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沒藥散][몰약산]
治白口瘡.
乳香, 沒藥, 雄黃 各一錢,
輕粉 半錢,
巴豆霜 少許.
右爲末, 糝之[綱目].
입 안이 허옇게 허는 것을 치료한다.
유향, 몰약, 웅황 각 한 돈,
경분 반 돈,
파두상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바른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妙勝散][묘승산]   (0) 2018.12.20
[猫蝠散][묘복산]  (0) 2018.12.20
[木香破氣散][목향파기산]  (0) 2018.12.20
[木香調氣散][목향조기산]   (0) 2018.12.20
[木香順氣散][목향순기산]  (0) 2018.12.20

[木香破氣散][목향파기산]
治氣痛.
香附子 四兩,
烏藥, 薑黃 各二兩,
木香, 甘草 灸 各五錢.
右細末, 每二錢, 鹽湯點服[心法].
기통을 치료한다.
향부자 넉 냥,
오약, 강황 각 두 냥,
목향, 감초(구운 것) 각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곱게 가루내어 두 돈씩 소금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猫蝠散][묘복산]  (0) 2018.12.20
[沒藥散][몰약산]  (0) 2018.12.20
[木香調氣散][목향조기산]   (0) 2018.12.20
[木香順氣散][목향순기산]  (0) 2018.12.20
[木香三稜散][목향삼릉산]  (0) 2018.12.20

[木香調氣散][목향조기산]
治氣鬱
烏藥 香附子 枳殼 靑皮 陳皮 厚朴 蕪芎 蒼朮 各4g
木香 縮砂 各2g, 

 桂皮 甘草 各1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回春).
기울(氣鬱)을 치료한다.
오약, 향부자, 지각,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후박,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각각 4g,
목향, 사인 각각 2g,

계피,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沒藥散][몰약산]  (0) 2018.12.20
[木香破氣散][목향파기산]  (0) 2018.12.20
[木香順氣散][목향순기산]  (0) 2018.12.20
[木香三稜散][목향삼릉산]  (0) 2018.12.20
[木香散][목향산]  (0) 2018.12.19

[木香順氣散][목향순기산]
治 中氣
烏藥 靑皮 香附子 陳皮 厚朴 半夏 枳殼 各4g,
唐木香 砂仁 各3g,
桂皮 乾薑 甘草 各2g,

生薑4g.
爲剉 水煎服(回春)
중기를 치료한다.
오약, 선귤껍질(청피), 향부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후박, 지각 각각 4g,

목향, 사인 각각 2g,

계피, 건강, 감초(닦은 것)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破氣散][목향파기산]  (0) 2018.12.20
[木香調氣散][목향조기산]   (0) 2018.12.20
[木香三稜散][목향삼릉산]  (0) 2018.12.20
[木香散][목향산]  (0) 2018.12.19
[木香檳榔散][목향빈랑산]  (0) 2018.12.19

[木香三稜散][목향삼릉산]
治腹中有虫, 面色萎黃.
黑牽牛子 半生半炒取頭末 五錢,

大黃 三錢, 大腹子, 檳榔, 雷丸, 錫灰 醋炒, 三稜 煨, 蓬朮 煨, 木香各二錢.
右爲末, 每三錢空心蜜水調下, 先嚥肉汁, 乃服藥[瑞竹].
뱃속에 충이 있어 안색이 마르고 누렇게 뜨는 것을 치료한다.
흑견우자(반은 날것, 반은 볶아서 두말한 것) 다섯 돈,

대황 서 돈, 대복자, 빈랑, 뇌환, 석회(식초를 넣어 볶은 것),

삼릉(잿불에 묻어 구운 것), 봉출(잿불에 묻어 구운 것), 목향 각 두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서 돈씩 빈속에 꿀물에 타서 먹는데,

우선 고기의 즙을 삼킨 후에 약을 먹는다(서죽).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調氣散][목향조기산]   (0) 2018.12.20
[木香順氣散][목향순기산]  (0) 2018.12.20
[木香散][목향산]  (0) 2018.12.19
[木香檳榔散][목향빈랑산]  (0) 2018.12.19
[木香勻氣散][목향균기산]  (0) 2018.12.19

