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治諸瘡

生地黃 赤芍藥 川芎 當歸 防風 各三分

黃芩 薄荷 各二分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한다.

생지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방풍 각각 1.2g,

속썩은풀(황금), 박하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腎丸][설신환]  (0) 2023.04.25
[滋腎丸][자신환]  (0) 2023.04.25
[大連翹飮][대연교음]  (0) 2023.04.23
[牛黃散][우황산]  (0) 2023.04.23
[泥金膏][이금고]  (0) 2023.04.22

[大連翹飮][대연교음]

治諸瘡

甘草四分

柴胡 黃芩 荊芥 各三分

連翹 車前子 瞿麥 滑石 惡實 赤芍藥 梔子 木通 當歸 防風 各二分

蟬殼二分半

剉作一貼 入竹葉二片 燈心10莖 水煎服(醫鑒).

여러 가지 헌데를 치료한다.

감초 2g,

시호, 속썩은풀(황금), 형개 각각 1.5g,

연교, 차전자, 구맥, 활석, 우엉씨(악실), 적작약, 산치자, 으름덩굴(목통), 당귀, 방풍 각각 1g,

매미허물(선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참대잎 2잎과 골풀속살(등심초) 10오리를 놓고 물에 달여 먹인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滋腎丸][자신환]  (0) 2023.04.25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4.23
[牛黃散][우황산]  (0) 2023.04.23
[泥金膏][이금고]  (0) 2023.04.22
[氷黃散][빙황산]  (0) 2023.04.22

[牛黃散][우황산]

小兒諸瘡

牛黃, 片腦, 鵬砂 各一分

辰砂, 雄黃, 靑黛 各二分

黃連, 黃栢末 各八分焰硝一錢半

爲末 每少許糝之(醫鑒).

우황, 용뇌, 붕사 각각 0.4g,

주사, 석웅황(웅황), 청대 각각 0.8g,

황련, 황백가루 각각 3.2g, 염초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조금씩 뿌려 준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4.23
[大連翹飮][대연교음]  (0) 2023.04.23
[泥金膏][이금고]  (0) 2023.04.22
[氷黃散][빙황산]  (0) 2023.04.22
[拔毒散][발독산]  (0) 2023.04.21

[泥金膏][이금고]

治丹毒熱瘭 無名腫毒

埽蚓糞二分, 焰硝一分

新汲水 濃調敷上(回春).

단독과 열이 있는 헌데와 이름 모를 여러 가지 종독을 치료한다.

구인분 0.8g, 염초 0.4g.

위의 약들을 새로 길어 온 물로 되게 개어 붙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連翹飮][대연교음]  (0) 2023.04.23
[牛黃散][우황산]  (0) 2023.04.23
[氷黃散][빙황산]  (0) 2023.04.22
[拔毒散][발독산]  (0) 2023.04.21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23.04.21

[氷黃散][빙황산]

治丹毒

焰硝 大黃末 各五錢

井水調勻 鷄羽掃塗(回春).

단독을 치료한다.

염초, 대황가루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우물물로 개어 닭의 깃으로 바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黃散][우황산]  (0) 2023.04.23
[泥金膏][이금고]  (0) 2023.04.22
[拔毒散][발독산]  (0) 2023.04.21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23.04.21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4.21

[拔毒散][발독산]

治丹毒遊走 焮熱

熱寒水石二兩三錢石膏一兩黃栢 甘草 各三錢

爲末 水調塗之

芭蕉汁調 尤妙(入門).

단독이 퍼져 나가면서 몹시 다는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 92g, 석고 40g, 황백,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물로 개어 바른다.

파초즙으로 개어 바르는 것이 더욱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泥金膏][이금고]  (0) 2023.04.22
[氷黃散][빙황산]  (0) 2023.04.22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23.04.21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4.21
[溫脾丹][온비단]  (0) 2023.04.20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治血熱

大黃蒸 當歸 赤芍藥 甘草灸 各一錢二分半

剉作一貼 入薄荷10葉 水煎服(入門).

一名, [淸凉飮子](局方)

혈열(血熱)을 치료한다.

대황(찐 것),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닦은 것)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박하 10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일명 청량음자(淸凉飮子)라고도 한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氷黃散][빙황산]  (0) 2023.04.22
[拔毒散][발독산]  (0) 2023.04.21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4.21
[溫脾丹][온비단]  (0) 2023.04.20
[木香半夏丸][목향반하환]  (0) 2023.04.20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治衄吐血不止 及上焦瘀血 面黃 大便黑 能消化瘀血

生地黃三錢, 赤芍藥二錢,

犀角戮 牡丹皮 各一錢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回春 加 當歸 黃芩 黃連 各一錢 尤佳

코피와 피를 토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과 상초(上焦)에 어혈(瘀血)이 있어

얼굴이 누렇고 대변이 검은 것을 치료하는 데 어혈을 삭힌다.

생지황 12g, 함박꽃뿌리(작약) 8g,

서각(가루낸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회춘에는 당귀,속썩은풀(황금), 황련을 각각 4g씩 넣어 쓰면 더 좋다고 씌어 있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拔毒散][발독산]  (0) 2023.04.21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23.04.21
[溫脾丹][온비단]  (0) 2023.04.20
[木香半夏丸][목향반하환]  (0) 2023.04.20
[瀉肺散][사폐산]  (0) 2023.04.19

[溫脾丹][온비단]

治滯頤冷證

半夏丁香 20g

白朮 靑皮 乾薑 10g

半夏麴, 丁香 各五錢

白朮, 靑皮, 乾薑 各二錢半

爲末 糊丸黍米大 米飮下1020(湯氏).

반하국, 정향 각각 20g,

흰삽주(백출), 선귤껍질, 건강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미음으로 먹인다[탕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23.04.21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4.21
[木香半夏丸][목향반하환]  (0) 2023.04.20
[瀉肺散][사폐산]  (0) 2023.04.19
[瀉白散][사백산]  (0) 2023.04.19

[木香半夏丸][목향반하환]

治冷涎滯頤

木香, 半夏麴, 丁香 各五錢

白薑, 白朮, 靑皮, 陳皮 各二錢半

爲末 蒸餠和丸 麻子大 米湯 灌下(入門).

냉연체이를 치료한다.

목향, 반하국, 정향 각각 20g,

건강, 흰삽주(백출),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미음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犀角地黃湯][서각지황탕]  (0) 2023.04.21
[溫脾丹][온비단]  (0) 2023.04.20
[瀉肺散][사폐산]  (0) 2023.04.19
[瀉白散][사백산]  (0) 2023.04.19
[百合丹][백합단]  (0) 2023.04.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