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油飮子][유음자]

小兒陽盛無陰 以制頭髮竪直 飮食減少 此伏熱之兆 鄕隣有痘證

取眞麻油一升 逐日飮之 令盡則永不出痘(正傳).

양기(陽氣)가 성하고 음기(陰氣)가 억제되지 못하여

어린이의 머리칼이 꼿꼿이 서며 음식을 적게 먹는 것은 열이 잠복해 있는 것이다.

마을에 마마가 유행할 때에는 참기름을 날마다 먹여서

1되를 다 먹이면 일생 동안 이런 병에 걸리지 않는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鼠粘子湯][서점자탕]  (0) 2023.05.10
[龍鳳膏][용봉고]  (0) 2023.05.04
[三豆飮][삼두음]  (0) 2023.05.03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05.02
[百壽散][백수산]  (0) 2023.05.01

[三豆飮][삼두음]

赤小豆 菉豆1(2l) 甘草20g

爲水煮熟 逐日飮汁 喫豆 任意服.

已染 則輕解 未染者 服之 過七日 永不出(得效).

붉은팥, 검정콩(흑두), 녹두 각각 1,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매일 먹이되 콩은 마음대로 먹게 한다.

이미 전염된 것은 경하게 앓고 전염되지 않았을 때에는

7일 이상 먹이면 일생 동안 걸리지 않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鳳膏][용봉고]  (0) 2023.05.04
[油飮子][유음자]  (0) 2023.05.03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05.02
[百壽散][백수산]  (0) 2023.05.01
[獨聖丹][독성단]  (0) 2023.05.01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六月上伏日 採葫蘆嫩蔓 安鍋內燒湯一盆細末 出痘小核

兒渾身頭面 上下無處 不洗到方可 此後卽不出痘(唐人秘傳).

음력 6월 상복일에 호로파의 연한 뿌리를 수십 개 캐어

그늘에 말려 두었다가 음력 정월 초에 그릇에 넣고 끓인다.

마마를 앓지 않은 어린이를 씻어 주되 온몸을 다 씻어 주면

그 후부터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어떤 사람이 비방으로 전한 것이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油飮子][유음자]  (0) 2023.05.03
[三豆飮][삼두음]  (0) 2023.05.03
[百壽散][백수산]  (0) 2023.05.01
[獨聖丹][독성단]  (0) 2023.05.01
[滌穢兎痘湯][척예토두탕]  (0) 2023.04.30

[百壽散][백수산]

初生月內用之 老無瘡疹

黃連40g 朱砂4g

爲水煎 先拭去口中涎淨 灌下少許 嚥之 却以餘藥 傾盆中浴兒身 令遍(海藏).

나서 한 달 안에 쓰면 늙을 때까지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

황련 40g, 주사 4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먼저 입 안의 느침을 깨끗이 닦아내고

백수산을 조금 넣어 주며 나머지 약으로는 몸을 씻어 준다[해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豆飮][삼두음]  (0) 2023.05.03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05.02
[獨聖丹][독성단]  (0) 2023.05.01
[滌穢兎痘湯][척예토두탕]  (0) 2023.04.30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23.04.30

[獨聖丹][독성단]

絲瓜近蔕取三寸連皮子 納於固濟 砂甁內 以桑柴火燒存性 爲末

以和數配入砂糖 搗成甁 時時與兒 吃盡爲佳.

小兒痘疹 服此則少 或全然 只燒蒸 三兩日不出者

或每遇作熱時 卽與食之 出痘必少(醫鑒).

凡痘疹初出 或未出時 服此藥 則多者 可少 少者 可無 重者 可令輕也

又云 入朱砂少許尤妙(正傳)

수세미오이(사과)를 꼭지 가까이로 3치쯤 되게 잘라서 껍질과 씨째로 사기그릇에 넣고

뚜껑을 꼭 덮은 다음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싸 발라서 뽕나무 장작불로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다.

그 중량만큼 사탕을 넣어 짓찧은 다음 떡을 만들어 수시로 아이에게 먹이면 좋다.

마마와 홍역에 이 약을 먹이면 경하게 앓는다.

2-3일 동안 열만 나고 구슬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열이 있을 때마다 먹이면 구슬이 돋아 나온다 하여도 반드시 적게 나온다[의감].

대체로 마마와 홍역에 처음 내어 돋거나 돋기 전에 이 약을 먹이면

많은 것은 적어지고 적은 것은 없어지며 중()한 것은 경()해진다.

또한 주사를 조금 넣어 쓰면 더욱 좋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傳稀痘湯][비전희두탕]  (0) 2023.05.02
[百壽散][백수산]  (0) 2023.05.01
[滌穢兎痘湯][척예토두탕]  (0) 2023.04.30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23.04.30
[畵眉膏][화미고]  (2) 2023.04.26

[滌穢兎痘湯][척예토두탕]

五六月間 取絲瓜 小小蔓藤絲陰乾 約100g重 收起至正月初一日子時

父母只令一人 知將前絲瓜藤煎湯 待溫洗兒全身 頭面上下

以去其胎毒 洗後不生痘也.

