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葎草汁方][율초즙방]
治産婦, 因大喜汗出, 汚衣赤色.
葎草 擣取汁 二升.
入醋二合和之. 空腹飮一盞, 或濃煮服亦可[三因].
임산부가 지나치게 기뻐하여 땀이 나서 옷을 뻘겋게 물들이는 것을 치료한다.
율초(짓찧어 낸 즙) 두 되.
위의 약에 식초 두 홉을 섞어 빈속에 한 잔씩 먹거나 진하게 달여서 먹어도 좋다(삼인).
蝟皮肉主血汗. 皮, 燒灰, 米飮調服. 肉, 煮食之[本草].
고슴도치의 가죽과 고기는 혈한을 다스린다.

고슴도치의 가죽은 소존성으로 태워 미음에 타서 먹고, 고기는 푹 삶아먹는다(본초).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立效方][입효방]  (0) 2018.12.10
[淋證方][임병방]  (0) 2018.12.10
[溫臍種子方][온제종자방]  (0) 2018.12.08
[溫臍兜肚方][온제두두방]  (0) 2018.12.08
[烏鬚髮方][오수발방]  (0) 2018.12.08

[溫臍種子方][온제종자방] [배꼽을 따뜻하게 하여 아이를 갖게 하는 방법]
五靈脂, 白芷, 靑鹽 各二錢, 麝香 一分.
右爲末. 用蕎麥粉, 水和成條圈, 安於臍上,

以前藥末, 實於臍中, 用艾灸之. 婦人尤宜.

但覺臍中溫煖卽止. 過數日再灸, 太過則生熱也[入門].
오령지, 백지, 청염 각 두 돈,
사향 한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메밀가루를 물과 섞어 반죽한 다음 동그란 띠를 만들어 배꼽 위에 놓은 후

앞의 약가루를 배꼽 안에 채우고 나서 쑥뜸을 뜬다. 부인에게 더욱 좋다.

다만 배꼽이 따뜻해지면 바로 멈춘다.

며칠 지나서 다시 뜨는데, 지나치게 뜨면 열이 난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淋證方][임병방]  (0) 2018.12.10
[葎草汁方][율초즙방]   (0) 2018.12.08
[溫臍兜肚方][온제두두방]  (0) 2018.12.08
[烏鬚髮方][오수발방]  (0) 2018.12.08
[染鬚方][염수방]  (0) 2018.12.08

[溫臍兜肚方][온제두두방]   [배를 감싸서 배꼽을 따뜻하게 하는 방법]
專主痞積, 遺精白濁, 婦人赤白帶下, 經脈不調, 久不受孕.
白檀, 羚羊角 各一兩,

零陵香, 沈香, 白芷, 馬兜鈴, 木鱉子, 甘松, 升麻, 血竭 各五錢, 丁香皮 七錢,

麝香 九分.
右爲末, 分作三分, 每用一分, 以熟艾絮綿, 裝白綾兜肚內.

初服者, 每三日後一解, 至第五日又服, 一月後常服之[入門].
비적(痞積)으로 자신도 모르게 정액이 나오거나 소변이 뿌옇거나

부인에게서 붉거나 흰 대하가 나오거나 월경이 고르지 않아

오랫동안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을 주치한다.
단향, 영양각 각 한 냥,

영릉향, 침향, 백지, 마두령, 목별자, 감송향, 승마, 혈갈 각 닷 돈,

정향피 일곱 돈, 사향 아홉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세 몫으로 나누어 한 몫씩 쓰는데,

묵은 쑥을 부드럽게 비벼 솜처럼 만들어 흰 비단으로 만든 배두렁이에 넣는다.

처음 두루는 사람은 사흘에 한 번 풀어주고 닷새째 되는 날 다시 감싸 맨다.

한 달 뒤에는 늘 두르고 다닌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葎草汁方][율초즙방]   (0) 2018.12.08
[溫臍種子方][온제종자방]  (0) 2018.12.08
[烏鬚髮方][오수발방]  (0) 2018.12.08
[染鬚方][염수방]  (0) 2018.12.08
[延生方][연생방]   (0) 2018.12.08

[烏鬚髮方][오수발방]
大水蛭二箇, 放磁椀中, 餓一七日,

取烏骨雄雞血, 以松烟墨濃磨汁, 傾入猪尿胞內,

任水蛭吮飽, 將鍼刺蛭流出血汁, 塗鬚髮, 留根二分,

其汁浸漬入肉, 鬚髮一年茂黑, 且柔軟, 極妙[丹心].
큰 거머리 두 마리를 사발 안에 놓아두고 일주일 동안 굶긴다.

