱 似傷寒 未辨疑似

柴胡 前胡 羌活 獨活 防風 荊芥 薄荷 枳殼 桔梗 川芎 天麻 地骨皮 1g

剉作一貼 宜加紫草 蟬殼 紫蘇 麻黃 葱白煎服 表汗之本方 除參苓 恐助火也(醫鑒).

시호, 전호, 강호리(강활), 땃두릅, 방풍, 형개, 박하, 지각,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천마, 지골피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지치, 매미허물(선각), 차조기잎(자소엽),

마황, 파밑(총백) 등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인 다음 약간 땀이 나게 한다.

패독산 본방에서 인삼과 솔풍령을 빼는 것은 화()를 도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六一散][가미육일산]  (0) 2023.05.18
[紅綿散][홍면산]  (2) 2023.05.17
[參蘇飮][삼소음]  (0) 2023.05.15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5.14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11

[參蘇飮][삼소음]

治感傷風寒 頭痛 發熱 咳嗽

及內因七情 痰盛胸滿 潮熱

人蔘 紫蘇葉 前胡 半夏 乾葛 赤茯苓4g

陳皮 桔梗 枳殼 甘草3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簡易).

풍한(風寒)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기침이 나는 것과

속으로 7(七情)에 상하여 담이 성해져 가슴이 그득하고 조열(潮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차조기잎(자소엽), 전호, 끼무릇(반하), 칡뿌리(갈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지각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간이].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綿散][홍면산]  (2) 2023.05.17
[加味敗毒散][가미패독산]  (0) 2023.05.16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5.14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11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5.10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治瘟病 及 時令感冒

葛根8g

白芍藥 升麻 甘草 4g

剉作一貼 入薑三葱二 煎服(局方).

온병과 돌림감기(四時感冒)를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승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파밑(총백) 2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敗毒散][가미패독산]  (0) 2023.05.16
[參蘇飮][삼소음]  (0) 2023.05.15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11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5.10
[龍鳳膏][용봉고]  (0) 2023.05.04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凡痘出速且密  或七日後壯熱毒盛  氣弱聲啞  此藥主之

防風一錢

地骨皮, 黃妉, 白芍藥, 枳殼, 荊芥穗, 鼠粘子 各五分

右犫作一貼 水煎服[易老]

대체로 구슬이 빨리 나오면서 배게[] 나오고 7일 후에도 열이 심하거나

독이 심하고 기운이 약하며 목이 쉰 데는 이 약을 주로 쓴다.

방풍 4g,

지골피, 단너삼(황기),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지각, 형개수, 우엉씨(서점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역로].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蘇飮][삼소음]  (0) 2023.05.15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5.14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5.10
[龍鳳膏][용봉고]  (0) 2023.05.04
[油飮子][유음자]  (0) 2023.05.03

[鼠粘子湯][서점자탕]

治耳內生腫紅如櫻桃極痛

連翹, 片芩酒炒, 玄參, 桔梗, 梔子酒炒, 鼠粘子炒, 草龍膽酒炒, 板藍根(卽焏子), 生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 水煎 食後服 隨飮酒一二盞[醫鑑]

귀 안이 앵두알처럼 벌겋게 붓고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연교,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현삼, 도라지(길경), 산치자(술에 축여 볶은 것), 우엉씨(대력자, 닦은 것), 용담초(술에 축여 볶은 것), 판람근(청대의 원료다), 감초(생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은 다음 술을 1-2잔 마신다[의감].

 

[東垣鼠粘子湯]

治耳內痛生瘡

桔梗一錢半,

黃妉, 柴胡 各七分

鼠粘子, 連翹, 生乾地黃酒炒, 當歸尾, 黃芩生, 甘草灸, 甘草 各五分

昆布, 蘇木, 黃連, 蒲黃, 草龍膽 各三分

桃仁三箇, 紅花一分

右犫作一貼 水煎食後服[東垣]

귀 안이 아프고 헌데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6g,

황기, 시호 각각 2.8g,

우엉씨(대력자), 연교, 생건지황(술에 축여 볶은 것), 당귀(잔뿌리), 속썩은풀(황금), 감초(생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다시마(곤포), 소목, 황련, 부들꽃가루(포황), 용담초 각각 1.2g,

복숭아씨(도인) 3, 잇꽃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升麻葛根湯][승마갈근탕]  (0) 2023.05.14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11
[龍鳳膏][용봉고]  (0) 2023.05.04
[油飮子][유음자]  (0) 2023.05.03
[三豆飮][삼두음]  (0) 2023.05.03

[龍鳳膏][용봉고]

烏鷄卵一箇 地龍細小活者一條 以鷄卵開一小竅 入地龍在內

皮紙糊其竅 飯鍋上蒸熟 去地龍與兒食之

每歲 立春日 食一枚 終身不出痘疹

覺鄕隣 有此證流行 食一二枚 亦效(正傳).

오계의 알1개에 작은구멍을 뚫고 산지렁이(지룡, 작은것) 한마리를 그속에 넣는다.

그 다음 피지(皮紙)에 풀을 발라 구멍을 막고

밥가마에 쪄서 지렁이는 버리고 달걀만 어린이에게 먹이되

해마다 입춘 날에 1개씩 먹이면 일생 동안 마마를 앓지 않는다.

또 지방에서 마마가 유행할 때에 만들어 1-2개 먹이면 좋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解毒防風湯][해독방풍탕]  (0) 2023.05.11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5.10
[油飮子][유음자]  (0) 2023.05.03
[三豆飮][삼두음]  (0) 2023.05.03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05.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