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髮灰散][발회산]
治尿血.
亂髮 燒存性爲末.
每二錢, 以醋二合湯少許調服,

或以井華水亦得[綱目].
요혈을 치료한다.
머리카락(소존성으로 태워 가루낸다).
발회산 두 돈을 식초 두 홉을 넣어 끓인 물에 조금씩 타서 먹는다.

또는 정화수에 타서 먹는다(강목).
髮灰 丸, 治同.

髮灰, 以側柏葉汁調糯米粉, 和丸梧子大, 白湯呑下五十丸[正傳].
발회환도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머리카락 태운 것을 찹쌀가루를 넣은 측백엽즙으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끓인 물로 쉰 알씩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18.12.21
[蚌霜散][방상산]  (0) 2018.12.21
[撥雲散][발운산]  (0) 2018.12.21
[發聲散][발성산]  (0) 2018.12.21
[拔毒散][발독산]  (0) 2018.12.21

[撥雲散][발운산]
治風毒上攻, 眼目昏暗, 瞖膜遮睛, 痒痛多淚.
柴胡 二兩,

羌活, 防風, 甘草 各一兩.
右爲末, 每二錢, 以薄荷湯, 或茶淸調下.
或剉取五錢, 水煎服, 亦效[入門].
풍독(風毒)이 위 눈를 공격하여 눈이 어둡고 침침하거나
예막이 생겨 차츰 눈을 가리게 되며 가렵고 아프면서 눈물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두 냥,
강활, 방풍, 감초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박하 달인 물이나 맑은 찻물에 타서 먹는다.
또는 각 약재를 닷 돈씩 썰어서 물에 달여 먹어도 좋다(입문).

[加減撥雲散][가감발운산]
治諸般眼病.
羌活 二兩二錢半,
甘菊 一兩九錢,
木賊, 白蒺藜 各一兩一錢半,
防風, 柴胡, 蒼朮, 枳殼, 川芎, 甘草 各一兩一錢,
荊芥, 薄荷 各一兩,
蟬殼 七錢半,
石決明 煅製, 密蒙花 各四錢.
右爲末, 每二錢, 薄荷湯調下, 食後[醫林].
모든 눈병을 치료한다.
강활 두 냥 두 돈 반,
감국 한 냥 아홉 돈,
목적, 백질려 각 한 냥 한 돈 반,
방풍, 시호, 창출, 지각, 천궁, 감초 각 한 냥 한 돈,
형개, 박하 각 한 냥,
선태 일곱 돈 반,
석결명(담금질한 것), 밀몽화 각 너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후에 두 돈씩 박하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의림).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蚌霜散][방상산]  (0) 2018.12.21
[髮灰散][발회산]  (0) 2018.12.21
[發聲散][발성산]  (0) 2018.12.21
[拔毒散][발독산]  (0) 2018.12.21
[返魂追命再造散][반혼추명재조산]   (0) 2018.12.21

[發聲散][발성산]
治咽痛生瘡, 妨悶.
黃瓜蔞 大者 一箇,

桔梗 七錢半,

白殭蠶 炒 五錢,

甘草 炒 二錢.
右爲末, 每取少許乾糝. 如咽喉腫痛, 左右有紅,

或一邊紅紫長大, 此藥加朴硝一錢, 和勻糝之,

如喉中有小白頭瘡, 前藥入白礬末半錢, 和糝[綱目].
목구멍이 아프고 헐며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황과루(큰 것) 한 개,

길경 일곱 돈 반, 백강잠(볶은 것) 닷 돈,

감초(볶은 것) 두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말려서 조금씩 목 안에 뿌린다.

인후가 붓고 아픈데 왼쪽과 오른쪽이 빨갛게 붓거나 한쪽만 빨갛게 크게 부으면

발성산에 박초 한 돈을 더 넣어 잘 섞은 다음 뿌리고,

목구멍에 끝이 하얀 작은 헌데가 생겼을 때에는

발성산에 백반가루 반 돈을 더 넣어 섞어서 뿌린다(강목).

[發聲散][발성산]
治語聲不出.
黃瓜蔞 一箇 剉焙, 桔梗 七錢

半生半炒, 白殭蠶 炒 五錢,

甘草 炒 二錢.
右爲末, 每三錢, 溫酒調下, 或薑湯調下[海藏].
말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과루(썰어서 약한 불에 말린 것) 한 개,

길경 일곱 돈(반은 날것으로 쓰고, 반은 볶는다), 백강잠(볶은 것) 다섯 돈,

감초(볶은 것) 두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서 돈씩 따뜻한 술이나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해장).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髮灰散][발회산]  (0) 2018.12.21
[撥雲散][발운산]  (0) 2018.12.21
[拔毒散][발독산]  (0) 2018.12.21
[返魂追命再造散][반혼추명재조산]   (0) 2018.12.21
[半夏散][반하산]  (0) 2018.12.21

[拔毒散][발독산]
治丹毒遊走不定.
寒水石, 生石膏 各二兩,
黃柏, 甘草 各五錢.
右爲末, 新水調, 雞羽刷上, 或攤紙花, 貼之[東垣].
단독이 여기저기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 생석고 각 두 냥,
황백, 감초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개어서 닭의 깃으로 아픈 곳에 발라준다.
또는 종이에 약을 발라 아픈 곳에 붙이기도 한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撥雲散][발운산]  (0) 2018.12.21
[發聲散][발성산]  (0) 2018.12.21
[返魂追命再造散][반혼추명재조산]   (0) 2018.12.21
[半夏散][반하산]  (0) 2018.12.21
[半夏乾薑散][반하건강산]   (0) 2018.12.21

