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秘傳烏鬚方][비전오수방]
五倍子不拘多少, 槌碎去灰, 入砂鍋內炒, 烟盡爲度.

以靑布巾打濕, 扭乾布裹脚踏成餠, 爲末, 每用一錢半.
오배자 적당량을 두드려 부수어 잡질(雜質)을 버리고

사기그릇에 담아 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볶는다.

이것을 푸른 베로 덮고 두들겨 [천이] 젖게 한 다음 마른 베 보자기로 싸서

빨래를 밟을 때처럼 발로 밟아 떡처럼 만든다.

이것을 가루내어 한 돈 반씩 쓴다.
烏黑霜, 卽炒黃好細麪四兩,

當歸尾一兩爲末, 白芨末一兩.
三味攪勻, 每用一分半.
오흑상(누렇게 볶은 좋은 밀가루) 넉 냥,

당귀미 한 냥(가루낸다), 백급(가루낸 것) 한 냥.
위의 세 가지 약을 잘 섞어 한 푼 반씩 쓴다.
紅銅末不拘多少, 火內燒極紅, 投入水碗中,

取出再燒再投, 取水內自然之末, 用水淘淨, 醋煮數沸至乾, 隨炒黑色.

每用一分半.
홍동가루 적당량을 불에 아주 벌겋게 달구어

물 사발에 넣고 꺼내었다가 다시 달구어 물에 넣는다.

물 안에서 자연히 생긴 가루를 물로 씻어 식초에 넣고

여러 번 끓어오르게 달여 식초가 다 졸아들 때까지 달인다.

이것을 검게 될 때까지 볶아 한 푼 반씩 쓴다.
明白礬末一分半,

靑鹽一分二釐,

沒石子二釐半,

訶子肉二釐半 二味俱用麪包,

入砂鍋內, 將桑炭同拌, 炒至焦乾.
명백반(가루낸 것) 한 푼 반,

청염 한 푼 두 리,

몰석자 두 리 반,

가자육 두 리 반(몰석자와 가자육 두 가지는 밀가루 떡에 싸서

사기그릇에 넣고 뽕나무 태운 재와 같이 섞어 그을려 마를 때까지 볶는다).
右爲末, 用濃茶調勻, 以酒盞盛貯, 用鐵杓注水, 煮如糊,

先將皂角水洗淨鬚髮, 然後塗藥, 包裹一夜, 次早洗去, 以胡挑油塗之令潤[醫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진하게 우려낸 차로 잘 반죽하여 술잔에 담아둔다.

쇠 국자로 물을 치면서 풀같이 되게 달이는데, 먼저 조각 달인 물로

수염과 머리카락을 깨끗이 씻은 다음 약을 바른다.

하룻밤 머리를 싸매두었다가 다음 날 아침에 씻고 버린다.

호도기름을 발라 윤기 나게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去三尸蟲方][삼시충방]   (0) 2018.12.07
[殺蟲方][살충방]  (0) 2018.12.07
[服梅花方][복매화방]   (0) 2018.12.07
[百合洗方][백합세방]   (0) 2018.12.07
[麻骨方][마골방]  (0) 2018.12.07

[服梅花方][복매화방]
服梅花 可免出痘 十二月收梅花 不拘多少
陰乾爲末 煉蜜丸 如芡實大 每一丸好酒化下.
念太乙救苦天尊一百遍 妙不可言(種杏).
매화꽃을 먹으면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
음력 섣달에 딴 매화꽃을 수량에 관계없이 그늘에 말려 가루내서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좋은 술에 타 먹인다.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殺蟲方][살충방]  (0) 2018.12.07
[秘傳烏鬚方][비전오수방]  (0) 2018.12.07
[百合洗方][백합세방]   (0) 2018.12.07
[麻骨方][마골방]  (0) 2018.12.07
[斷酒方][단주방]  (0) 2018.12.07