수컷 오골계의 피로 송연묵을 진하게 갈아서 돼지오줌통에 기울여 넣는다.

이것을 거머리에게 주어 배부르게 빨아먹도록 한다.

그런 다음 침으로 거머리를 찔러 흘러나온 피를 수염이나 머리카락의 뿌리 가까이

두 푼 정도 떨어진 곳에 바르면 그 피가 살 속으로 스며들어간다.

수염과 머리카락이 1년이면 무성하게 검어지면서 또 부드러워지는데, 효과가 아주 좋다(단심).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溫臍種子方][온제종자방]  (0) 2018.12.08
[溫臍兜肚方][온제두두방]  (0) 2018.12.08
[染鬚方][염수방]  (0) 2018.12.08
[延生方][연생방]   (0) 2018.12.08
[呂仙翁方][여선옹방]   (0) 2018.12.08

[染鬚方][염수방]
大烏龜一箇, 餓一二日, 將飯與肉骨果子烟火之食飼之,

三五月後, 夜間以漆盝盛之, 用竹片置盝口, 令通氣, 外放燈一盞,

盝內熱, 龜自撒尿, 急則只麻油烟熏鼻, 亦卽尿.

先用五倍子末炆醋如膠. 若龜尿得一小鍾, 入五倍醋半鍾,

入磁器炆一滾, 角罐收貯, 以新筆略蘸搽鬚, 多用面黑[入門].
큰 검은 거북 한 마리를 하루나 이틀 동안 굶겼다가

밥과 고기, 뼈, 과실을 불에 익혀 먹여 기른다.

3~5개월 뒤 밤에 옻칠을 한 궤짝에 넣어두고,

대나무 마디로 궤짝에 구멍을 내어 밖으로 공기가 통하게 한 다음

궤짝 밖에 등 한 개를 두어 궤짝 안이 더워지면 거북 스스로 오줌을 누게 되는데,

빨리 쓰려면 참기름 연기로 코를 자극하기만 하여도 바로 오줌을 눈다.

먼저 오배자가루를 따뜻한 식초에 넣어 뭉근한 불로 오래 달여 아교처럼 만든다.

거북의 오줌 작은 종지 하나에 먼저 초로 아교처럼 만들어두었던

오배자 반 종지를 사기그릇에 넣고 뭉근한 불로 한 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뿔로 만든 통 안에 저장한다.

이것을 새 붓으로 조금씩 찍어 수염에 바르는데,

너무 많이 바르면 얼굴이 검어진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溫臍兜肚方][온제두두방]  (0) 2018.12.08
[烏鬚髮方][오수발방]  (0) 2018.12.08
[延生方][연생방]   (0) 2018.12.08
[呂仙翁方][여선옹방]   (0) 2018.12.08
[釀乳方][양유방]   (0) 2018.12.08

[延生方][연생방]
小兒初生 臍帶脫落後 取置新瓦上 用炭火四圍燒至烟 將盡放土地上
用瓦盞之類盖之 存性 硏爲末 預將朱砂透明者 爲極細末 水飛 過臍帶
若有五分重 朱砂2分5釐(約0.1g) 生地黃 當歸身 濃煎汁一二蜆殼 調和
前兩味 抹兒上顎間 及乳母乳頭上 一日之內用盡 次日大便
遺下汚穢濁垢之物 終身永無瘡疹 及諸疾 生一子 得一子 十分妙法也(醫鑒).
갓난아이의 배꼽이 떨어진 다음 그 배꼽딱지를 새 기와 위에 놓고
숯불을 주위에 놓아 태워 연기가 없어질 무렵에 땅 위에 놓고
질그릇 등 속으로 덮어서 약성이 남아 있게 한 것을 가루낸다.
좋은 주사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水飛)한 다음 배꼽 태운 가루 2g과
주사 1g을 고루 섞어서 생지황과 당귀를 넣고
진하게 달인 물을 가막조개껍질로 1-2개 떠서 그 물로 개어 아이의 윗잇몸과
어머니의 젖꼭지에 바르되 하루동안에 다 쓴다.
다음 날에 궂은 것과 탁한 것이 대변으로 나가면 일생 동안 창진(瘡疹)과 온갖 병에
걸리지 않을 뿐 아니라 아이를 낳는 대로 키울 수 있으므로 좋은 방법이다[의감].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烏鬚髮方][오수발방]  (0) 2018.12.08
[染鬚方][염수방]  (0) 2018.12.08
[呂仙翁方][여선옹방]   (0) 2018.12.08
[釀乳方][양유방]   (0) 2018.12.08
[腎虛胃熱牙疼方][신허위열아동방]  (0) 2018.12.07

