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寧志化痰湯][영지화담탕]
治 癲狂初起
膽製.南星, 半夏, 陳皮, 赤茯苓, 黃連.
薑汁炒, 天麻, 人參, 酸棗仁.炒, 石菖蒲 各4g,
爲 剉 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
再服 [養血淸心湯] 補養(醫鑒).
전광증이 처음 생긴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소열에 넣고 법제한 것),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솔풍령(복령),
황련(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천마, 인삼,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석창포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을 넣어 물에 달여 먹고 다시
양혈창심탕을 먹어 보양한다[의감].

[淸火化痰湯][청화화담탕]
治熱痰結在胸膈, 喀吐不出 滿悶作痛 名痰結,
半夏製, 陳皮, 赤茯苓 各4g,
桔梗, 枳殼, 瓜蔞仁 各3g
黃連, 黃芩, 梔子, 貝母, 蘇子, 桑白皮, 杏仁, 芒硝 各2g,
木香, 甘草 各1g,
爲剉作一貼, 入薑三片, 同煎至半, 納芒硝熔化去滓,
又入竹瀝薑汁調服(回春).
열로 가슴에 담이 뭉쳐 뱉아도 잘 나오지 않고
그득하면서 답답하고 아픈 것을 담결(痰結)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도라지(길경), 지각, 하늘타리씨(과루인) 각각 2.8g,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패모, 차조기씨(자소자),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살구씨(행인), 망초 각각 2g,
목향,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넣고
물이 절반정도 줄어들도록 달인 다음 망초를 넣고 녹인다.
다음 찌꺼기를 짜버리고 참대기름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淸暈化痰湯][청훈화담탕]
治風火痰眩暈
陳皮 半夏製 白茯苓 各4g, 枳實 白朮 各3g
川芎 黃芩 白芷 羗活 人蔘 南星炮 防風 各2g,

細辛 黃連 甘草 各1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 或爲末 薑汁打麪糊和丸 服之亦佳(醫鑒).
풍담(風痰)과 화담(火痰)으로 생긴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지실, 흰삽주(백출) 각각 2.8g,
궁궁이(천궁), 속썩은풀(황금), 구릿대(백지), 강호리(강활), 인삼,
천남성(싸서 구운 것), 방풍 각각 2g,
족두리풀(세신), 황련,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생강즙과 밀가루풀을 섞은 데 넣고 반죽해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의감].

[定喘化痰湯][정천화담탕]
治咳嗽 痰喘
陳皮8g
半夏 南星並製 各6g
杏仁8g
五味子 款冬花 人參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丹心).
기침하는 것과 담천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8g, 끼
무릇(반하), 천남성(이 2가지는 법제한 것) 각각 6g,
살구씨(행인) 8g,
오미자, 감초 각각 3.2g,
관동화, 인삼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消風化痰湯][소풍화담탕]
治結核 因痰鬱結
白附子 木通 各4g
南星 半夏 赤芍藥 連翹 天麻 白殭蠶 蒼耳子 金銀花 天門冬 桔梗 各3g
白芷 防風 羗活 皂角 各2g
全蝎 陳皮 甘草 各1g,
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回春).
풍담이 몰려 뭉쳐서 생긴 멍울을 치료한다.
노랑돌쩌귀(백부자), 으름덩굴(목통) 각각 4g,
천남성, 끼무릇(반하), 함박꽃뿌리(적작약), 연교, 천마, 백강잠, 도꼬마리(창이자),
금은화, 천문동, 도라지(길경) 각각 2.8g,
구릿대(백지), 방풍, 강호리(강활), 주염열매(조각) 각각 2g,
전갈, 귤껍질(陳皮) 각각 1.6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癍湯][화반탕]  (0) 2019.01.28
[化毒湯][화독탕]   (0) 2019.01.28
[化痰淸火湯][화담청화탕]   (0) 2019.01.28
[化氣湯][화기탕]   (0) 2019.01.28
[化氣調經湯][화기조경탕]   (0) 2019.01.28

[化痰淸火湯][화담청화탕]
治嘈雜
南星 半夏 陳皮 蒼朮 白朮 白芍藥 黃芩 黃連 梔子 知母 石膏 各3g
甘草1g.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服(醫鑑).
조잡증( 雜證)을 치료한다.
천남성(南星),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황련, 속썩은풀(황금), 산치자(치자), 지모, 석고 각각 2.8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毒湯][화독탕]   (0) 2019.01.28
[化痰湯][화담탕]  (0) 2019.01.28
[化氣湯][화기탕]   (0) 2019.01.28
[化氣調經湯][화기조경탕]   (0) 2019.01.28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19.01.28