[木香散][목향산]
治藏寒滑泄, 米穀不化, 上熱下冷, 口瘡瘦瘁.
木香, 破故紙 炒 各一兩,

良薑, 縮砂, 厚朴 各七錢半,

赤芍藥, 陳皮, 肉桂, 白朮 各五錢,

吳茱萸, 胡椒 各二錢半,

肉豆蔲 煨 四箇,

檳榔 一箇.
右爲末, 每三錢, 猪肝四兩批開, 重重糝藥, 槳水一椀, 入醋少許,

盖覆煮熟, 入鹽葱白三莖生薑彈子大同煮, 水欲盡, 空心, 作一服, 冷食之.

初微溏不妨. 經年滑泄與冷痢, 只一服效. 渴則飮粥湯[得效].
장이 차서[臟寒] 걷잡을 수 없이 줄줄 설사하고 소화되지 않은 변이 나오며,

위는 열이 있고 아래는 차며 입이 헐고 몸이 수척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파고지(볶은 것) 각 한 냥,

양강, 사인, 후박  각 일곱 돈 반,

적작약 진피 육계 백출 각 다섯 돈,

오수유 호초 각 두 돈 반,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네 개,

빈랑 한 개.
위의 약들을 가루낸 다음 서 돈씩을 돼지의 간 넉 냥을 갈라 그 사이사이에 뿌리고,

좁쌀죽 웃물[漿水] 한 사발에 식초를 약간 넣은 뒤 뚜껑을 덮고 끓여 익힌다.

여기에 소금과 총백 세 뿌리, 탄자대의 생강을 넣고 달이는데

물이 거의 다 졸도록 달인 다음 식혀서 빈속에 한 번에 먹는다.

처음에는 약간 묽은 대변[微溏]을 보더라도 상관없다.

몇 년 동안 계속하여서 활설과 냉리(冷痢)가 있을 때도

이 약을 한 번만 먹으면 효과가 있다.

갈증이 나면 죽을 끓여 먹는다(득효).

[木香散]
治脾腎泄.
肉豆蔲, 破故紙, 白朮, 白茯苓 各一錢半,

木香,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得效].
비신설을 치료한다.
육두구 파고지 백출 백복령 각 한 돈 반,

목향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木香散]
治久痢及血痢.
甘草 灸 一兩, 木香, 黃連 各五錢

同炒, 鸎粟殼, 生薑 各五錢 同炒.
右爲末, 入麝香少許, 空心米飮調下二錢[本事].
구리와 혈리를 치료한다.
감초(구운 것) 한 냥,

목향 황련 각 다섯 돈(목향과 황련은 같이 볶는다),

앵속각 생강 각 다섯 돈(앵속각과 생강은 같이 볶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사향을 조금 넣어 두 돈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본사).

[木香散]
治脾腎俱虛 泄瀉
肉豆蔲煨 破故紙炒 白朮 白茯苓 6g 

木香 甘草灸 3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空心 水煎服(直指).
비와 신이 다 허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보골지(파고지, 닦은 것),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6g,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六神湯][육신탕]
治脾腎俱虛 泄瀉
肉豆蔲煨 破故紙炒 白朮 白茯苓 各6g
木香 甘草灸 各3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空心 水煎服(直指).
一名 [木香散][得效]
비와 신이 다 허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보골지(파고지, 닦은 것),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6g,
목향, 감초(닦은 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직지].
득효방에는 목향산(木香散)이라고 하였다.

