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柏連散][백련산]
治面上熱毒惡瘡.
黃柏 灸, 黃連, 胡粉 炒 各等分.
右爲細末, 猪脂調勻, 頻塗瘡上[得效].
얼굴에 열독으로 생긴 심한 종기를 치료한다.
황백(구운 것), 황련, 연분(볶은 것)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돼지기름에 개서 종기 위에 자주 바른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龍散][백룡산]  (0) 2018.12.21
[白歛散][백렴산]  (0) 2018.12.21
[白膠香散][백교향산]   (0) 2018.12.21
[白芥子散][백개자산]  (0) 2018.12.21
[白殭蠶散][백강잠산]  (0) 2018.12.21

[白膠香散][백교향산]
治內外膁瘡
白膠香 赤石脂 枯白礬 各20g
黃丹 乳香 沒藥 輕粉 各8g,
爲末 乾糝 或油調付(入門).
안쪽이나 바깥쪽에 생긴 염창을 치료한다.
백교향, 적석지, 백반(구운 것) 각각 20g,
황단, 유향, 몰약, 경분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뿌리거나 기름에 개서 붙인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歛散][백렴산]  (0) 2018.12.21
[柏連散][백련산]  (0) 2018.12.21
[白芥子散][백개자산]  (0) 2018.12.21
[白殭蠶散][백강잠산]  (0) 2018.12.21
[排膿內補散][배농내보산]  (0) 2018.12.21

[白芥子散][백개자산]
治七情鬱結, 營衛凝滯, 肩臂背胛牽引作痛, 時發時止.
白芥子, 木鱉子 各一兩,
沒藥, 木香, 桂心 各二錢半.
右爲末, 每取一錢, 溫酒調下[得效].
칠정으로 [기가] 몰려 뭉치고 영기와 위기가 막혀서 어깨와 팔죽지,
어깻죽지가 당겨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이 병은 아팠다 안 아팠다 한다.
백개자, 목별자 각 한 냥,
몰약, 목향, 계심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柏連散][백련산]  (0) 2018.12.21
[白膠香散][백교향산]   (0) 2018.12.21
[白殭蠶散][백강잠산]  (0) 2018.12.21
[排膿內補散][배농내보산]  (0) 2018.12.21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0) 2018.12.21

[白殭蠶散][백강잠산]
治肺虛, 遇風冷淚出, 冬月尤甚.
黃桑葉 一兩, 木賊, 旋覆花, 白殭蠶, 荊芥穗, 甘草 各三錢,

細辛 五錢.
右剉, 取七錢. 水煎, 食後服, 或爲末, 取二錢, 荊芥湯調下[入門].
폐가 허하여 풍랭(風冷)을 만나면 눈물이 나는데
겨울에 더욱 심해지는 것[충풍누출]을 치료한다.
황상엽 한 냥,
목적, 선복화, 백강잠, 형개수, 감초 각 서 돈,
세신 닷 돈.
위의 약들을 썰어 일곱 돈씩 물에 달여

식후에 먹거나 가루내어 두 돈씩 형개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膠香散][백교향산]   (0) 2018.12.21
[白芥子散][백개자산]  (0) 2018.12.21
[排膿內補散][배농내보산]  (0) 2018.12.21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0) 2018.12.21
[防風天麻散][방풍천마산]   (0) 2018.12.21

[十宣散] [십선산]
治一切癰疽 瘡癤已成者 速壞, 未成者 速散, 敗膿自出,
惡肉自去 止痛 排膿生肌, 其效如神
人參 黃芪塩水浸蒸焙 當歸酒洗 厚朴薑製 桔梗 肉桂 川芎 防風 白芷 甘草 各等分
爲末 每12g 溫酒調服 不飮酒者 木香湯調下(精要).
一名, [千金內托散] [醫鑑]
一名, [排膿內補散] [護壁都尉]服之去舊生新 [得效]
冬寒宜用夏月[內托復煎散]爲佳 [入門]
여러 가지 옹저와 창절(瘡癤)을 치료하는데
이미 곪은 것은 빨리 터지게 하고 곪지 않은 것은 빨리 삭게 하며
썩은 고름이 저절로 나오게 하고 궂은 살이 저절로 빠지게 하며
아픈 것을 멎게 하고 고름이 나오게 하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효과가 아주 크다.
인산, 단너삼(황기, 소금물에 담갔다가 쪄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당귀(술에 씻은 것), 후박(생강즙에 법제한 것), 도라지(길경), 육계,
궁궁이(천궁), 방풍,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술을 먹지 못하면 목향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정요].
일명 천금내탁산(千金內托散)이라고 한다[의감].
일명 배농내보산(排膿內補散), 일명 호벽도위(護壁都尉)라고도 하는데
먹으면 궂은 것[舊]이 없어지고 새살이 살아난다[득효].
겨울에 이 약이 좋다.
여름에는 내탁부전산(內托復煎散)이 좋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芥子散][백개자산]  (0) 2018.12.21
[白殭蠶散][백강잠산]  (0) 2018.12.21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0) 2018.12.21
[防風天麻散][방풍천마산]   (0) 2018.12.21
[防風散][방풍산]  (0) 2018.12.21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治諸風熱,或中風不語 暴瘖 語聲不出或洗頭風 破傷風 諸般風搐,
小兒驚風 積熱或瘡疹黑陷將死 或傷寒疫癘 不能辨明,
或風熱瘡疥,或頭生白屑,或面鼻生紫赤風刺 癮疹 肺風瘡,
或大風癩疾 或風火鬱甚爲腹滿澁痛,煩渴喘悶,
或熱極生風爲舌强口噤 筋惕肉瞤
或大小瘡腫惡毒或熱結大小便不通 幷解酒傷 熱毒(宣明)
滑石7g 甘草5g
石膏 黃芩 桔梗 各3g
防風 川芎 當歸 赤芍藥 大黃 麻黃 薄荷 連翹 芒硝 各2g
荊芥 白朮 梔子 各1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入門).
此方治熱 風 燥,三者之總劑也(丹心)
治 耳鳴, 加枳殼 柴胡 南星 桔梗 靑皮 荊芥酒炒製 煎服(丹心).
여러 가지 풍열증이나 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는 것[暴 ],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
머리를 감은 다음 풍을 맞은 것, 파상풍(破傷風),
여러 가지 풍병으로 경련이 일어나는 것,
어린이의 경풍(驚風), 적열(積熱), 마마와 홍역 때
구슬이 속으로 들어가서 위험하게 된 것,
상한(傷寒)인지 온역[疫 ]인지 갈라보기 힘든 것, 풍열로 생긴 헌데나 옴,
머리에 흰비듬이 생기는 것, 얼굴과 코에 벌건 여드름이나 두드러기가 돋은 것,
폐풍창(肺風瘡), 문둥병, 풍화(風火)가 몹시 몰려 배가 그득하고
말째게[澁] 아프고 번갈(煩渴)이 나고 숨이 차며 답답하거나
열이 몹시 심하여 풍이 생겨 혀가 뻣뻣해지고 이를 악물며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
크고 작은 창종(瘡腫)과 악독(惡毒)이나 열이 몰려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술독과 열독도 푼다[선명].
곱돌(활석) 6.8g, 감초 4.8g,
석고, 속썩은풀(황금), 도라지(길경) 각각 2.8g,
방풍,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각각 1.8g,
형개, 흰삽주(백출), 산치자(치자) 각각 1.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이 처방은 열(熱), 풍(風), 조(燥) 3가지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殭蠶散][백강잠산]  (0) 2018.12.21
[排膿內補散][배농내보산]  (0) 2018.12.21
[防風天麻散][방풍천마산]   (0) 2018.12.21
[防風散][방풍산]  (0) 2018.12.21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18.12.21

