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芍藥散][백작약산]
治赤白帶, 久不止.
白芍藥 二兩,

乾薑 五錢.
右各炒黃色爲末, 米飮調下二錢, 日二[綱目].
적대하나 백대하가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백작약 두 냥,

건강 다섯 돈.
위의 약들을 따로따로 누렇게 볶아서 가루낸 다음
미음에 두 돈씩 타서 하루에 2번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中散][백중산]  (0) 2018.12.21
[白丁散][백정산]  (0) 2018.12.21
[栢子仁散][백자인산]  (0) 2018.12.21
[白牙散][백아산]  (0) 2018.12.21
[百壽散][백수산]   (0) 2018.12.21

[栢子仁散][백자인산]
治産後譫言妄語 皆心血虧欠 心神不守所致
栢子仁 遠志 人參 桑寄生 防風 琥珀 當歸 熟地黃 甘草 各等分
爲剉 每20g 先以白羊心一枚煮汁 取2盞 乃入藥 煎至1盞 去渣 溫服(正傳).
해산 후에 헛소리와 허튼 말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것은 다 심혈(心血)이 부족하여 정신이 안정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측백씨(백자인), 원지, 인삼,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방풍, 호박,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썬다.
먼저 흰 양의 염통 1개를 물에 삶아 2잔이 되면
그 물에 약가루를 한번에 20g씩 넣고 한 잔이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丁散][백정산]  (0) 2018.12.21
[白芍藥散][백작약산]   (0) 2018.12.21
[白牙散][백아산]  (0) 2018.12.21
[百壽散][백수산]   (0) 2018.12.21
[白蛇散][백사산]  (0) 2018.12.21

[白牙散][백아산]
백지(白芷)(2.625 g)

사향(麝香)(소량)
승마(升麻)(3.75 g)

양경골(羊脛骨)(7.5 g)

연석고(軟石膏)(11.25 g)
右爲細末.
先以溫水漱口, 次擦之妙.
가루 낸다.
먼저 온수로 입을 닦고 다시 비비면 좋아진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芍藥散][백작약산]   (0) 2018.12.21
[栢子仁散][백자인산]  (0) 2018.12.21
[百壽散][백수산]   (0) 2018.12.21
[白蛇散][백사산]  (0) 2018.12.21
[白附子散][백부자산]  (0) 2018.12.21

[百壽散][백수산]
初生月內用之 老無瘡疹
黃連40g, 朱砂4g
爲水煎 先拭去口中涎淨
灌下少許 嚥之 却以餘藥 傾盆中浴兒身 令遍(海藏).
나서 한 달 안에 쓰면 늙을 때까지 마마에 걸리지 않는다.
황련 40g,  주사 4g.
위의 약들을 물에 달여 먼저 입 안의 느침을 깨끗이 닦아내고
백수산을 조금 넣어 주며 나머지 약으로는 몸을 씻어 준다[해장].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栢子仁散][백자인산]  (0) 2018.12.21
[白牙散][백아산]  (0) 2018.12.21
[白蛇散][백사산]  (0) 2018.12.21
[白附子散][백부자산]  (0) 2018.12.21
[白礬散][백반산]  (0) 2018.12.21

[白蛇散][백사산]
治瘰癧 馬刀 九瘻 寒熱作痛
白花蛇肉80g
靑皮 黑丑頭末半生半炒 各20g
犀角10g,
爲末 每4g 入輕粉2g 硏勻, 五更以糯米飮 調下, 巳時利下惡物 乃病根也.
10日後 再服, 後用四聖散補之 永斷根(入門).
나력과 마도창, 9가지 누창 등으로 추웠다 열이 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백화사살(白花蛇肉) 80g,
선귤껍질(청피), 나팔꽃검은씨(절반은 생것, 절반은 볶은 것으로 맏물가루 낸 것) 각각 20g,
서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쓰는데
경분 2g과 함께 섞어서 고루 갈아 새벽에 찹쌀미음에 타 먹으면 9-11시경에
설사가 나면서 궂은 것이 나오는데 이것은 병의 근원이 빠지는 것이다.
10일이 지나서 다시 먹고 사성산으로 보하면 병의 근원이 완전히 빠진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牙散][백아산]  (0) 2018.12.21
[百壽散][백수산]   (0) 2018.12.21
[白附子散][백부자산]  (0) 2018.12.21
[白礬散][백반산]  (0) 2018.12.21
[栢墨散][백묵산]   (0) 2018.12.21

[白附子散][백부자산]
治風寒入腦, 令腦逆頭痛, 齒亦痛. 或牽引兩眼, 遂至失明.
白附子 一兩,
麻黃 不去節, 川烏, 南星 各五錢,
全蝎 五箇,
乾薑, 朱砂, 麝香 各二錢半.
右爲末, 溫酒調五分服, 服訖, 去枕臥少時[得效].
풍한이 뇌 속으로 들어가면 뇌가 거슬러 올라가서[腦逆]