[百合洗方][백합세방]
治百合病 一月不差 變成渴者
百合一升 水一斗 漬一宿 洗一身已 宜淡食(仲景).
백합병이 한 달이 되어도 낫지 않고 갈증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나리 1되를 물 1말에 담가 하룻밤 두었다가 그 물로 온몸을 씻는다.
그 다음 기름기 없는 음식을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傳烏鬚方][비전오수방]  (0) 2018.12.07
[服梅花方][복매화방]   (0) 2018.12.07
[麻骨方][마골방]  (0) 2018.12.07
[斷酒方][단주방]  (0) 2018.12.07
[夜化仙方][금화선방]   (0) 2018.12.07

[麻骨方][마골방]
有自頭麻至心窩而死者
或自足心麻至膝 盖而死者 人糞燒灰 用豆腐漿 調飮卽止.
又方, 用練子燒灰 爲末 每服12~20g 黃酒 調下卽止(回春).
머리에서부터 명치까지 감각이 둔해지면 죽을 수 있다.
혹은 발바닥에서 무릎까지 감각이 둔해져도 죽을 수 있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또 한 가지 처방은 고련자를 태워 가루를 낸 다음
한번에 12-20g씩 황주에 타 먹으면 곧 낫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服梅花方][복매화방]   (0) 2018.12.07
[百合洗方][백합세방]   (0) 2018.12.07
[斷酒方][단주방]  (0) 2018.12.07
[夜化仙方][금화선방]   (0) 2018.12.07
[救急方][구급방]  (0) 2018.12.07

[斷酒方][단주방] [술을 끊는 방법]
取酒7升着甁中朱砂20g 細硏納甁中 緊塞甁口 安猪圈中 任猪動搖
經7日 取飮之 卽不復飮
술 7되를 병에 넣고 주사(보드랍게 간 것) 20g을 그 속에 넣어 꼭 막은 다음
돼지우리에 약 1주일 동안 두었다가 먹으면 다시 술을 마시지 않는다.
鸕鶿糞灰水服4g 鷹屎灰 亦可.

和酒服 並勿令 飮人知(本草).
노자분 태운 가루 4g을 물로 먹거나 응시 태운 가루를 술에 타 먹어도 좋은데
먹는 사람에게 알리지 말아야 한다[본초].
又井中 倒生草 水煎服 又竹葉上露 和酒服(俗方).
또는 우물벽에 거꾸로 난 풀을 달여 마시거나 참대잎(죽엽)에 맺힌 이슬을
술에 타 먹기도 한다[속방].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合洗方][백합세방]   (0) 2018.12.07
[麻骨方][마골방]  (0) 2018.12.07
[夜化仙方][금화선방]   (0) 2018.12.07
[救急方][구급방]  (0) 2018.12.07
[孔子大聖枕中方][공자대성침중방]  (0) 2018.12.07

[夜化仙方][금화선방]
治痰盛 咳喘 吐膿血 名曰肺痿
甛梨汁 生蘿葍汁 生薑汁 白砂糖 款冬花 桔梗 紫菀 各80

五味子40g
爲共熬 去滓 成膏 入人參末40g 和丸彈子大 臨臥 噙化 一丸(回春).
가래가 성하고 기침이 나며 숨이 차고 피고름을 토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폐위증이다.
배즙, 생무즙, 생강즙, 흰사탕, 관동화, 도라지(길경), 자원 각각 80g,
오미자 40g.
위의 약들을 함께 달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고약을 만든다.
여기에 인삼가루 40g을 넣고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잠잘 무렵에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骨方][마골방]  (0) 2018.12.07
[斷酒方][단주방]  (0) 2018.12.07
[救急方][구급방]  (0) 2018.12.07
[孔子大聖枕中方][공자대성침중방]  (0) 2018.12.07
[枯痔方][고치방]  (0) 2018.12.07