如出亦輕 只三五顆而已(醫鑒).

음력 5-6월에 수세미오이(사과)의 가는 넝쿨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 100g을 거두어 두었다가

음력 1월 초에 부모 가운데서 한 사람만이 알고

수세미오이넝쿨 달인 물을 따뜻하게 하여

갓난아이의 온몸을 씻어서 태독(胎毒)을 없애면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

걸린다 해도 3-5개의 구슬이 돋고 만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壽散][백수산]  (0) 2023.05.01
[獨聖丹][독성단]  (0) 2023.05.01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23.04.30
[畵眉膏][화미고]  (2) 2023.04.26
[泄腎丸][설신환]  (0) 2023.04.25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一名,  [太極丸]

臘月初八日 取採生免一隻 取血 以蕎麥麪 和之

少加雄黃四五分 候乾成餠.

凡初生小兒 三日後 與菉豆大者 二三丸 乳汁送下

一歲兒5丸 或7丸 三歲後15丸服 久則遍身發出紅癍 是其驗也.

有終身不出 痘疹者 雖出亦稀 小兒已長 會飮食者 就以免血啖之尤妙

或云不必八日 但臘月免亦可用然終不藥八日佳(醫鑒).

일명 태극환(太極丸)이라고도 한다.

음력 섣달 초에 산토끼 한 마리의 피를 뽑아서 메밀가루 조금과 함께 섞은 다음

석웅황(웅황) 1.6-2g을 넣어 말려 떡같이 만든다.

3일 된 갓난아이에게는 녹두알만하게 2-3알을 젖에 풀어 먹이고

1살 난 어린이에게는 5-7, 3살 이상의 어린이에게는 15알씩

오랫동안 먹이면 온몸에 홍반이 돋는 것으로 그 효과를 알 수 있다.

이 약을 쓰면 마마와 홍역을 일생 동안 앓지 않고 앓는다 하더라도 경하게 앓는다.

어린이가 이미 자라서 음식을 먹게 된 때에 토끼피를 먹이면 더욱 좋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꼭 음력 섣달 초의 것이라야 되는 것은 아니고

음력 섣달에 잡은 토끼이면 다 쓸 수 있다고 하나 섣달 초의 것만 못하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聖丹][독성단]  (0) 2023.05.01
[滌穢兎痘湯][척예토두탕]  (0) 2023.04.30
[畵眉膏][화미고]  (2) 2023.04.26
[泄腎丸][설신환]  (0) 2023.04.25
[滋腎丸][자신환]  (0) 2023.04.25

[畵眉膏][화미고]

斷乳方.

山梔子炒黑三箇,

雄黃 朱砂 輕粉 各少許

爲末 淸油調勻 候兒睡 着濃淋畵 兒兩眉上 醒來 自不喫乳

未效再畵 仍用墨搽乳頭(入門).

젖을 떼는 방법

산치자(거멓게 닦은 것) 3,

석웅황(웅황), 주사, 경분 각각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으로 개어 잠자는 애기의 두 눈썹 위에

진하게 발라 주면 잠을 깨어도 저절로 젖을 먹지 않게 된다.

효과가 없으면 다시 바르고 젖꼭지에 먹을 바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滌穢兎痘湯][척예토두탕]  (0) 2023.04.30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23.04.30
[泄腎丸][설신환]  (0) 2023.04.25
[滋腎丸][자신환]  (0) 2023.04.25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4.23

[滋腎丸][자신환]

治不渴而小便閉

黃栢 知母 拄酒洗焙 各一兩, 肉桂半錢

右爲末 水丸梧子大 空心 白湯下百丸[東垣]

一名, [泄腎丸]

갈증은 없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지모(다 술에 씻어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40g, 육계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일명 설신환(泄腎丸)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23.04.30
[畵眉膏][화미고]  (2) 2023.04.26
[滋腎丸][자신환]  (0) 2023.04.25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4.23
[大連翹飮][대연교음]  (0) 2023.04.23

[滋腎丸][자신환]

治不渴而小便閉

黃栢 知母 拄酒洗焙 各一兩, 肉桂半錢

右爲末 水丸梧子大 空心 白湯下百丸[東垣]

一名, [泄腎丸]

갈증은 없으면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지모(다 술에 씻어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40g, 육계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백알씩 빈속에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일명 설신환(泄腎丸)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畵眉膏][화미고]  (2) 2023.04.26
[泄腎丸][설신환]  (0) 2023.04.25
[生料四物湯][생료사물탕]  (0) 2023.04.23
[大連翹飮][대연교음]  (0) 2023.04.23
[牛黃散][우황산]  (0) 2023.04.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