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木賊散][목적산]
治眼多冷淚.
木賊, 木耳 燒存性 等分.
爲末, 每二錢, 熱米泔調下[入門].
눈에서 차가운 눈물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목적, 목이(소존성으로 태운 것)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뜨거운 쌀뜨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筆花散][목필화산]   (0) 2018.12.19
[木通散][목통산]  (0) 2018.12.19
[木萸散][목유산]  (0) 2018.12.19
[牧丹散][목단산]  (0) 2018.12.19
[牡蠣散][모려산]  (0) 2018.12.19

[木萸散][목유산]
治霍亂吐瀉 肢體轉筋逆冷.

木瓜 吳茱萸 食鹽 各20g.
暴吐暴瀉 津液驟亡 宗筋失其所養 故輕者 兩脚轉筋而已 重者 遍體轉筋
入腹 手足厥冷 危甚風 燭矣 倉卒之際 以塩塡臍中 灼艾不計壯數 雖已死
而胸中有煖氣者 立甦.
急用木萸散方見濕霍亂 加茴香 甘草 紫蘇葉 煎服 再硏大蒜 塗兩脚掌心
則雖昏危 入腹者亦效(入門).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힘살에 경련이 일고 팔다리가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모과, 오수유, 소금 각각 20g.
위의 약들을 함께 눋도록 닦아서 끓는 물 3되에 넣고
2되가 되게 달여 차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여 마음대로 먹으면 효과가 있다.
만일 이 약들이 없으면 고백반가루 4g을 끓는 물에 타서 먹는데
백반이 없으면 소금 한 자밤을 식초 1잔에 타서 달여 먹기도 한다.
소금이나 오매와 같이 맛이 짜거나 신 것을 함께 달여 먹기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通散][목통산]  (0) 2018.12.19
[木賊散][목적산]   (0) 2018.12.19
[牧丹散][목단산]  (0) 2018.12.19
[牡蠣散][모려산]  (0) 2018.12.19
[明礬散][명반산]  (0) 2018.12.19

[牧丹散][목단산]
治腸癰冷證 腹軟而痛 時下膿血
牧丹皮 人參 天麻 白茯苓 黃芪 薏苡仁 桃仁 白芷 當歸 川芎 各4g
官桂 甘草各2g

木香1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장옹이 냉증(冷證)이면서 뱃가죽이 유연하며 아프고
때로 항문으로 피고름이 나오는것을 치료한다.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인삼, 천마, 흰솔풍령(백복령), 단너삼(황기),
율무쌀(의이인), 복숭아씨(도인), 구릿대(백지), 당귀, 궁궁이(천궁) 각각 4g,
육계, 감초 각각 2g,

목향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賊散][목적산]   (0) 2018.12.19
[木萸散][목유산]  (0) 2018.12.19
[牡蠣散][모려산]  (0) 2018.12.19
[明礬散][명반산]  (0) 2018.12.19
[滅瘢散][멸반산]   (0) 2018.12.19

[牡蠣散][모려산]
治盜汗及自汗.

牡蠣 煅, 黃芪, 麻黃根 各等分.

右剉, 每五錢, 浮小麥百粒, 同煎服[三因].
도한과 자한을 치료한다.

모려(불에 달군 것), 황기, 마황근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 한 번에 다섯 돈씩 부소맥 백 알과 같이 달여 먹는다(삼인).
又牡蠣散, 治盜汗.

牡蠣粉白朮防風各等分,

爲末. 酒調服二錢, 汗卽止[類聚].
또 모려산은 도한을 치료한다.

모려분, 백출, 방풍을 같은 분량으로 가루내어 술로 두 돈씩 먹으면 땀이 곧 그친다(유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萸散][목유산]  (0) 2018.12.19
[牧丹散][목단산]  (0) 2018.12.19
[明礬散][명반산]  (0) 2018.12.19
[滅瘢散][멸반산]   (0) 2018.12.19
[綿繭散][면견산]   (0) 2018.12.19

[明礬散][명반산]
治腎經有熱, 上衝於耳, 使津液凝滯, 爲稠膿淸汁, 亦有沐浴水入耳, 停滯爲膿, 但不疼.

