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便方][소변방]
治心經蓄熱 小便赤澁.
梔子仁 大黃煨 連翹 甘草 各等分
爲剉20g 水煎服(湯液).
심경(心經)에 열이 몰려서 오줌이 벌거면서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산치자(잿불에 묻어 구운 것), 연교,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번에 20g씩 물에 달여 먹는다[탕액].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腎虛胃熱牙疼方][신허위열아동방]  (0) 2018.12.07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훈제비방]  (0) 2018.12.07
[洗下疳瘡方][세하감창방]   (0) 2018.12.07
[洗藥方][세약방]  (0) 2018.12.07
[洗傅方][세부방]  (0) 2018.12.07

[洗下疳瘡方][세하감창방]
黃連 黃栢 當歸 白芷 獨活 防風 朴硝 荊芥 各12g
入銅錢50文 烏梅5箇 塩一匙
同煎取湯 日洗4~5次 乃付糝藥(入門).
황백, 황련, 당귀, 구릿대(백지), 따두릅(독활), 방풍, 박초, 형개, 각각 12g,
동전 50잎, 오매 5개, 소금 1숟가락.
위의 약들을 함께 넣고 달인 물로 하루 네다섯번 씻은 다음 붙이거나
뿌리는 약을 쓴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接命熏臍秘方][소접명훈제비방]  (0) 2018.12.07
[小便方][소변방]  (0) 2018.12.07
[洗藥方][세약방]  (0) 2018.12.07
[洗傅方][세부방]  (0) 2018.12.07
[葉氏分涎方][섭씨분연방]   (0) 2018.12.07

[洗藥方][세약방]   [씻는 약]
治諸般惡瘡
黃栢 茵蔯 荊芥 葱白 藿香 煎水淋洗 爲妙(得效).
여러 가지 악창을 치료한다.
황백, 더위지기(인진), 형개, 파밑(총백), 곽향 .
위의 약들을 달여서 그 물로 씻으면 좋다[득효].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便方][소변방]  (0) 2018.12.07
[洗下疳瘡方][세하감창방]   (0) 2018.12.07
[洗傅方][세부방]  (0) 2018.12.07
[葉氏分涎方][섭씨분연방]   (0) 2018.12.07
[生肌方][생기방]  (0) 2018.12.07

[洗傅方][세부방] [씻고 붙이는 방법]
治瘰癧 糝貼藥
白芷 荊芥 煎湯 溫洗 拭乾 貼膏藥 濃汁出盡後 半夏 南星 血竭 各4g 輕粉少許
爲末 唾調傅(得效).
나력을 치료할 때에는 구릿대(백지)와 형개를 달인 물로 헌데를 씻고
수건으로 닦아 말린 다음 고약을 붙인다.
그리고 고름이 다 나온 다음에는 끼무릇(반하), 천남성, 혈갈 각각 4g,
경분 조금을 함께 가루내서 침에 개어 붙인다[득효].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洗下疳瘡方][세하감창방]   (0) 2018.12.07
[洗藥方][세약방]  (0) 2018.12.07
[葉氏分涎方][섭씨분연방]   (0) 2018.12.07
[生肌方][생기방]  (0) 2018.12.07
[塞漏孔方][색누공방]  (0) 2018.12.07

[葉氏分涎方][섭씨분연방]
簡易方 治風痰 留滯膈間 喘滿惡心 涎唾不利
陳皮去白 棟參 枳實 桔梗 半夏洗七次 令軟 每个切四片
姜汁浸一夕 天南星去另皮蒸餠包灰火煨香熟 取出 各等分
㕮咀 每服二錢 水一盞 姜十片 同煎 食後服.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洗藥方][세약방]  (0) 2018.12.07
[洗傅方][세부방]  (0) 2018.12.07
[生肌方][생기방]  (0) 2018.12.07
[塞漏孔方][색누공방]  (0) 2018.12.07
[上氣方][상기방]  (0) 2018.12.07

[生肌方][생기방]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약]
凡治惡瘡 令生肌, 宜用 [生肌散] [翠霞散] [黃蠟膏].
대체로 여러 가지 악창을 치료하는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생기산, 취하산, 황랍고(이 3가지 처방은 위에 있다)를 쓰는 것이 좋다.
凡看瘡內肉黑色 勿上生肌散
宜用消蝕之藥, 直待黑肉去盡 方可生肌散(入門).
헌데의 살이 거멓게 되었으면 생기산을 먼저 쓰지 말고
삭히고 썩히는 약을 써서 거멓게 된 살을 없앤 다음 쓰는 것이 좋다[입문].
如開瘡口 用生砒 去死肉 用煆砒 生好肉, 去砒 加枯白礬(入門).
만일 헌데를 터지게 하려면 신석을 생것으로 넣어 쓰고
궂은 살을 없애려면 달구었던 신석을 넣어 쓰며
새살이 살아나게 하려면 신석을 넣지 말고 백반(구운 것)을 넣어서 써야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洗傅方][세부방]  (0) 2018.12.07
[葉氏分涎方][섭씨분연방]   (0) 2018.12.07
[塞漏孔方][색누공방]  (0) 2018.12.07
[上氣方][상기방]  (0) 2018.12.07
[去三尸蟲方][삼시충방]   (0) 2018.12.07

