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縮陽秘方][축양비방]
水蛭 尋起九條, 入水椀養住, 至七月七日, 取出陰乾,

秤有多少, 入麝香蘇合香, 三味一般細硏爲末, 蜜少許爲餅.

遇陽興時, 將少許擦左脚心, 卽時痿縮, 過日復興, 再擦[醫鑑].
거머리(살아 있는 거머리를 주발의 물 속에서 기르다가 7월 7일에 꺼내어 그늘에서 말린 것.

무게는 그때마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9마리에 사향(麝香)과

소합향(蘇合香)(셋 다 같은 양)을 넣고 세 가지를 한꺼번에 곱게 빻아서 가루낸다.

여기에 약간의 꿀을 넣어 떡처럼 만든다.

성기가 일어날 때 왼쪽 발바닥 가운데를 이 약으로 조금 문지르면 곧 시들며,

다음날 다시 일어나면 다시 문지른다(의감).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取虫方][취충방]  (0) 2018.12.10
[吹藥方][취약방]  (0) 2018.12.10
[寸白蟲方][촌백충방]  (0) 2018.12.10
[擦牙止痛方][찰아지통방]  (0) 2018.12.10
[擦牙方][찰아방]  (0) 2018.12.10

[寸白蟲方][촌백충방]
療寸白蟲
錫灰 蕪荑 檳榔 爲末 每8g 空心 取米飮 調下 極佳.
予每覺 心中多嘈雜 疑是蟲 漫服 此藥
(卽錫灰 蕪荑 檳榔 爲末 每8g 空心 取米飮調下)
翌日 下寸白一裹中 有長蟲二條 長2尺5寸 一則皆寸斷矣(本事方).
촌백충을 치료한다.
석회, 참느릅(무이), 빈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으면 아주 좋다.
내가 늘 명치 밑[心中]이 쓰리고 아파서 충이 성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 약을 먹었는데 이튿날 촌백충이 한뭉치 나왔다.
그 가운데 긴 것이 2마리나 있었는데 그것의 길이는 2자 5치였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마디마디 다 끊어져 있었다[본사방].
[寸白蟲 又方]
下寸白蟲 當晩勿食飯 五更空心時 取東引石榴根皮一握 濃煎湯
調檳榔末4g 先取 灸猪肉一塊 細嚼嚥汁 去肉 却取藥 頓服 午間
蟲盡下(得效).
또 한 가지 처방
촌백충을 몰아내려면 저녁밥을 먹지 말고 있다가 아침(4-5시) 빈속에
동쪽으로 뻗었던 석류나무뿌리(石榴根)의 껍질 한줌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에 빈랑가루 4g를 타 먹어야 하는데 먼저 돼지고기 1덩어리를 구워
잘 씹어서 고기는 버리고 즙만 먹은 다음 약을 단번에 먹어야 한낮이 되어
촌백충이 다 나온다[득효].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吹藥方][취약방]  (0) 2018.12.10
[縮陽秘方][축양비방]  (0) 2018.12.10
[擦牙止痛方][찰아지통방]  (0) 2018.12.10
[擦牙方][찰아방]  (0) 2018.12.10
[搽鼻去紅方][차비거홍방]  (0) 2018.12.10

[擦牙止痛方][찰아지통방]
黃蠆蜂窠一箇, 以川椒塡滿其竅, 更以白鹽一錢封口, 燒存性,

入白芷羊脛骨灰 各一錢, 同硏爲末, 先以茶淸漱口, 乃擦之.

有孔則以藥塞其孔, 立愈[正傳]
누런 벌의 집 한 개의 구멍마다 천초를 채우고

다시 흰 소금 한 돈으로 그 구멍을 막은 다음 약성이 남게 태운다.

여기에 백지와 양경골(태운 재) 각 한 돈씩을 넣고 함께 갈아 가루낸 다음

먼저 맑은 찻물로 입을 헹구고 바로 약가루로 문지른다.

이에 구멍이 있으면 약으로 구멍을 메우면 바로 낫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縮陽秘方][축양비방]  (0) 2018.12.10
[寸白蟲方][촌백충방]  (0) 2018.12.10
[擦牙方][찰아방]  (0) 2018.12.10
[搽鼻去紅方][차비거홍방]  (0) 2018.12.10
[調元多子方][조원다자방]  (0) 2018.12.10

[擦牙方][찰아방]
凡牙齒痛, 必用胡椒蓽撥能散其中浮熱,

監以 升麻, 寒水石,

佐以辛凉 薄荷, 荊芥, 細辛 之類.

牙痛用淸凉藥便痛甚者, 宜從治之.