[呂仙翁方][여선옹방]
治老人內障 昏暗
熟地黃 川椒微炒 甘菊 各等分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塩湯 下 50~70丸.
昔有老人 常供雲水 遇一道人款涎數日
臨別見 老人 目昏多淚 因寄此方 服之神效(醫說).
늙은이가 내장(內障)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조피열매(천초, 약간 닦은 것), 단국화(감국)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옛날에 한 늙은이가 지나가는 중을 대접하곤 하였다.
그런데 우연히 한 도인이 며칠 동안 잘 묵고 떠나면서
그 집 늙은이가 눈을 잘 보지 못하며 눈물을 많이 흘리는 것을 보고
이 처방을 알려 주었다.
그래서 먹었는데 신기하게 나았다고 한다[의설].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染鬚方][염수방]  (0) 2018.12.08
[延生方][연생방]   (0) 2018.12.08
[釀乳方][양유방]   (0) 2018.12.08
[腎虛胃熱牙疼方][신허위열아동방]  (0) 2018.12.07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훈제비방]  (0) 2018.12.07

[釀乳方][양유방]
治慢驚風
人參 木香 藿香 沈香 陳皮 神麴 麥芽 各4g

丁香2g
爲剉作一貼 入薑五片紫蘇五葉 薑三枚 同煎.
乳母食後 須去乳汁盡 方取服之 卽仰臥霎時
次令兒吮數口 不可過飽 如嘔定急
宜截風
服八仙散(治慢驚虛風 天麻 白附子 白花蛇肉 防風 南星 半夏麴 冬瓜仁 全蝎各 1g

加川烏0.5g,  爲剉作一貼 入薑二棗一 薄荷二葉 同煎服(湯氏))
兩日後
宜醒脾散(治脾困昏沈 吐瀉不止 漸成慢驚
人參 白朮 白茯苓 白附子 白殭蠶 天麻 木香 甘草 各2g
全蝎1g 爲粗末 每8g 薑二棗一 水煎 漸漸服 不可頓服(綱目)
此良法也. 如此調理 無不愈者(湯氏).
만경풍을 치료한다.
인삼, 목향, 곽향, 침향, 귤껍질,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각각 4g,
정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차조기잎(자소엽) 5잎,
대추 3알과 함께 달여 유모가 밥을 먹은 뒤에 젖을 다 짜버리고
이 약을 먹은 다음 한참 반듯이 누워 있다가 젖먹이에게 젖을 두어 모금 빨게 한다.
너무 지나치게 배불리 먹여서는 안 된다.
구역이 멎으면 빨리 풍을 없애야 하므로 팔선산(八仙散)을 먹이고
2일 후에 성비산(醒脾散)을 먹이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잘 조리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탕씨].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延生方][연생방]   (0) 2018.12.08
[呂仙翁方][여선옹방]   (0) 2018.12.08
[腎虛胃熱牙疼方][신허위열아동방]  (0) 2018.12.07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훈제비방]  (0) 2018.12.07
[小便方][소변방]  (0) 2018.12.07

[腎虛胃熱牙疼方][신허위열아동방] [신이 허하고 위의 열로 생긴 치통의 처방]
羊脛骨 灰 四兩,

石膏 五兩,

升麻, 生地黃 各五錢,

黃連 一錢, 胡桐淚 三錢,

龍膽草 半錢.
右爲末, 擦牙, 以水漱去[入門].
양경골(태운 재) 넉 냥,

석고 닷 냥,

승마, 생지황 각 닷 돈,

황련 한 돈, 호동루 서 돈,

용담초 반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이를 문지르고 물로 헹구어 뱉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呂仙翁方][여선옹방]   (0) 2018.12.08
[釀乳方][양유방]   (0) 2018.12.08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훈제비방]  (0) 2018.12.07
[小便方][소변방]  (0) 2018.12.07
[洗下疳瘡方][세하감창방]   (0) 2018.12.07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훈제비방]
夫人頼精血而成形, 其在胞胎, 惟有臍帶, 與母氣相通, 隨母呼吸.