[救急方][구급방] [구급치료방법]
金瘡及諸傷重 痛悶欲死
取牛一隻剖腹 納其人于牛腹 浸熱血中 可甦,
如傷腹 用血竭末醋湯調飮 出血而愈,
或戰陣砲矢所傷 血流滿體 氣貫胸膈 悶絶者亦甦(入門).
傷重暈絶不省 人熱尿多灌卽甦 童尿尤好(丹心).
쇠붙이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몹시 상하여 아프고 답답해하며
죽은 것같이 되었을 때에는 소의 배를 가르고 내장을 꺼낸 다음
그 속에 상한 사람을 들어앉히되 뜨거운 피에 잠기도록 하면 살아난다.
만일 배가 상하였을 때에는 혈갈을 가루내어 식초 끓인 물에 타서 먹는데
궂은 피가 나오고 낫는다.
이와 같이 하면 혹 전쟁마당에서 총알이나 화살에 상하여 온 몸에서 피가 나오고
기가 가슴으로 치밀어 올라 까무러 친 것도 살릴 수 있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斷酒方][단주방]  (0) 2018.12.07
[夜化仙方][금화선방]   (0) 2018.12.07
[孔子大聖枕中方][공자대성침중방]  (0) 2018.12.07
[枯痔方][고치방]  (0) 2018.12.07
[枯瘤方][고유방]   (0) 2018.12.07

[孔子大聖枕中方][공자대성침중방]
服之令人聰明.
龜板, 龍骨, 遠志 薑製, 石菖蒲 各等分.
右爲末. 酒調下二錢, 日三服[回春].
이 약을 먹으면 총명해진다.
구판, 용골, 원지(생강으로 법제한 것), 석창포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술에 타서 하루에 3번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夜化仙方][금화선방]   (0) 2018.12.07
[救急方][구급방]  (0) 2018.12.07
[枯痔方][고치방]  (0) 2018.12.07
[枯瘤方][고유방]   (0) 2018.12.07
[去黑靨子方][거흑염자방]  (0) 2018.12.07

[枯痔方][고치방]
治諸痔消腫.
雄黃, 硫黃, 明礬 各等分.
右爲末, 用新盞, 先鋪礬末一半, 次鋪餘藥.

又以礬末盖上火煅, 候礬枯爲度, 硏爲末.

津唾調付, 乾落爲度, 後用石膏, 五倍子爲末, 付收瘡口, 神效[綱目].
모든 치질로 부은 것을 삭인다.
웅황, 유황, 백반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먼저 새 잔에 백반가루 절반을 펴놓은 다음

나머지 약들을 그 위에 펴놓고 다시 백반가루로 그 위를 덮는다.

백반이 마를 정도로 불에 구워 가루내서 침에 개어 붙이는데,

치질이 말라 떨어질 때까지 붙인다.

치질이 말라서 떨어지면 석고와 오배자를 가루내어 붙여 헌데가 아물게 하는데,

효과가 매우 좋다(강목).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救急方][구급방]  (0) 2018.12.07
[孔子大聖枕中方][공자대성침중방]  (0) 2018.12.07
[枯瘤方][고유방]   (0) 2018.12.07
[去黑靨子方][거흑염자방]  (0) 2018.12.07
[去妬方][거투방]   (0) 2018.12.07

[枯瘤方][고유방]
砒霜 䃃砂 黃丹 雄黃 輕粉 各4g
斑猫生30箇

朱砂 乳香 沒藥 各4g
爲末 糯米粥和丸 捏作碁子樣 暴乾 先灸3壯於瘤頂
以藥餠盖上以黃栢末 水調貼之, 數月 自然枯落(綱目).
신석, 노사, 황단, 석웅황, 경분 각각 4g,
반묘(생것) 30개,

주사, 유향, 몰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죽에 반죽한 다음 바둑돌같이 만들어 잘 말린다.
그리고 먼저 류의 꼭대기에 뜸 3장을 뜬 다음 거기에 이 약을 놓고
황백가루를 물에 반죽하여 붙이는데 두어 달 동안 둬두면
류가 저절로 말라서 떨어진다[강목].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孔子大聖枕中方][공자대성침중방]  (0) 2018.12.07
[枯痔方][고치방]  (0) 2018.12.07
[去黑靨子方][거흑염자방]  (0) 2018.12.07
[去妬方][거투방]   (0) 2018.12.07
[去涎方][거연방]  (0) 2018.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