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朮散][백출산]
治飮酒中風, 汗多不可單衣, 食則汗出如洗, 久不治, 必爲消渴.
防風 二兩半,
白朮 一兩二錢,
牡蠣 煅 三錢.
右爲末, 每二錢, 溫水調下[河間].
술을 마시고 풍(風)을 맞아 땀이 많이 나서 홑옷 하나도 입지 못하며,
음식을 먹으면 땀이 나서 물로 씻은 듯한 것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치료하지 않으면 반드시 소갈증이 된다.
방풍 두 냥 반,
백출 한 냥 두 돈,
모려(불에 달군 것) 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번에 두 돈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하간).
[加減白朮散][가감백출산]
乾葛8g,
人蔘 白朮 白茯苓 各4g
木香 知母 黃栢 甘草 各2g
五味子9粒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칡뿌리(갈근)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목향, 지모, 황백, 감초 각각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白朮散][가미백출산]
治氣虛喘急 飮食不進 又治喘嗽 飮酒必發者
卽參苓白朮散方見內傷 加陳皮 半夏 各4g
爲作一服 入薑三片 桑白皮7寸 同煎服(得效).
기가 허하여 숨이 차고 음식맛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데 숨
이 차고 기침을 하는 것이 술을 마시면 발작하는 것도 낫게 한다.
삼령백출산(蔘 白朮散, 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
약재에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각각 4g을 넣은 것이다.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7치를 넣어서 달여 먹는다[득효].
[加味錢氏白朮散][가미전씨백출산]
治消渴 不能食 又治消中 善飢
乾葛8g,
人蔘 白朮 白茯苓 藿香 甘草 各4g
木香 柴胡 枳殼 五味子 各2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소갈로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것과 소중으로 배가 이내 고픈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갈근) 8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풀령(백복령), 곽향, 감초 각각 4g,
목향, 시호, 지각, 오미자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