蓽撥, 細辛, 川椒, 荊芥, 薄荷, 樟腦, 靑鹽 爲末, 擦之[丹心].
일반적으로 치통에는 반드시 호초나 필발 같은 약으로 이[齒] 속의 떠 있는 열을 흩는다.
승마와 한수석을 신약(臣藥)으로 삼고,
맵고 서늘한 성질[辛凉]의 박하, 형개, 세신 같은 약으로 좌약을 삼는다.
치통에 서늘한 성질[淸凉]의 약을 썼는데 더욱 심해지면 종치법을 써야 한다.
필발, 세신, 천초, 형개, 박하, 장뇌, 청염을 가루내어 문지른다(단심).
又方
荊芥, 薄荷, 細辛, 胡桐淚 等分, 麝香少許.
爲末擦牙, 熱加馬牙硝, 冷加川椒[入門].
또 다른 처방
형개, 박하, 세신, 호동루 각 같은 양,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이를 문지른다.
열증에는 마아초를, 냉증에는 천초를 더 넣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寸白蟲方][촌백충방]  (0) 2018.12.10
[擦牙止痛方][찰아지통방]  (0) 2018.12.10
[搽鼻去紅方][차비거홍방]  (0) 2018.12.10
[調元多子方][조원다자방]  (0) 2018.12.10
[照藥方][조약방]   (0) 2018.12.10

[搽鼻去紅方][차비거홍방] [코에 발라 붉은 기를 없애는 처방]
白礬, 水銀, 京墨 各一錢,

杏仁 四十九箇,

輕粉 七分,

白楊葉 七箇,

大風子四十九箇,

五味子 四十九粒,

核桃七箇.
右爲末, 雞子淸調, 搽患處[醫鑑].
백반, 수은, 경묵 각 한 돈,
행인 마흔아홉 개,
경분 일곱 푼,
백양엽 일곱 개,
대풍자 마흔아홉 개,
오미자 마흔아홉 알,
호두 일곱 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달걀 흰자위에 개어 병이 난 곳에 바른다(의감).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擦牙止痛方][찰아지통방]  (0) 2018.12.10
[擦牙方][찰아방]  (0) 2018.12.10
[調元多子方][조원다자방]  (0) 2018.12.10
[照藥方][조약방]   (0) 2018.12.10
[諸瘡中 風水 發腫痛][제창중 풍수 발종통]  (0) 2018.12.10

[二至丸][이지환]
補虛勞 氣血俱損 滋陰降火
熟地黃 龜板 白朮 黃栢 各120g
生地黃 山茱萸 當歸 知母 各80g
兎絲子 肉蓯蓉 黃芪 牛膝 枸杞子 破故紙 五味子
白芍藥 虎脛骨 白茯苓 杜冲 山藥 陳皮 人參 各40g.
爲末 蜜丸梧子大 塩湯或溫酒 下80丸至100丸.
名二至者 取冬至陽生 夏至陰生之義也(入門).
一名 [調元多子方] 夫婦皆服 其效如神(集略).
허로로 기혈이 다 부족한 것을 보하며 음을 불쿠어 주고 화를 내린다.
찐지황(숙지황), 남생이배딱지(귀판), 흰삽주(백출), 황백 각각 120g,
생지황, 산수유, 당귀, 지모 각각 80g,
새삼씨(토사자), 육종용, 단너삼(황기), 쇠무릎(우슬), 구기자, 파고지, 오미자,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범의 정강이뼈(虎脛骨), 흰솔풍령(백복령), 두충, 마(산약),
귤껍질(陳皮), 인삼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100알씩 소금 끓인 물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
이지라고 한 것은 동지에 양이 생기고 하지에 음이 생긴다는 의미이다[입문].
일명 조원다자방(調元多子方)이라고도 하는데 부부가 다 먹으면 좋다[집략].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擦牙方][찰아방]  (0) 2018.12.10
[搽鼻去紅方][차비거홍방]  (0) 2018.12.10
[照藥方][조약방]   (0) 2018.12.10
[諸瘡中 風水 發腫痛][제창중 풍수 발종통]  (0) 2018.12.10
[立效方][입효방]  (0) 2018.12.10

[照藥方][조약방]
服茯苓湯後 次用照藥
水銀 黃丹炒 白錫各4g 血竭末20g 京香1g 無麝香者
爲末 用熟艾鋪紙 入藥在中捲作條 放盞內 入香油一椀將藥條 作燈心點火
安木桶內 四圍用單被圍住 勿泄氣 眼看燈口噙凉水 熱則換水 盡藥條爲度(醫鑒).
복령탕을 먹은 다음에 조약을 써야 한다.
수은, 황단(닦은 것), 백석 각각 4g,
혈갈가루 20g, 경향(사향이 들지 않은 것)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다음 종이에 닦은 뜸쑥을 펴놓고 거기에 약가루를 넣고 비벼서 심지를 만든다.
다음 심지를 등잔에 놓고 여기에 참기름 1사발을 붓고
심지에 불을 달아 큰 나무통 안에 들여놓는다.
다음 등잔 둘레를 홑이불로 약기운이 새어나가지 않게 둘러싼다.
다음 등불을 쳐다보면서 다 탈 때까지 입에 찬물을 머금고 있되
더워지면 갈아 머금어야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搽鼻去紅方][차비거홍방]  (0) 2018.12.10
[調元多子方][조원다자방]  (0) 2018.12.10
[諸瘡中 風水 發腫痛][제창중 풍수 발종통]  (0) 2018.12.10
[立效方][입효방]  (0) 2018.12.10
[淋證方][임병방]  (0) 2018.12.10