[化氣湯][화기탕]
治息積 癖於腹脇之下 偏脹膨滿 不妨飮食 諸藥不能療
蓬朮 乾生薑 陳皮 靑皮 丁香皮 茴香炒 甘草灸 各20g
縮砂 桂心 木香 各10g
胡椒 沈香 各 4g
爲末 每取7.5g 以生薑 紫蘇葉 塩少許 煎湯調下(得效).
식적이 한쪽 배와 옆구리 아래에 치우쳐 생겨서 한쪽만이 팽팽하게
불러 오르고 그득한데 음식을 먹는 데는 아무 일 없고
여러 가지 약을 써도 효과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봉출, 생강(말린 것), 귤껍질(陳皮), 선귤껍질(청피), 정향껍질(정향피),
회향(닦은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사인, 계심, 목향 각각 10g,
후추(호초), 침향 각각 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쓰는데
생강과 차조기잎(자소엽)을 소금 조금과 함께 넣고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痰湯][화담탕]  (0) 2019.01.28
[化痰淸火湯][화담청화탕]   (0) 2019.01.28
[化氣調經湯][화기조경탕]   (0) 2019.01.28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19.01.28
[胡椒湯][호초탕]  (0) 2019.01.28

[化氣調經湯][화기조경탕]
通治 流注瘰癧
橘皮80g
香附子酒浸製 羗活 白芷 各40g
牡蠣粉 天花粉 皂角刺 甘草 各20g
爲末 每7.5g 淸酒 調下日三(綱目)
유주나력(流注 瀝)을 두루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80g,
향부자(술에 담갔다가 법제한 것),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각각 40g,
굴조개껍질(모려분), 하늘타리뿌리(천화근), 주염나무가시(조각자),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세번 청주에 타서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痰淸火湯][화담청화탕]   (0) 2019.01.28
[化氣湯][화기탕]   (0) 2019.01.28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19.01.28
[胡椒湯][호초탕]  (0) 2019.01.28
[荊黃湯][형황탕]  (0) 2019.01.28

[紅花子湯][홍화자탕]
治痘渴 及痘不快出
紅花子一合 水煎 服之(正傳).
마마 때 갈증이 나는 것과 구슬이 시원히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잇꽃씨(紅花子) 1홉을 물에 달여 먹인다[정전].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氣湯][화기탕]   (0) 2019.01.28
[化氣調經湯][화기조경탕]   (0) 2019.01.28
[胡椒湯][호초탕]  (0) 2019.01.28
[荊黃湯][형황탕]  (0) 2019.01.28
[荊蘇湯][형소탕]  (0) 2019.01.28

[椒豆散][초두산]
治霍亂吐瀉後 煩渴不能服藥 或水藥不入口者 胡椒 菉豆各49粒.
硏爲末 新汲水調下 或水煎服(入門).
胡椒7粒 綠豆21粒 爲末 木瓜湯 調下(直旨).
一名, [胡椒湯] (入門).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 생긴 번갈(煩渴)로 약을 먹지 못하거나
물약을 입에 넣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후추(호초), 녹두 각각 49알.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먹거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일명 호초탕(胡椒湯)이라고도 하는데
이때에는 후추 7알, 녹두 21알을 가루내어 모과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氣調經湯][화기조경탕]   (0) 2019.01.28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19.01.28
[荊黃湯][형황탕]  (0) 2019.01.28
[荊蘇湯][형소탕]  (0) 2019.01.28
[荊芥湯][형개탕]  (0) 2019.01.28

[荊黃湯][형황탕]
治風熱眩暈.
大黃 酒炒, 荊芥穗, 防風 各二錢.
右剉, 水煎服, 以利爲度[丹心].
풍열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볶은 것), 형개수, 방풍 각 두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설사할 때까지 먹는다(단심).

[荊黃湯][형황탕]
治風熱眩暈
大黃酒炒 荊芥穗 防風 各8g
爲剉 水煎服 以利爲度(丹心).
풍열(風熱)로 생긴 어지럼증을 치료한다.
대황(술에 축여 볶은 것), 형개수, 방풍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데 설사 날 때까지 써야 한다[단심].

