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蔓荊子散][만형자산]
治腎經有風熱, 耳中熱痛, 出膿汁, 或鳴或聾.
蔓荊子, 赤茯苓, 甘菊, 前胡, 生地黃, 麥門冬, 桑白皮, 赤芍藥, 木通, 升麻,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 食後服[正傳].
신경(腎經)에 풍열이 있어서 귓속에서 열이 나고 아프며 고름이 나오고

혹은 귀가 울거나 귀가 먹는 것을 치료한다.
만형자, 적복령, 감국, 전호, 생지황, 맥문동, 상백피, 적작약, 목통, 승마,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麥斗散][맥두산]   (0) 2018.12.19
[忘憂散][망우산]   (0) 2018.12.19
[蔓荊散][만형산]   (0) 2018.12.19
[萬全木通散][만전목통산]  (0) 2018.12.19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0) 2018.12.19

[蔓荊散][만형산]
治打落 筋骨折傷 瘀血結痛
頏荊葉(無則荊芥代之)
蔓荊子 白芷 細辛 防風 川芎 桂皮 丁香皮 羌活 各 37.5g,
爲粗末 每37.5g 入塩一匙連鬚葱白5莖 漿水5升 煎7沸
淋洗痛處 冷則易(丹心).
타박을 받았거나 떨어져서 힘줄이 끊어지고 뼈가 부러지고
어혈이 몰려 아픈 것을 치료한다.
완형엽(없으면 대신 형개를 쓴다), 순비기열매(만형자), 구릿대(백지),
족두리풀(세신), 방풍, 궁궁이(천궁), 계피, 정향피, 강호리(강활)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40g씩 소금 1숟가락,
파밑(총백, 뿌리가 달린 것) 5대와 함께 신좁쌀죽웃물 5되를 넣고
7번 끓어오르게 달여서 아픈 곳을 씻는다.
식으면 더운 것으로 바꾸어야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忘憂散][망우산]   (0) 2018.12.19
[蔓荊子散][만형자산]   (0) 2018.12.19
[萬全木通散][만전목통산]  (0) 2018.12.19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0) 2018.12.19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0) 2018.12.19

[萬全木通散][만전목통산]
治膀胱有熱, 小便難而黃.
滑石 二錢, 木通, 赤茯苓, 車前子 炒, 瞿麥 各一錢.
右爲末, 水煎服. 或取末三錢, 水調服[入門].
방광에 열이 있어 오줌 누기가 어렵고 누런 것을 치료한다.
활석 두 돈, 목통, 적복령, 차전자(볶은 것), 구맥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낸 것 서 돈씩을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蔓荊子散][만형자산]   (0) 2018.12.19
[蔓荊散][만형산]   (0) 2018.12.19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0) 2018.12.19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0) 2018.12.19
[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0) 2018.12.19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治濕泄瀉 水多而腹不痛 腹響雷鳴 脈細
赤茯苓 白朮 猪笭 澤瀉 山藥 陳皮 蒼朮 縮砂炒 肉豆蔲 煨 訶子煨 各3g
桂皮 甘草 各2g
爲剉作一貼 入薑二片 梅一箇 燈心一團 空心 水煎服之(回春).
습설(濕泄)과 물 같은 설사를 많이 하면서도 배는 아프지 않으나

배에서 꾸룩꾸룩 소리가 나고[雷鳴] 맥이 세(細)한 것을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저령, 택사, 마(산약), 귤껍질(陳皮), 삽주(창출),

사인(닦은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가자(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각각 3.2g,

계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 오매 1개, 골풀속살(등심초) 2g과

함께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蔓荊散][만형산]   (0) 2018.12.19
[萬全木通散][만전목통산]  (0) 2018.12.19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0) 2018.12.19
[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0) 2018.12.19
[萬靈散][만령산]  (0) 2018.12.19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治熱瀉.
赤茯苓, 白朮, 猪苓, 澤瀉, 蒼朮 炒, 山藥, 白芍藥 炒, 梔子 炒, 陳皮 各一錢
甘草 灸 五分.
右剉作一貼, 入烏梅一箇燈心一團同煎服[回春].
열사를 치료한다.
적복령, 백출, 저령, 택사, 창출(볶은 것), 산약, 백작약(볶은 것), 치자(볶은 것), 진피 각 한 돈,
감초(구운 것)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오매 한 개와 등심 한 움큼을 넣고 함께 달여 먹는다(회춘).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治熱瀉
赤茯苓, 白朮, 猪苓, 澤瀉, 蒼朮炒, 山藥, 白芍藥炒, 梔子炒, 陳皮 各4g
甘草灸2g
入烏梅一箇 燈心一團 同煎服(回春).
열사(熱瀉)를 치료한다.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저령, 택사, 삽주(창출, 닦은 것), 마(산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닦은 것), 산치자(닦은 것),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 1개, 골풀속살(등심초) 2g과 함께 달여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全木通散][만전목통산]  (0) 2018.12.19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0) 2018.12.19
[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0) 2018.12.19
[萬靈散][만령산]  (0) 2018.12.19
[麻黃散][마황산]   (0) 2018.12.19