[返魂追命再造散][반혼추명재조산]
治大風癩
皂角刺60g

大黃40g
爲末 每7.5g 冷酒調下 瀉虫出(直指).
문둥병을 치료한다.
주염나무가시(조각자) 60g, 대황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찬 술에 타 먹으면
설사가 나면서 벌레가 나온다[직지].
一方, 治大風勢重 不可救者 皂角刺0.6~1.2kg
九蒸九暴 硏爲末 食上濃煎 大黃湯 調下3.75g
一旬鬚髮再生 肌膚悅潤 眼明倍常 其效如神(本草).
또 한 가지 처방은 문둥병으로 위급해진 것을 치료하게 되어 있는데
주염나무가시(조각자) 0.6-1.2kg을 아홉번 찌고 햇볕에 말려 가루내서
한번에 4g씩 대황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이 약을 10일간 먹으면 빠졌던 수염과 머리털이 다시 나오고
피부가 윤택해지며 눈이 평소보다 더 밝아지는데 그 효과가 신기하다[본초].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發聲散][발성산]  (0) 2018.12.21
[拔毒散][발독산]  (0) 2018.12.21
[半夏散][반하산]  (0) 2018.12.21
[半夏乾薑散][반하건강산]   (0) 2018.12.21
[蟠葱散][반총산]  (0) 2018.12.21

[半夏散][반하산]
治少陰客寒咽痛
半夏製 桂枝 甘草灸 各8g
爲剉作一貼 水煎 小小嚥服(仲景).
소음병 때 객한(客寒)으로 목구멍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계지, 감초(닦은 것) 각각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조금씩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拔毒散][발독산]  (0) 2018.12.21
[返魂追命再造散][반혼추명재조산]   (0) 2018.12.21
[半夏乾薑散][반하건강산]   (0) 2018.12.21
[蟠葱散][반총산]  (0) 2018.12.21
[礬硝散][반초산]  (0) 2018.12.21

[半夏乾薑散][반하건강산]
治乾嘔吐涎沫
半夏 乾薑 各等分
爲粗末 每取12g 水煎 緩緩服(仲景).
헛구역이 나고 거품침을 뱉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건강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천천히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返魂追命再造散][반혼추명재조산]   (0) 2018.12.21
[半夏散][반하산]  (0) 2018.12.21
[蟠葱散][반총산]  (0) 2018.12.21
[礬硝散][반초산]  (0) 2018.12.21
[半粟散][반속산]   (0) 2018.12.20

[蟠葱散][반총산]
治脾胃虛冷. 心腹攻刺, 連胸脇, 膀胱小腸腎氣作痛.
蒼朮, 甘草 各一錢,

三稜, 蓬朮, 白茯苓, 靑皮 各七分,

縮砂, 丁香皮, 檳榔 各五分,

玄胡索, 肉桂, 乾薑 各三分.
右麤末作一貼, 葱白一莖, 煎服[入門].
비위가 허하고 차가워서 가슴과 배가 콕콕 찌르는 것이 옆구리까지 이어지는 것과
방광기, 소장기, 신기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창출, 감초 각 한 돈,
삼릉, 봉출, 백복령, 청피 각 일곱 푼,
사인, 정향피, 빈랑 각 닷 푼,
현호색, 육계, 건강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 첩으로 하여 총백 한 뿌리를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散][반하산]  (0) 2018.12.21
[半夏乾薑散][반하건강산]   (0) 2018.12.21
[礬硝散][반초산]  (0) 2018.12.21
[半粟散][반속산]   (0) 2018.12.20
[礬茶散][반다산]   (0) 2018.12.20

[礬硝散][반초산]
治女勞疸
白飯 硝石 各3.75g
爲末 以大麥粥 飮調下(入門).
一方, 去硝石 代滑石 治濕疸(入門).
여로달을 치료한다.
백반, 초석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보리죽에 타서 먹는다[입문].
어떤 처방은 초석을 빼고 대신
곱돌(활석)을 넣어서 습달(濕疸)을 치료하게 되어 있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乾薑散][반하건강산]   (0) 2018.12.21
[蟠葱散][반총산]  (0) 2018.12.21
[半粟散][반속산]   (0) 2018.12.20
[礬茶散][반다산]   (0) 2018.12.20
[密陀僧散][밀타승산]  (0) 2018.12.20

[半粟散][반속산]
治吐涎沫 或白綠水者 胃冷 宜用此
半夏薑製8g 陳粟米4g
爲作一貼 入薑10片 水煎服(正傳).
위가 차서 거품침이나 희고 푸른 물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8g, 묵은 좁쌀 4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10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蟠葱散][반총산]  (0) 2018.12.21
[礬硝散][반초산]  (0) 2018.12.21
[礬茶散][반다산]   (0) 2018.12.20
[密陀僧散][밀타승산]  (0) 2018.12.20
[密蒙花散][밀몽화산]  (0) 2018.1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