[防風天麻散][방풍천마산]
治風濕麻痺 走注疼痛 或偏枯 或暴瘖
滑石80g,
防風 天麻 川窮 羗活 白芷 草烏炮 白附子 荊芥穗 當歸 甘草 各20g
爲末 蜜丸彈子大 每取半丸 或一丸 熱酒 化下 覺藥力運行
微麻爲度 此散鬱開結 宣風通氣之妙劑也(正傳).
或爲末 蜜酒 調下3.75g(正傳).
풍습(風濕)으로 피부의 감각이 둔해지고 온몸의 여기저기가 아픈 것과
몸 한쪽을 쓰지 못하면서 살이 빠지는 것,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80g, 방
풍, 천마, 궁궁이(천궁),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바꽃(초오, 싸서 구운 것),
노랑돌쩌귀(백부자), 형개수, 당귀, 감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에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반 알 또는 1알을 따끈한 술에 풀어 먹는다.
약 기운이 퍼지면 살이 약간 저린데 이렇게 될 때까지 먹어야 한다.
이 약은 몰린 것을 헤치고 뭉친 것을 풀어 주며 풍(風)을 몰아내고
기(氣)를 통하게 하는 좋은 약이다.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꿀술에 타서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排膿內補散][배농내보산]  (0) 2018.12.21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0) 2018.12.21
[防風散][방풍산]  (0) 2018.12.21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18.12.21
[蚌霜散][방상산]  (0) 2018.12.21

[防風散][방풍산]
治頭目不淸, 去風明目.
防風, 川芎, 白芷, 甘菊, 甘草 各一兩.
右爲末, 每二錢, 茶淸調下[丹心].
머리와 눈이 맑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데, 풍을 몰아내어 눈을 밝게 한다.
방풍, 천궁, 백지, 감국, 감초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맑은 찻물에 타서 먹는다(단심).

[防風散][방풍산]
治積熱上衝, 頭痛如火.
羌活, 防風, 當歸, 大黃, 川芎, 梔子, 薄荷 各一錢,
蟬殼,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入燈心二十莖苦竹葉十片, 水煎服[得效].
쌓인 열이 위로 치받아 머리가 불이 난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활, 방풍, 당귀, 대황, 천궁, 치자, 박하 각 한 돈,
선태,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등심 스무 줄기와 고죽엽 열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0) 2018.12.21
[防風天麻散][방풍천마산]   (0) 2018.12.21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18.12.21
[蚌霜散][방상산]  (0) 2018.12.21
[髮灰散][발회산]  (0) 2018.12.21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治發汗過多 成痓
防風 當歸 川芎 生地黃 各10g
剉作一貼 水煎服(正傳).
땀을 지나치게 내어 치병( 病)이 된 것을 치료한다.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생지황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天麻散][방풍천마산]   (0) 2018.12.21
[防風散][방풍산]  (0) 2018.12.21
[蚌霜散][방상산]  (0) 2018.12.21
[髮灰散][발회산]  (0) 2018.12.21
[撥雲散][발운산]  (0) 2018.12.21

[蚌霜散][방상산]
治傷損吐血, 及酒食醉飽後, 低頭掬損, 血妄行, 口鼻俱出 方見諸傷.
다쳐서 피를 토하고, 술에 취하거나 밥을 배부르게 먹은 후

머리를 낮게 하고 있다가 치켜들면서 부딪혀 피가 제멋대로 돌아서

입과 코로 같이 피가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제상문에 있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散][방풍산]  (0) 2018.12.21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18.12.21
[髮灰散][발회산]  (0) 2018.12.21
[撥雲散][발운산]  (0) 2018.12.21
[發聲散][발성산]  (0) 2018.1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