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防風通聖散][방풍통성산]
治諸風熱,或中風不語 暴瘖 語聲不出或洗頭風 破傷風 諸般風搐,
小兒驚風 積熱或瘡疹黑陷將死 或傷寒疫癘 不能辨明,
或風熱瘡疥,或頭生白屑,或面鼻生紫赤風刺 癮疹 肺風瘡,
或大風癩疾 或風火鬱甚爲腹滿澁痛,煩渴喘悶,
或熱極生風爲舌强口噤 筋惕肉瞤
或大小瘡腫惡毒或熱結大小便不通 幷解酒傷 熱毒(宣明)
滑石7g 甘草5g
石膏 黃芩 桔梗 各3g
防風 川芎 當歸 赤芍藥 大黃 麻黃 薄荷 連翹 芒硝 各2g
荊芥 白朮 梔子 各1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入門).
此方治熱 風 燥,三者之總劑也(丹心)
治 耳鳴, 加枳殼 柴胡 南星 桔梗 靑皮 荊芥酒炒製 煎服(丹心).
여러 가지 풍열증이나 중풍으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는 것[暴 ], 말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
머리를 감은 다음 풍을 맞은 것, 파상풍(破傷風),
여러 가지 풍병으로 경련이 일어나는 것,
어린이의 경풍(驚風), 적열(積熱), 마마와 홍역 때
구슬이 속으로 들어가서 위험하게 된 것,
상한(傷寒)인지 온역[疫 ]인지 갈라보기 힘든 것, 풍열로 생긴 헌데나 옴,
머리에 흰비듬이 생기는 것, 얼굴과 코에 벌건 여드름이나 두드러기가 돋은 것,
폐풍창(肺風瘡), 문둥병, 풍화(風火)가 몹시 몰려 배가 그득하고
말째게[澁] 아프고 번갈(煩渴)이 나고 숨이 차며 답답하거나
열이 몹시 심하여 풍이 생겨 혀가 뻣뻣해지고 이를 악물며 힘살이 푸들거리는 것,
크고 작은 창종(瘡腫)과 악독(惡毒)이나 열이 몰려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술독과 열독도 푼다[선명].
곱돌(활석) 6.8g, 감초 4.8g,
석고, 속썩은풀(황금), 도라지(길경) 각각 2.8g,
방풍, 궁궁이(천궁),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대황, 마황, 박하, 연교, 망초 각각 1.8g,
형개, 흰삽주(백출), 산치자(치자) 각각 1.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이 처방은 열(熱), 풍(風), 조(燥) 3가지로 생긴 병을 치료하는 데 두루 쓴다[단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