[諸瘡中 風水 發腫痛][제창중 풍수 발종통]

여러 가지 헌데에 풍사나 물이 들어가서 붓고 아픈 것
凡瘡瘍未合 風入爲破傷風, 濕入爲破傷濕, 二者 害人 最急. 宜愼之(三因).
헌데가 아물지 않았을 때 풍사가 들어가면 파상풍(破傷風)이 생기고
습사가 들어가면 파상습(破傷濕)이 생긴다.
이 2가지 병은 아주 빨리 사람을 상하게 한다.
그러므로 늘 조심해야 한다[삼인].
諸瘡入皂角水 及惡水熱痛不止
皂角刺燒存性硏10g 砂糖末20g 和勻如膏 貼瘡上(本草).
여러 가지 헌데에 주염열매(조각)를 달인 물이나 궂은 물이 들어가면
열이 나면서 아픈 것이 멎지 않는다.
이런 데는 주염열매씨(조각자)를 약성이 남게 태워 갈아서 10g과
사탕가루 20g을 고루 섞어서 고약 같이 만들어 쓰는데 붙인다[본초].
諸瘡中風水疼腫 鯉魚目燒灰硏付 汁出卽愈,諸魚目 並得(本草).
여러 가지 헌데에 풍사나 물이 들어가서 아프고 붓는 데는
잉어 눈알(이어목)을 태워 재를 내어 갈아서 붙이면 진물이 나오고 곧 낫는다.
다른 여러 가지 고기눈알도 다 쓸 수 있다[본초].
又方 川椒1升 和麪作餠灰火熟斷 開口封合瘡上 冷則易出水 卽差(本草).
또 한 가지 처방은 조피열매(천초) 1되를
밀가루와 섞어 떡을 만들어 쓰게 되어 있는데
젖은 종이나 진흙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헌데에 맞게 썰어서 중심에 구멍을 하나 내고 붙인다.
식으면 갈아 붙이는데 진물이 나오고 곧 낫는다[본초].
又方 桑柴灰 淋汁漬之 冷復易(本草).
또 한 가지 처방은 뽕나무 잿물을 받아서 쓰는 것인데
잿물에 헌데가 생긴 부위를 담근다.
식으면 더운 것으로 바꾸어가면서 담가야 낫는다[본초].
又方 葱白連鬚煮湯 洗之 或連莖葉煨硏罯付(本草).
또 한가지 처방 파밑(총백)을 뿌리째로 물에 달여서 쓰는 것인데 그 물로 씻는다.
혹은 줄기와 잎이 달린 채로 잿불에 묻어 구워 짓찧어 붙여도 된다[본초].
又方 薤白搗爛火灸 令熱付瘡上 以帛裹定 冷則易, 出水卽差(本草).
또 한 가지 처방은 염교흰밑( 白)을 잘 짓찧어 불에 뜨겁게 구워서
헌데에 붙이고 천으로 싸매는 것이다. 식으면 더운 것으로 갈아 붙인다.
그러면 진물이 나오고 곧 낫는다[본초].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調元多子方][조원다자방]  (0) 2018.12.10
[照藥方][조약방]   (0) 2018.12.10
[立效方][입효방]  (0) 2018.12.10
[淋證方][임병방]  (0) 2018.12.10
[葎草汁方][율초즙방]   (0) 2018.12.08

[立效方][입효방]
治乳汁不行.
萵苣子, 糯米 各一合.
細硏, 水一椀, 攪勻, 入甘草末一字煎, 頻頻呷服, 妙[丹心].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와거자, 나미 각 한 홉.
위의 약들을 곱게 갈아 물 한 사발에 넣고 잘 섞은 후

감초가루 한 자를 넣고 달여 자주 먹으면 좋다(단심).

'[處方箋] > [處方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照藥方][조약방]   (0) 2018.12.10
[諸瘡中 風水 發腫痛][제창중 풍수 발종통]  (0) 2018.12.10
[淋證方][임병방]  (0) 2018.12.10
[葎草汁方][율초즙방]   (0) 2018.12.08
[溫臍種子方][온제종자방]  (0) 2018.12.08

[淋證方][임병방]
治諸淋
四巔散四錢, 益元散二錢, 梔子仁一錢
右犫 作一貼 水煎 空心服[丹心]
한 가지 처방
모든 임병을 치료한다.
사령산 16g, 익원산 8g, 산치자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단심].
[又方]
治淋莖中痛甘草梢木通各二錢靑皮黃栢澤瀉各一錢右犫
作一貼空心水煎服[丹心]
한 가지 처방
임병으로 음경 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감초(잔뿌리), 으름덩굴(목통) 각각 8g,
선귤껍질(청피), 황백, 택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단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