머리가 아프고(궐역두통) 이도 아프다.
심지어 두 눈이 당겨서 아주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치료한다.
백부자 한 냥,
마황(마디를 잘라내지 않은 것), 천오, 남성 각 닷 돈,
전갈 다섯 개,
건강, 주사, 사향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닷 푼씩 데운 술에 타서 먹고 베개를 베지 않고 잠시 누워 있는다(득효).
頭痛連齒, 時發時止, 連年不已, 此由風寒留於骨髓,
髓者以腦爲主, 腦逆故頭痛, 齒亦痛. 宜服白附子散, 灸曲鬢穴[資生].
머리가 아프면서 이까지 아픈데, 아팠다 안 아팠다 하면서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은 풍한이 골수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골수는 뇌가 주인이 되는데, 뇌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머리가 아프고 이까지 아픈 것이다.
백부자산을 쓰고 곡빈혈에 뜸을 뜬다(자생).

[白附子散][백부자산]
治面上熱瘡, 或斑點.
白附子, 密佗僧, 白茯苓, 白芷, 官粉 各等分.
右爲末. 蘿葍煎湯洗面後, 羊乳調成膏, 附患處, 明早洗去. 無羊乳, 則代人乳[醫鑑].
얼굴의 열성 종기[熱瘡]나 반점을 치료한다.
백부자, 밀타승, 백복령, 백지, 연분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무를 달인 물로 세수한 다음
양젖에 개서 고약처럼 만들어 환부에 붙이고 다음 날 아침에 씻어낸다.
양젖이 없으면 사람 젖을 대신 써도 된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壽散][백수산]   (0) 2018.12.21
[白蛇散][백사산]  (0) 2018.12.21
[白礬散][백반산]  (0) 2018.12.21
[栢墨散][백묵산]   (0) 2018.12.21
[白龍散][백룡산]  (0) 2018.12.21

[白礬散][백반산]
治纏喉風, 及急喉閉.
白礬 三錢, 巴豆 三箇 去殼, 分作六片.
右銚器同炒, 候礬枯去豆. 取礬爲末, 水調灌下,
或吹入喉中, 或烏雞子淸調, 灌入喉中[類聚].
전후풍과 급성으로 생긴 후폐를 치료한다.
백반 서 돈, 파두 세 개(껍질을 까서 잘라 여섯 쪽으로 만든다).
위의 약들을 구리 냄비에 함께 넣고 볶아 백반이 마르면 파두를 제거한다.
이 백반을 가루내어 물에 타서 흘려 넣거나, 목구멍에 불어넣거나,
오골계 달걀의 흰자위에 타서 목구멍에 흘려 넣는다(유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蛇散][백사산]  (0) 2018.12.21
[白附子散][백부자산]  (0) 2018.12.21
[栢墨散][백묵산]   (0) 2018.12.21
[白龍散][백룡산]  (0) 2018.12.21
[白歛散][백렴산]  (0) 2018.12.21

[栢墨散][백묵산]
治臍風 臍腫多啼不能乳哺
黃栢末 釜下墨 亂髮灰 各等分
爲末 乾糝之 或油調付之(錢乙).
제풍증과 제종증(臍腫證)으로 울기만 하고 젖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가루, 가마밑 검댕이, 난발회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마른 것을 뿌려 주거나 기름에 개어 붙인다[전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附子散][백부자산]  (0) 2018.12.21
[白礬散][백반산]  (0) 2018.12.21
[白龍散][백룡산]  (0) 2018.12.21
[白歛散][백렴산]  (0) 2018.12.21
[柏連散][백련산]  (0) 2018.12.21

[白龍散][백룡산]
治耳中卒然大痛.
寒水石 煅 四兩,
烏賊魚骨, 滑石 各一兩,
鵬砂 三錢,
輕粉 一錢.
右爲末, 香油調如糊, 以紙撚蘸入耳中, 痛立止[東垣].
귓속이 갑자기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불에 달군 것) 넉 냥,
오적어골, 활석 각 한 냥,
붕사 서 돈,
경분 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참기름으로 풀을 쑤어

종이를 꼬아 만든 심지로 찍어 귓속에 넣으면 통증이 바로 그친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礬散][백반산]  (0) 2018.12.21
[栢墨散][백묵산]   (0) 2018.12.21
[白歛散][백렴산]  (0) 2018.12.21
[柏連散][백련산]  (0) 2018.12.21
[白膠香散][백교향산]   (0) 2018.12.21

[白歛散][백렴산]
治凍耳成瘡,
黃栢 白歛 各20g,
爲末塩湯洗後 油調付之(得效).
귀가 얼어 허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가위톱(백렴)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소금 끓인 물로
헌데를 씻은 다음 기름에 개어 붙인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栢墨散][백묵산]   (0) 2018.12.21
[白龍散][백룡산]  (0) 2018.12.21
[柏連散][백련산]  (0) 2018.12.21
[白膠香散][백교향산]   (0) 2018.12.21
[白芥子散][백개자산]  (0) 2018.12.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