[荊黃湯][형황탕]
治風熱結滯, 咽喉腫痛, 大便秘澁.
荊芥 四錢, 大黃 一錢.
右剉, 水煎, 空心服[入門].
풍열이 인후에 뭉쳐 있어서 붓고 아프며 대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 너 돈, 대황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消毒飮][소독음]
治瞼生風粟
大黃煨 荊芥穗 各8g,
惡實 甘草 各4g
爲剉 水煎服(得效).
검생풍속(瞼生風粟)을 치료한다.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형개수 각각 8g,
우엉씨(대력자),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一名 [加味荊黃湯] (入門).
일명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花子湯][홍화자탕]   (0) 2019.01.28
[胡椒湯][호초탕]  (0) 2019.01.28
[荊蘇湯][형소탕]  (0) 2019.01.28
[荊芥湯][형개탕]  (0) 2019.01.28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0) 2019.01.28

[荊蘇湯][형소탕]
治感風寒卒瘂, 及失音通用.
荊芥穗, 紫蘇葉, 木通, 橘紅, 當歸, 辣桂, 石菖蒲 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服[直指].
풍한(風寒)의 사기를 받아서 갑자기 목소리가 쉬거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
형개수, 자소엽, 목통, 귤홍, 당귀, 육계, 석창포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荊蘇湯][형소탕]
治 感風寒卒瘂 及失音 通用
荊芥穗, 紫蘇葉, 木通, 橘紅當歸, 辣桂, 石菖蒲 各4g
剉作一貼 水煎服(直指).
풍한사(風寒邪)를 받아서 갑자기 벙어리가 된 것이나
목이 쉰 것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
형개수, 차조기잎, 으름덩굴, 귤흥, 당귀, 육계, 석창포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胡椒湯][호초탕]  (0) 2019.01.28
[荊黃湯][형황탕]  (0) 2019.01.28
[荊芥湯][형개탕]  (0) 2019.01.28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0) 2019.01.28
[血風湯][혈풍탕]   (0) 2019.01.28

[荊芥湯][형개탕]
治風熱齒痛.
荊芥, 薄荷, 升麻, 細辛 各三錢.
右爲末, 每二錢, 沸湯點含, 漱吐之[直指].
풍열로 인한 치통을 치료한다.
형개, 박하, 승마, 세신 각 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끓인 물에 타서 입에 머금어 양치한 다음 뱉는다(직지).

[荊芥湯][형개탕]
治風熱齒痛
荊芥 薄荷 升麻 細辛 各12g
爲末 每8g 沸湯 點含漱吐之(直指).
풍열(風熱)로 이빨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형개, 박하, 승마, 족두리풀(세신)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풀어서
조금씩 물고 양치한 다음 뱉아 버린다[직지].

[荊芥湯][형개탕]
治咽喉腫痛, 語聲不出, 嚥之, 甚妙.
桔梗 二兩, 甘草 一兩, 荊芥穗 五錢.
右爲麄末, 每取四錢, 入薑三片, 水煎呷服[三因].
인후가 붓고 아파서 말이 나오지 않을 때 이 약을 먹으면 아주 잘 낫는다.
길경 두 냥, 감초 한 냥, 형개수 닷 돈.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너 돈씩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홀짝홀짝 먹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荊黃湯][형황탕]  (0) 2019.01.28
[荊蘇湯][형소탕]  (0) 2019.01.28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0) 2019.01.28
[血風湯][혈풍탕]   (0) 2019.01.28
[玄參貝母湯][현삼패모탕]   (0) 2019.01.28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治兩耳腫痛, 由腎經有風熱.
荊芥, 連翹, 防風, 當歸, 川芎, 白芍藥, 柴胡, 枳殼, 黃芩, 梔子, 白芷, 桔梗 各七分,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溫服[回春].
신경(腎經)에 풍열이 있어서 양쪽 귀가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형개, 연교, 방풍, 당귀, 천궁, 백작약, 시호, 지각, 황금, 치자, 백지, 길경 각 일곱 푼,
감초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따뜻하게 먹는다(회춘).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治鼻淵
荊芥 柴胡 川芎 當歸 生地黃 赤芍藥
白芷 防風 薄荷 梔子 黃芩 桔梗 連翹 各2g
甘草1g,水煎服(回春).
신경(腎經)에 풍열(風熱)이 있어서 양쪽 귀가 다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형개, 연교,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시호, 지각,
속썩은풀(황금), 산치자, 구릿대(백지), 도라지(길경)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끼니 뒤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회춘].

[荊芥連翹湯][형개연교탕]
治鼻淵.
荊芥, 柴胡, 川芎, 當歸, 生地黃, 赤芍藥, 白芷, 防風, 薄荷, 梔子, 黃芩, 桔梗, 連翹 各五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 水煎服[回春].
비연증을 치료한다.
형개, 시호, 천궁, 당귀, 생지황, 적작약, 백지, 방풍, 박하, 치자, 황금, 길경, 연교 각 닷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荊蘇湯][형소탕]  (0) 2019.01.28
[荊芥湯][형개탕]  (0) 2019.01.28
[血風湯][혈풍탕]   (0) 2019.01.28
[玄參貝母湯][현삼패모탕]   (0) 2019.01.28
[玄參升麻湯][현삼승마탕]   (0) 2019.0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