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礬茶散][반다산]
細茶 白礬 每取12g末新水調服卽效, 名[礬茶散](丹心).
작설차와 백반을 한번에 12g씩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마셔도 곧 낫는데
이것을 반다산(礬茶散)이라고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礬硝散][반초산]  (0) 2018.12.21
[半粟散][반속산]   (0) 2018.12.20
[密陀僧散][밀타승산]  (0) 2018.12.20
[密蒙花散][밀몽화산]  (0) 2018.12.20
[蚊蛤散][문합산]  (0) 2018.12.20

[密陀僧散][밀타승산]
治驚氣入心, 瘖不能言.
密陀僧 硏極細末.
每一錢, 茶淸調下. 一方以熱酒調下. 有熱者, 麝香湯調下.

昔有人爲虎蛇所驚久瘖, 服此卽愈[虞世].
놀란 기운이 심에 들어가 벙어리가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밀타승(아주 곱게 가루낸다).
한 돈씩 찻물에 타서 먹는다.
다른 처방에서는 뜨거운 술에 타서 먹는다.

열이 있으면 사향탕에 타서 먹는다.
예전에 어떤 사람이 호랑이와 뱀에 놀라서 오랫동안 벙어리가 되었는데,

이것을 먹고 나았다(우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粟散][반속산]   (0) 2018.12.20
[礬茶散][반다산]   (0) 2018.12.20
[密蒙花散][밀몽화산]  (0) 2018.12.20
[蚊蛤散][문합산]  (0) 2018.12.20
[蕪荑散][무이산]  (0) 2018.12.20

[密蒙花散][밀몽화산]
治十六般內障, 多年昏暗.
密蒙花 二兩,

羚羊角, 蠐螬 卽桑蠹也, 人蔘, 覆盆子, 地膚子, 枸杞子, 甘草 各一兩,

茺蔚子, 菥蓂子, 甘菊, 槐花 各五錢.
右爲末, 每二錢, 米飮調下[得效].
16가지 내장과 여러 해 동안 눈이 어둡고 침침한 것을 치료한다.
밀몽화 두 냥,

영양각, 제조(뽕나무에 있는 굼벵이), 인삼, 복분자, 지부자, 구기자, 감초 각 한 냥,

충울자, 석명자, 감국, 괴화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礬茶散][반다산]   (0) 2018.12.20
[密陀僧散][밀타승산]  (0) 2018.12.20
[蚊蛤散][문합산]  (0) 2018.12.20
[蕪荑散][무이산]  (0) 2018.12.20
[巫雲散][무운산]  (0) 2018.12.20

[蚊蛤散][문합산]
治脫肛不收.
五倍子末入白礬蛇床子煎湯熏洗, 後以赤石脂末, 糝芭蕉葉上托入,

或長尺餘者, 以兩床相接, 中空以器盛藥水滿, 架起與床平, 令病者仰臥,

浸器中, 逐日如此, 縮盡爲度[得效].
항문이 빠져나와 들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오배자가루에 백반, 사상자를 넣고 달인 것으로 김을 쐬면서 씻어낸 다음

적석지가루를 파초 잎에 뿌리고 파초 잎을 탈항된 곳에 대고 밀어 넣는다.
빠진 항문의 길이가 한 치 정도 되면 평상 두 개를 간격이 벌어지게 대놓고

그릇에 약물을 가득 담아 평상 사이에 가지런하게 놓는다.

환자를 그 위에 반듯이 눕혀 약 그릇에 항문을 담그게 한다.
항문이 다 들어갈 때까지 여러 날 동안 약을 갈아가며 이렇게 한다(득효).

[蚊蛤散][문합산]
治舌上出血如泉.
五倍子, 白膠香, 牡蠣粉.
右等分爲末, 糝患處[得效].
혀에서 피가 샘솟듯 나는 것을 치료한다.
오배자, 백교향, 모려분.
위의 약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아픈 곳에 개어 바른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密陀僧散][밀타승산]  (0) 2018.12.20
[密蒙花散][밀몽화산]  (0) 2018.12.20
[蕪荑散][무이산]  (0) 2018.12.20
[巫雲散][무운산]  (0) 2018.12.20
[無比散][무비산]   (0) 2018.12.20

[蕪荑散][무이산]
治蛔咬心痛.
蕪荑, 雷丸 各五錢, 乾漆 炒烟盡 一錢.
右爲末, 溫水調二錢服, 小兒服半錢[得效].
회충으로 가슴이 물어뜯듯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무이, 뇌환 각 다섯 돈,
건칠(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볶은 것) 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두 돈씩 타서 먹는다.
어린아이는 반 돈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密蒙花散][밀몽화산]  (0) 2018.12.20
[蚊蛤散][문합산]  (0) 2018.12.20
[巫雲散][무운산]  (0) 2018.12.20
[無比散][무비산]   (0) 2018.12.20
[無價散][무가산]   (0) 2018.12.20

[巫雲散][무운산]
治鬚髮黃白不澤.
膽礬, 五倍子, 百藥煎, 靑胡桃皮, 酸石榴皮, 訶子皮, 木瓜皮, 猪牙皂角, 何首烏, 細辛 各等分.
右爲末, 蜜和如錢大, 常於木炭內培養, 勿令離炭. 用時以熱酒化開, 塗之[丹心].
수염과 머리카락이 누렇고 희어져 윤택하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
담반, 오배자, 백약전, 청호도피, 산석류피, 가자피, 모과피, 저아조각, 하수오, 세신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동전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늘 나무 숯 속에 묻어두어 약의 기운을 키우는데, 약을 늘 숯과 붙어 있게 한다.