[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專治夏月霍亂 吐瀉似瘧非瘧似痢非痢不伏水土等證常服可防瘧痢.
香薷 白扁豆 各80g
草果 黃連 滑石 澤瀉 各48g
枳殼 木通 厚朴 陳皮 赤茯苓 車前子 猪苓 縮砂 各32g
白朮 茴香 各23g,
木香 甘草 各10g.
爲細末 每7.5g滾湯調服 或茶淸調下 忌米飮(入門).
여름철에 곽란( 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학질 비슷하나 학질이 아닌 증(證),
이질 비슷하나 이질이 아닌 증, 수토(水土)가 맞지 않아[不伏] 생긴 병 등을 치료한다.
늘 먹으면 학질이나 이질을 막을 수 있다.
노야기(향유), 까치콩(백편두) 각각 80g,
초과, 황련, 곱돌(활석), 택사 각각 48g,
지각, 으름덩굴(목통), 후박,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길짱구씨(차전자), 저령, 사인 각각 32g,
흰삽주(백출), 회향 각각 22.4g,
목향,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는 물에 타 먹는다.
혹은 차 달인 웃물(茶淸)에 타 먹는다.
미음으로는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0) 2018.12.19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0) 2018.12.19
[萬靈散][만령산]  (0) 2018.12.19
[麻黃散][마황산]   (0) 2018.12.19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18.12.19

[萬靈散][만령산]
治婦人小腹痛, 小便淋澁, 是血也氣也熱也.

或大小產後, 遺經敗血所致.
當歸 一兩,
乾地黃 六錢, 桂心, 蓬朮 各五錢,
木香 三錢.
右爲末, 每二錢, 空心, 熱酒下二錢[類聚].
부인의 아랫배가 아프고 소변이 찔금거리면서 시원하지 않은 것을 치료하는데,
이는 혈(血)이나 기(氣), 열(熱) 때문이다.

또는 정상 출산이나 유산 후에 어혈이 남아 있는 까닭이다.
당귀 한 냥,

건지황 엿 돈,

계심, 봉출 각 닷 돈,

목향 서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빈속에 두 돈씩 뜨거운 술로 먹는다(유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0) 2018.12.19
[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0) 2018.12.19
[麻黃散][마황산]   (0) 2018.12.19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18.12.19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18.12.19

[麻黃散][마황산]
治歷節痛風 無汗
麻黃8g
羗活6g
黃芪 細辛 各3g
剉作一貼 水煎服(得效).
역절통풍(歷節痛風) 때에 땀이 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강호리(강활) 6g,
단너삼(황기), 족두리풀(세신)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0) 2018.12.19
[萬靈散][만령산]  (0) 2018.12.19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18.12.19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18.12.19
[磨光散][마광산]  (0) 2018.12.19

[馬脾風散][마비풍산]
治寒邪入肺 寒鬱爲熱 痰喘上氣 肺脹齁䶎 若不速治 立見危亡
辰砂10g,  甘遂6g,  輕粉2g
爲末 每取一字 以溫漿水少許 上滴香油一點抄藥 在油花上 待沈下
却去漿水 灌之 神效(入門).
한사(寒邪)가 폐에 들어가서 몰리고 막히면 열이 나고 담이 생겨 숨이 차고
기가 치밀며 폐가 창만한 것과 후합을 치료한다.
만일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아주 위태롭다.
주사 10g, 감수 6g, 경분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따뜻한 신좁쌀죽웃물에
참기름 한 방울을 떨구어 생긴 기름꽃 위에 약가루를 떠놓아서
약이 가라앉은 다음 물을 버리고 약만 먹이면 잘 낫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靈散][만령산]  (0) 2018.12.19
[麻黃散][마황산]   (0) 2018.12.19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18.12.19
[磨光散][마광산]  (0) 2018.12.19
[燈心散][등심산]   (0) 2018.12.19

[馬兜鈴散][마두령산]
治子嗽 氣壅喘急
陳皮 大腹皮 桑白皮 紫蘇葉 各5g
馬兜鈴 桔梗 人參 貝母 五味子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良方)
자수와 기가 막혀 숨차 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빈랑껍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8g,
마두령, 도라지(길경), 인삼, 패모, 오미자,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양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麻黃散][마황산]   (0) 2018.12.19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18.12.19
[磨光散][마광산]  (0) 2018.12.19
[燈心散][등심산]   (0) 2018.12.19
[豆參散][두삼산]   (0) 2018.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