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灰散][백회산]
治緊唇.
白布作燈炷如指大, 安斧刃上燃炷, 令汗出.
拭取付唇上, 日二三度. 故靑布亦佳, 猪脂調付, 尤佳[得效].
견순을 치료한다.
흰 베 헝겊으로 손가락 굵기의 심지를 만들어 넓은 도끼날 위에 놓고
심지를 태워 도끼날 위에 물기가 서리게 한다.
이 물기를 훔쳐서 입술에 묻히는데 하루에 두세 번 한다.
쪽물을 들인 오래된 베 헝겊을 써도 좋은데, 돼지기름에 개어서 붙이면 더욱 좋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霹靂散][벽력산]  (0) 2018.12.21
[碧金散][벽금산]  (0) 2018.12.21
[白黃散][백황산]  (0) 2018.12.21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0) 2018.12.21
[栢蛤散][백합산]   (0) 2018.12.21

[白黃散][백황산]
治鼻齆瘜肉鼻痔.
白礬, 雄黃, 細辛, 瓜旬 各等分.
爲末, 以雄犬膽汁, 和丸, 綿裹塞鼻中[丹心].
코가 군살로 막힌 것이나 비치증을 치료한다.
백반, 웅황, 세신, 과체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수캐의 쓸개즙으로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콧구멍을 막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碧金散][벽금산]  (0) 2018.12.21
[白灰散][백회산]  (0) 2018.12.21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0) 2018.12.21
[栢蛤散][백합산]   (0) 2018.12.21
[白扁豆散][백편두산]   (0) 2018.12.21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治百合病變寒熱者
百合40g,
滑石120g
爲末 每11.25g 白湯下 日三服(仲景).
백합병 때 변하여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나리(백합) 40g,

곱돌(활석)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하루 세번 끓인 물로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灰散][백회산]  (0) 2018.12.21
[白黃散][백황산]  (0) 2018.12.21
[栢蛤散][백합산]   (0) 2018.12.21
[白扁豆散][백편두산]   (0) 2018.12.21
[白朮安胃散][백출안위산]  (0) 2018.12.21

[栢蛤散][백합산]
治下疳濕瘡
黃栢 以磁鋒刮取末 蛤粉,
爲末 等分 糝傷卽愈.
皆黃栢去熱,蛤粉燥濕也(入門).
하감습창(下疳濕瘡)을 치료한다.
황백(사기조각으로 긁어서 가루낸 것), 조가비가루(합분)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섞어서 헌데에 뿌리면 곧 낫는다.
황백은 열을 내리고 조가비가루는 습을 말린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黃散][백황산]  (0) 2018.12.21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0) 2018.12.21
[白扁豆散][백편두산]   (0) 2018.12.21
[白朮安胃散][백출안위산]  (0) 2018.12.21
[白朮散][백출산]  (0) 2018.12.21

[白扁豆散][백편두산]
治毒藥攻胎藥毒衝心口夝握拳自汗不省其怴浮而軟十死一生
白扁豆生

爲末新汲水調下二三錢卽甦口夝者斡開灌之[得效]
임신 중에 낙태시키기 위해 독한 약을 먹은 탓으로
약독이 가슴으로 치밀어서 이를 악물고 주먹을 쥐며 저절로 땀이 나고
정신을 잃으며 맥이 부(浮)하면서 연(軟)하면 10에 하나가 살 수 있는데
이런 것을 치료한다.
까치 콩(백편두, 생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12g씩 새로 길어 온 물에 타 먹으면 곧 살아난다.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억지로 입을 벌리고 떠넣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合滑石散][백합활석산]   (0) 2018.12.21
[栢蛤散][백합산]   (0) 2018.12.21
[白朮安胃散][백출안위산]  (0) 2018.12.21
[白朮散][백출산]  (0) 2018.12.21
[白芷散][백지산]  (0) 2018.12.21

[白朮安胃散][백출안위산]
治一切瀉痢, 無問膿血.
鸎粟殼 蜜炒 二錢,
赤茯苓, 白朮, 車前子 各一錢,
五味子, 烏梅肉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服[丹心].
피나 고름이 나오든 나오지 않든 상관없이 모든 설사나 이질을 치료한다.
앵속각(꿀물에 축여 볶은 것) 두 돈,
적복령, 백출, 차전자 각 한 돈,
오미자, 오매육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栢蛤散][백합산]   (0) 2018.12.21
[白扁豆散][백편두산]   (0) 2018.12.21
[白朮散][백출산]  (0) 2018.12.21
[白芷散][백지산]  (0) 2018.12.21
[百中散][백중산]  (0) 2018.12.21