十月脫胎, 漸長成人, 七情六慾, 內外交侵, 喪失眞元, 殞軀喪命, 良可惜也.

余哀悶世人, 特傳良方.

壯固根蔕, 保護形軀, 熏蒸本源, 除却百病,

其效如神. 每年中秋日, 熏蒸一次, 却病延年.
乳香, 沒藥, 猳鼠糞, 靑鹽, 兩頭尖, 續斷 各二錢,

麝香一分.
右爲末. 令人食飽仰臥, 用蕎麥麪, 水和揑一團,

徑過寸餘, 臍大則徑二寸, 內入藥末, 安臍上.

用槐皮一片, 覆圈藥之上, 以豆許艾壯灸之, 百脈和暢, 冷汗如雨.

不可令痛, 痛則反泄眞氣. 灸至行年歲數而止, 無病者, 連日灸之.

有病則三日一次, 灸至腹內作聲作痛, 大便有涎沫等物出爲止.

只服米湯, 兼食白肉黃酒, 以助藥力. 若患風氣, 有鬱熱在腠理者,

加女子紅鈆拌藥, 則汗易出, 而疾隨愈矣[回春].
무릇 사람은 정과 혈에 힘입어 형(形)을 이루는데,

뱃속에 있을 때는 오직 탯줄로만 어머니의 기와 서로 통하므로 어머니를 따라 숨을 쉰다.

열 달이 되어 태에서 떨어져 나와 점점 자라 어른이 되는데,

칠정(七情)과 육욕(六慾)이 안과 밖에서 서로 침범하여 진원(眞元)을 손상하여 몸을 버리고 목숨을 잃게 되니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나는 세상 사람들을 가엾이 여겨 좋은 처방 하나를 특별히 전해준다.

배꼽을 튼튼히 하여 몸뚱이를 잘 보호하고 본래의 근원[배꼽]을 훈증하여

수많은 병을 물리치는데,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해마다 추석에 한 차례씩 훈증하면 병을 물리쳐서 오래 살게 된다.
유향, 몰약, 가서분, 청염, 천오, 속단 각 두 돈,

사향 한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환자를 배불리 먹이고 눕게 한 다음 메밀가루를 물로 반죽하여

지름이 한 치 정도 되는 덩어리로 만드는데,

배꼽이 크면 두 치로 만들어 안에 약가루를 넣고 배꼽 위에 올려놓는다.

괴피 한 조각을 약 위에 얹고 여기에 콩알만하게 쑥뜸을 뜨면

모든 맥이 잘 통하게 되어 식은땀이 비 오듯 한다.

아프지 않게 하여야 하는데 아프면 오히려 진기를 소모한다.

나이 수대로 뜸을 뜨고 멈추는데, 병이 없는 사람은 매일 뜨고

병이 있는 사람은 사흘에 한 번씩 뜬다.

뱃속에서 소리가 나면서 아프고 대변에 침이나 거품 같은 것이 섞여 나오면 그만 뜬다.

쌀로 쑨 미음을 먹거나 돼지 수육과 황주를 먹어서 약의 기운을 도와준다.

만일 풍병을 앓아 주리(腠理)에 몰린 열이 있으면

여자의 첫 월경을 약에 섞어 쓰면 쉽게 땀이 나고 병도 따라 낫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釀乳方][양유방]   (0) 2018.12.08
[腎虛胃熱牙疼方][신허위열아동방]  (0) 2018.12.07
[小便方][소변방]  (0) 2018.12.07
[洗下疳瘡方][세하감창방]   (0) 2018.12.07
[洗藥方][세약방]  (0) 2018.1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