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附子散][백부자산]
治風寒入腦, 令腦逆頭痛, 齒亦痛. 或牽引兩眼, 遂至失明.
白附子 一兩,
麻黃 不去節, 川烏, 南星 各五錢,
全蝎 五箇,
乾薑, 朱砂, 麝香 各二錢半.
右爲末, 溫酒調五分服, 服訖, 去枕臥少時[得效].
풍한이 뇌 속으로 들어가면 뇌가 거슬러 올라가서[腦逆]
머리가 아프고(궐역두통) 이도 아프다.
심지어 두 눈이 당겨서 아주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백부자 한 냥,
마황(마디를 잘라내지 않은 것), 천오, 남성 각 닷 돈,
전갈 다섯 개,
건강, 주사, 사향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닷 푼씩 데운 술에 타서 먹고 베개를 베지 않고 잠시 누워 있는다(득효).
頭痛連齒, 時發時止, 連年不已, 此由風寒留於骨髓,
髓者以腦爲主, 腦逆故頭痛, 齒亦痛. 宜服白附子散, 灸曲鬢穴[資生].
머리가 아프면서 이까지 아픈데, 아팠다 안 아팠다 하면서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은 풍한이 골수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골수는 뇌가 주인이 되는데, 뇌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머리가 아프고 이까지 아픈 것이다.
백부자산을 쓰고 곡빈혈에 뜸을 뜬다(자생).
[白附子散][백부자산]
治面上熱瘡, 或斑點.
白附子, 密佗僧, 白茯苓, 白芷, 官粉 各等分.
右爲末. 蘿葍煎湯洗面後, 羊乳調成膏, 附患處, 明早洗去. 無羊乳, 則代人乳[醫鑑].
얼굴의 열성 종기[熱瘡]나 반점을 치료한다.
백부자, 밀타승, 백복령, 백지, 연분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무를 달인 물로 세수한 다음
양젖에 개서 고약처럼 만들어 환부에 붙이고 다음 날 아침에 씻어낸다.
양젖이 없으면 사람 젖을 대신 써도 된다(의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