[白朮散][백출산]
治飮酒中風, 汗多不可單衣, 食則汗出如洗, 久不治, 必爲消渴.
防風 二兩半,

白朮 一兩二錢,

牡蠣 煅 三錢.
右爲末, 每二錢, 溫水調下[河間].
술을 마시고 풍(風)을 맞아 땀이 많이 나서 홑옷 하나도 입지 못하며,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서 물로 씻은 듯한 것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소갈증이 된다.
방풍 두 냥 반,

백출 한 냥 두 돈,

모려(불에 달군 것) 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번에 두 돈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하간).

[加減白朮散][가감백출산]
乾葛8g,

人蔘 白朮 白茯苓 各4g
木香 知母 黃栢 甘草 各2g

五味子9粒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칡뿌리(갈근)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목향, 지모, 황백, 감초 각각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白朮散][가미백출산]
治氣虛喘急 飮食不進 又治喘嗽 飮酒必發者
卽參苓白朮散方見內傷 加陳皮 半夏 各4g
爲作一服 入薑三片 桑白皮7寸 同煎服(得效).
기가 허하여 숨이 차고 음식맛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숨
이 차고 기침을 하는 것이 술을 마시면 발작하는 것도 낫게 한다.
삼령백출산(蔘 白朮散,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
약재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4g을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7치를 넣어서 달여 먹는다[득효].

[加味錢氏白朮散][가미전씨백출산]
治消渴 不能食 又治消中 善飢
乾葛8g,
人蔘 白朮 白茯苓 藿香 甘草 各4g
木香 柴胡 枳殼 五味子 各2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소갈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것과 소중으로 배가 이내 고픈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풀령(백복령), 곽향, 감초 각각 4g,
목향, 시호, 지각, 오미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扁豆散][백편두산]   (0) 2018.12.21
[白朮安胃散][백출안위산]  (0) 2018.12.21
[白芷散][백지산]  (0) 2018.12.21
[百中散][백중산]  (0) 2018.12.21
[白丁散][백정산]  (0) 2018.12.21

[白芷散][백지산]
治頭面諸風及風眩.
白芷.
以蘿葍汁浸晒爲末, 每二錢, 沸湯調下, 食後[入門].
머리와 얼굴에 생긴 여러 풍증이나 풍으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백지.
위의 약을 무즙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서 가루낸 것을

식후에 두 돈씩 끓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安胃散][백출안위산]  (0) 2018.12.21
[白朮散][백출산]  (0) 2018.12.21
[百中散][백중산]  (0) 2018.12.21
[白丁散][백정산]  (0) 2018.12.21
[白芍藥散][백작약산]   (0) 2018.12.21

[百中散][백중산]
治一切痢, 無問赤白, 二三服便愈.
鸎粟殼 蜜炒赤色, 厚朴 薑製 各二兩半.
右爲末, 每二三錢, 空心, 米飮調下. 忌生冷毒物[得效].
모든 이질을 치료하는데,

피나 고름이 나오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두세 번만 먹으면 낫는다.
앵속각(꿀물에 축여 빨갛게 볶은 것), 후박(생강으로 법제한 것) 각 두 냥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번에 두 돈에서 서 돈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날것, 찬 것, 독이 있는 음식은 피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散][백출산]  (0) 2018.12.21
[白芷散][백지산]  (0) 2018.12.21
[白丁散][백정산]  (0) 2018.12.21
[白芍藥散][백작약산]   (0) 2018.12.21
[栢子仁散][백자인산]  (0) 2018.12.21

[白丁散][백정산]
治吹 , 初覺服此, 卽能下乳汁, 通血脈, 令自消.
白丁香 直者.
爲末, 每二錢, 溫酒調下[醫鑑].
취내를 치료한다. 처음 멍울이 만져질 때
이 약을 먹으면 젖이 바로 나오고 혈맥이 통해서 저절로 없어지게 된다.
백정향(곧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두 돈씩 따뜻한 술에 타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芷散][백지산]  (0) 2018.12.21
[百中散][백중산]  (0) 2018.12.21
[白芍藥散][백작약산]   (0) 2018.12.21
[栢子仁散][백자인산]  (0) 2018.12.21
[白牙散][백아산]  (0) 2018.1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