[加減木香散][가감목향산]
治飱泄水穀痢
木香 良薑 升麻 檳榔 人蔘 白朮 各10g
神麴炒8g,

肉豆蔲煨, 吳茱萸 湯洗, 乾薑炮 陳皮 縮砂 各2g
麤末 每20g 空心 水煎服之 亦治腸風 飱泄(綱目).
손설과 수곡리를 치료한다.
목향, 양강, 승마, 빈랑,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10g,

약누룩(신국, 닦은 것) 8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오수유(끓는 물에 씻은 것),

건강(싸서 구운 것), 귤껍질(陳皮), 사인 각각 2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20g씩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또한 장풍(腸風)과 손설도 치료한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順氣散][목향순기산]  (0) 2018.12.20
[木香三稜散][목향삼릉산]  (0) 2018.12.20
[木香檳榔散][목향빈랑산]  (0) 2018.12.19
[木香勻氣散][목향균기산]  (0) 2018.12.19
[木筆花散][목필화산]   (0) 2018.12.19

[木香檳榔散][목향빈랑산]
治癰疽瘡癤潰後膿水不止肌肉不生不斂

木香  檳峹  黃連 各等分
右細末新水調塗濕則乾敄膏粱熟瘡所宜用
一方加黃丹[局方]
옹저와 창절이 터진 뒤에 고름과 진물이 멎지 않고 나오고
새살이 살아나오지 못하며 아물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빈랑, 황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개서 바른다.
진물이 많이 나오면 마른 가루로 뿌린다.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생긴 열로 된 열창(熱瘡)에 쓴다.
어떤 처방에는 황단이 더 들어 있다[국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三稜散][목향삼릉산]  (0) 2018.12.20
[木香散][목향산]  (0) 2018.12.19
[木香勻氣散][목향균기산]  (0) 2018.12.19
[木筆花散][목필화산]   (0) 2018.12.19
[木通散][목통산]  (0) 2018.12.19

[木香勻氣散][목향균기산]
治氣鬱滯.
藿香 甘草灸 各320g,

砂仁160g,
沈香 木香 丁香 白丹香 白豆寇 各8g,
爲末 每8g, 生薑6g, 蘇葉5葉,
鹽少許 煎湯 點服(入門)
기가 울체된 것을 치료한다.
곽향, 감초(닦은 것) 각각 32g,
사인 16g,

침향, 목향, 정향, 백단향, 백두구 각각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차조기잎(자소엽) 5개
소금을 조금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散][목향산]  (0) 2018.12.19
[木香檳榔散][목향빈랑산]  (0) 2018.12.19
[木筆花散][목필화산]   (0) 2018.12.19
[木通散][목통산]  (0) 2018.12.19
[木賊散][목적산]   (0) 2018.12.19

[木筆花散][목필화산]
痘愈後 餘瘡塞鼻中 不得睡臥
辛夷花 爲細末 加麝香少許

以葱白 蘸入鼻中數次 卽通(得效).
신이화(辛夷花)를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약간의 사향을 넣어
파밑(총백)으로 묻혀서 콧구멍에 몇 번 넣으면 곧 통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檳榔散][목향빈랑산]  (0) 2018.12.19
[木香勻氣散][목향균기산]  (0) 2018.12.19
[木通散][목통산]  (0) 2018.12.19
[木賊散][목적산]   (0) 2018.12.19
[木萸散][목유산]  (0) 2018.12.19

[木通散][목통산]
治脇肋苦痛.
木通, 靑皮, 川練子 各六錢半

以巴豆肉二錢半同炒黃, 去巴豆,

蘿葍子 炒, 茴香 炒 各五錢,

蓬朮, 木香, 滑石 各二錢半.
右爲末, 濃煎葱白湯, 調三錢服, 卽愈[得效].
옆구리가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목통, 청피, 천련자 각 엿 돈 반(파두육 두 돈 반을 넣고 함께 누렇게 볶은 후 파두는 버린다),

나복자(볶은 것), 회향(볶은 것) 각 닷 돈,

봉출, 목향, 활석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서 돈씩 총백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바로 낫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香勻氣散][목향균기산]  (0) 2018.12.19
[木筆花散][목필화산]   (0) 2018.12.19
[木賊散][목적산]   (0) 2018.12.19
[木萸散][목유산]  (0) 2018.12.19
[牧丹散][목단산]  (0) 2018.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