[塞漏孔方][색누공방]   [치루구멍을 막는 방법]
用赤石脂 白石脂 枯白礬 黃丹 腦子同 爲末塞之
或飯和撚條揷入(丹心).
치루로 구멍이 생긴 데는 적석지, 백석지, 백반(구운 것), 황단, 장뇌 등
위의 약들을 함께 가루내서 쓰는데 치루구멍에 넣는다.
혹은 밥에 개서 좌약을 만들어 밀어 넣기도 한다[단심].
澁藥塞竅 用童便煆爐甘石 牡蠣粉 龍骨 密陀僧(丹心).
수렴하는 약으로 구멍을 메게 하려면
노감석(불에 달구어 동변에 담갔던 것),
굴조개껍질(모려), 용골, 밀타승을 써야 한다[단심]
秘方 用煉蜜半盞入熊膽1分再煉 入水成珠不散 將猪鬃綿裹
撚成撚子 將蜜塗在撚子上 仍用片腦 熊膽半分 硏細搽在子
上揷入漏眼內底至盡頭 則止 如眼多 醫得一箇 又醫一箇
不可一齊 上藥 如外皮潰爛 用黃蠟 黃丹 麻油煎膏 貼瘡上
縛緊 一七日效(醫鑒).
비방(秘方)은 다음과 같다.
졸인 꿀 반잔에 곰열(웅담) 0.4g을 넣고 졸이는데
물에 넣어 보아 구슬같이 되면서 헤쳐지지 않을 때까지 졸인다.
이것을 솜에 돼지털을 싸서 만든 심지에 바른 다음 여기에
또 용뇌, 곰열(웅담) 각각 0.2g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묻혀서
치루구멍에 넣는데 들어가지 않을 때까지 깊이 꽂아 넣는다.
치루구멍이 많을 때에는 먼저 한 개의 구멍을 치료하고 다음
또 한 개의 구멍씩 치료해야 하지 한꺼번에 약을 다 꽂아 넣어서는 안 된다.
겉이 헤어졌을 때에는 황랍과 황단을 참기름에 넣고
고약같이 되게 달여 헤진 곳에 붙이고 7일 동안 싸매 두면 낫는다[의감].
塞竅 宜[辰砂膏] [生肌散] [上品錠子] [寸金錠子]
치루구멍을 막히게 하는 데는 진사고, 생기산, 상품정자, 촌금정자가 좋다.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葉氏分涎方][섭씨분연방]   (0) 2018.12.07
[生肌方][생기방]  (0) 2018.12.07
[上氣方][상기방]  (0) 2018.12.07
[去三尸蟲方][삼시충방]   (0) 2018.12.07
[殺蟲方][살충방]  (0) 2018.12.07

[上氣方][상기방]
卒上氣 喘急鳴息 便欲絶.
人參 爲細末 每4g 溫水調服 日五六服 濃煎服亦可(本草).
갑자기 기가 치밀어 올라서 숨이 몹시 차고 가래 끓는 소리가 나며
곧 숨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
인삼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하루 다섯에서 여섯번 따뜻한 물에 타 먹는다.

진하게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治上氣
白芥子一升 搗碎盛袋 浸二升酒中 經七日
每溫服 三合 日二次(本草).
기가 위로 치미는 것을 치료한다.
흰 겨자 1되를 짓찧어 주머니에 넣어서 술 2되에 담갔다가
7일이 지나면 한번에 3홉씩 하루 두번 데워 먹는다[본초].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肌方][생기방]  (0) 2018.12.07
[塞漏孔方][색누공방]  (0) 2018.12.07
[去三尸蟲方][삼시충방]   (0) 2018.12.07
[殺蟲方][살충방]  (0) 2018.12.07
[秘傳烏鬚方][비전오수방]  (0) 2018.12.07

[去三尸蟲方][삼시충방]
生漆2升

蕪菁子3升 爲末

大黃240g
爲末 酒1升

半共以微火 合煎 令可丸 丸如梧子大 空心下2丸.
10日 濁血下鼻中, 30日虫皆爛下, 50日 身光澤 一年行 及奔馬(得效).
옻(漆생것) 2되,
무청자(蕪菁子, 가루낸 것) 3되,
대황(가루낸 것) 240g,

술 1되 5홉.
위의 약들을 약한 불에 알약을 만들 수 있게 달여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알씩 빈속에 먹는데 10일 쓰면 코로 걸쭉한 피가 나오고
30일 쓰면 충(蟲)이 다 녹아 나오며 50일 쓰면 몸에 윤기가 나고
1년 쓰면 걷는 것이 달리는 말과 같이 된다[득효].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塞漏孔方][색누공방]  (0) 2018.12.07
[上氣方][상기방]  (0) 2018.12.07
[殺蟲方][살충방]  (0) 2018.12.07
[秘傳烏鬚方][비전오수방]  (0) 2018.12.07
[服梅花方][복매화방]   (0) 2018.12.07

[殺蟲方][살충방]   [벌레를 죽이는 처방]
治惡瘡有虫
膽礬 輕粉 乳香 各4g

䃃砂 雄黃 土蜂房 各8g
龍骨 虎骨 白礬 露蜂房 各10g

麝香2g,  片腦一字
爲末 藥水洗後 付之 神效(海藏).
악창에 벌레가 있는 것을 치료한다.
담반, 경분, 유향 각각 4g,
노사, 석웅황(웅황), 토봉방 각각 8g,
용골, 범뼈(호골), 백반, 노봉방 각각 10g,

사향 2g, 용뇌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먼저 약물로 헌데를 씻고 붙이면 신기한 효과가 있다[해장].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方][상기방]  (0) 2018.12.07
[去三尸蟲方][삼시충방]   (0) 2018.12.07
[秘傳烏鬚方][비전오수방]  (0) 2018.12.07
[服梅花方][복매화방]   (0) 2018.12.07
[百合洗方][백합세방]   (0) 2018.1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