사용할 때는 뜨거운 술에 개어서 바른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蚊蛤散][문합산]  (0) 2018.12.20
[蕪荑散][무이산]  (0) 2018.12.20
[無比散][무비산]   (0) 2018.12.20
[無價散][무가산]   (0) 2018.12.20
[妙勝散][묘승산]   (0) 2018.12.20

[無比散][무비산]
治黑陷焦枯 熱毒內熾 惡候
朱砂10g

牛黃 麝香 龍腦 膩粉 各1g
爲細末 新汲水 入小猪尾血三五點同調服
小兒1g 大兒2g 得睡後 利下惡物便安(活人).
흑함으로 몹시 건조하며 열독이 속에 몹시 성해서
좋지 못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한다.
주사 10g,

우황, 사향, 용뇌, 경분 각각 1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새로 길어온 물에
새끼돼지꼬리의 피를 3-5방울 떨군 다음 그 물에 타 먹이되
작은 아이에게는 1g, 큰 아이에게는 2g을 먹인다.
자고 난 뒤에 못쓸 것들이 설사로 나오면 편안해진다[활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蕪荑散][무이산]  (0) 2018.12.20
[巫雲散][무운산]  (0) 2018.12.20
[無價散][무가산]   (0) 2018.12.20
[妙勝散][묘승산]   (0) 2018.12.20
[猫蝠散][묘복산]  (0) 2018.12.20

[四糞散][사분산]
治倒靨 黑陷 危惡者
童男黑猫 黑犬 黑猪各一俱 取末 破陽雄者 先於重九日
各置淨室中 勿雜食 收其屎 陰乾 至臘月初八日 日未出時火煆燒存性
爲細末 每用4g 蜜水調下(入門).
一方, 倉卒無比藥 只取無病小兒糞燒灰以蜜水調下(正傳).
一名, [無價散] [捷效化毒散] (丹心).
一名, [萬金散] (正傳).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巫雲散][무운산]  (0) 2018.12.20
[無比散][무비산]   (0) 2018.12.20
[妙勝散][묘승산]   (0) 2018.12.20
[猫蝠散][묘복산]  (0) 2018.12.20
[沒藥散][몰약산]  (0) 2018.12.20

[妙勝散][묘승산]
消腫歛毒 排膿
落地茄花去白黃 蜀葵花去心幷萼日乾
爲末 井水稀調 鷄羽掃 付患處 乾則再付 或收毒平散
或破潰出膿 神效 如瘡口開 用末摻 亦歛毒不急澁(直指).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독기를 삭히며 고름이 빠지게 한다.
땅에 떨어진 가지꽃(落地茄花, 흰꽃은 쓰지 못한다),
황촉규화(심과 꽃받침을 버린 것).
위의 약들을 함께 햇볕에 말려서 가루낸 다음 우물물에 묽게 개어
닭의 깃에 묻혀서 헌데에 바른다.
마르면 다시 발라야 한다.
독기를 빠지게 하여 풀리게도 하고 터지게 하여 고름이 나오게 하는데 아주 좋다.
구멍이 커서 아물지 않는데는 가루내어 뿌린다.
그러면 독기가 빠지고 아무는데 몹시 조여들지도 않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比散][무비산]   (0) 2018.12.20
[無價散][무가산]   (0) 2018.12.20
[猫蝠散][묘복산]  (0) 2018.12.20
[沒藥散][몰약산]  (0) 2018.12.20
[木香破氣散][목향파기산]  (0) 2018.12.20

[猫蝠散][묘복산]
治瘰癧 多年不愈神效.
猫頭骨1箇

蝙蝠1箇,

二味俱撒 黑豆上同 燒存性
硏爲末 乾糝(入門).
나력이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신기하다.
고양이대가리뼈(묘두골) 1개,

박쥐(편복) 1마리.
위의 2가지 약을 검정콩 위에 놓고
약성이 남게 태워서 가루내어 마른 채로 헌데에 뿌린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價散][무가산]   (0) 2018.12.20
[妙勝散][묘승산]   (0) 2018.12.20
[沒藥散][몰약산]  (0) 2018.12.20
[木香破氣散][목향파기산]  (0) 2018.12.20
[木香調氣散][목향조기산]   (0) 2018.1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