若不差, 變成膿.
枯白礬, 龍骨 各三錢, 黃丹 二錢, 乾胭脂 一錢, 麝香 少許.
右爲末, 先去膿水, 次吹藥入[丹心].
신경(腎經)에 열이 있어서 이것이 위로 귀를 치받아 진액을 엉기게 하고

고름이나 맑은 진물이 되어 나오는 것과
목욕하다 귀에 물이 들어가서 나오지 않고 엉겨서 고름이 되었는데

아프지는 않은 것을 치료한다.
위의 두 가지 경우 오래도록 낫지 않으면 고름으로 변한다.
고백반, 용골 각 서 돈,
황단 두 돈,
건연지 한 돈,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먼저 고름을 닦아내고 약가루를 불어넣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牧丹散][목단산]  (0) 2018.12.19
[牡蠣散][모려산]  (0) 2018.12.19
[滅瘢散][멸반산]   (0) 2018.12.19
[綿繭散][면견산]   (0) 2018.12.19
[麥煎散][맥전산]  (0) 2018.12.19

[滅瘢散][멸반산]
預防 痘後瘢痕
韶粉卽鉛粉40g  輕粉1g
硏細 煉猪油 調和塗瘢上 日三次(綱目).
연분 40g, 경분 1g.
위의 약들을 잘 갈아서 졸인 돼지기름으로 개어
딱지가 떨어진 자리에 매일 세번씩 발라 준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牡蠣散][모려산]  (0) 2018.12.19
[明礬散][명반산]  (0) 2018.12.19
[綿繭散][면견산]   (0) 2018.12.19
[麥煎散][맥전산]  (0) 2018.12.19
[麥斗散][맥두산]   (0) 2018.12.19

[綿繭散][면견산]
治痘癰 鍼後成疳蝕瘡 膿水不止 若不治則 多潰爛筋骨 終成廢人
綿繭1箇 須用出蛾空者 以生白礬末 塡滿其中 炭火燒令礬汁盡
取出硏細 乾糝之(綱目).
누에고치(나비가 나오고 속이 빈 것) 1개.
누에고치 속에 생백반가루를 채워 넣고 숯불로 태워 백반즙이 다 나온 다음
그것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마른 것으로 헌데에 뿌려 준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礬散][명반산]  (0) 2018.12.19
[滅瘢散][멸반산]   (0) 2018.12.19
[麥煎散][맥전산]  (0) 2018.12.19
[麥斗散][맥두산]   (0) 2018.12.19
[忘憂散][망우산]   (0) 2018.12.19

[麥煎散][맥전산]
治骨蒸黃瘦 口臭 肌熱 盜汗
赤茯苓 當歸 乾漆 鱉甲醋灸 常山 大黃煨 柴胡 白朮 生地黃 石膏 各40g
甘草20g
爲粗末 每服12g 小麥50粒 同煎服(宣明).
골증(骨蒸)으로 누렇게 여위고 입에서 냄새가 나며
살이 달고 식은땀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당귀, 마른옻(건칠),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로 축여 볶은 것),
상산(常山),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시호, 흰삽주(백출), 생지황, 석고 각각 40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밀 50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선명].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滅瘢散][멸반산]   (0) 2018.12.19
[綿繭散][면견산]   (0) 2018.12.19
[麥斗散][맥두산]   (0) 2018.12.19
[忘憂散][망우산]   (0) 2018.12.19
[蔓荊子散][만형자산]   (0) 2018.12.19

[麥斗散][맥두산]
治跌傷骨折
土鱉1箇瓦傷焙 巴豆1箇去殼 半夏1箇 生乳香 沒藥 各1g
自然銅火煆醋淬7次用些少,
爲細末 溫淸酒調服一釐 如重車行十里之久 其骨接之有聲
初跌時 須整理 如虇以綿衣蓋覆 方服藥 勿轉動搖 端午日製尤妙(回春).
넘어져서 뼈마디가 상한 것을 치료한다.
자충(기와 위에 놓아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1개, 파두(껍질을 버린 것) 1개,
끼무릇(반하, 생것) 1개, 유향, 몰약 각각 0.2g, 자연동(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한 것) 조금.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0.04g씩 따뜻한 청주에 타서 먹고
무거운 수레가 10리 갈 동안만큼 있으면 뼈가 이어지는 소리가 난다.
넘어져서 부러진 초기에는 반드시 뼈를 제자리에 맞추어 넣고
솜옷으로 싸 덮은 다음 맥두산을 먹어야 한다.
그리고 몸을 움직여서는 안된다.
맥두산은 단오날에 만든 것이 더 좋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綿繭散][면견산]   (0) 2018.12.19
[麥煎散][맥전산]  (0) 2018.12.19
[忘憂散][망우산]   (0) 2018.12.19
[蔓荊子散][만형자산]   (0) 2018.12.19
[蔓荊散][만형산]   (0) 2018.12.19

[忘憂散][망우산]
治子淋
琥珀爲末 每2g
取萱草根一握 煎湯調下(正傳).
자림을 치료한다.
호박.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원추리뿌리 한 줌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麥煎散][맥전산]  (0) 2018.12.19
[麥斗散][맥두산]   (0) 2018.12.19
[蔓荊子散][만형자산]   (0) 2018.12.19
[蔓荊散][만형산]   (0) 2018.12.19
[萬全木通散][만전목통산]  (0) 2018.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