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黃牽牛散][대황견우산]
治相火遊走藏府, 大便秘結.
大黃 一兩, 黑牽牛子 頭末 五錢.
右爲末, 每三錢, 手足冷者酒調下, 手足熱者蜜湯調下[保命].
장부에 상화(相火)가 돌아다녀 생기는 변비를 치료한다.
대황 한 냥, 흑견우자(두말한 것)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번에 서 돈씩 먹는다.

손발이 차면 술에 타서 먹고, 손발이 뜨거우면 꿀물을 달여 타서 먹는다(보명).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奴散][도노산]  (0) 2018.12.19
[大黃散][대황산]   (0) 2018.12.19
[大調經散][대조경산]   (0) 2018.12.19
[大正氣散][대정기산]   (0) 2018.12.19
[大異香散][대이향산]   (0) 2018.12.19

[大調經散][대조경산]
治産後浮腫 喘急 尿澁
黑豆炒40g, `茯神20g, 琥珀4g,
爲末 烏頭紫蘇葉煎湯 調下8g(良方).
해산 후의 부종과 창만, 숨이 차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닦은 것) 40g, 복신 20g, 호박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검정콩과 차조기잎(자소엽)을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양방].
[調經散] 一名 [溫經湯]
治月候不調
麥門冬8g, 當歸6g
人蔘 半夏製 白芍藥 川芎 牧丹皮 各4g
阿膠珠 甘草灸 各3g
吳茱萸 肉桂 各2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入門).
일명 온경탕(溫經湯)이라고도 하는데 월경이 고르롭지 못한[不調] 것을 치료한다.
맥문동 8g, 당귀 6g,
인삼,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모란껍질(목단피) 각각 4g,
아교주, 감초(닦은 것) 각각 3g,

오수유, 육계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黃散][대황산]   (0) 2018.12.19
[大黃牽牛散][대황견우산]   (0) 2018.12.19
[大正氣散][대정기산]   (0) 2018.12.19
[大異香散][대이향산]   (0) 2018.12.19
[大蜈蚣散][대오공산]   (0) 2018.12.19

[大正氣散][대정기산]
治風寒暑濕所傷成脹滿
白朮 蒼朮 陳皮 厚朴 藿香 半夏 各一錢
枳殼 檳峹各七分, 桂枝 乾薑 甘草 各五分
右犫作一貼入薑五棗二水煎服[得效]
풍, 한, 서, 습에 상하여 생긴 창만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삽주(창출), 귤껍질(陳皮), 후박, 곽향, 끼무릇(반하) 각각 4g,
지각, 빈랑 각각 2.8g, 계지, 건강,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黃牽牛散][대황견우산]   (0) 2018.12.19
[大調經散][대조경산]   (0) 2018.12.19
[大異香散][대이향산]   (0) 2018.12.19
[大蜈蚣散][대오공산]   (0) 2018.12.19
[大順散][대순산]   (0) 2018.12.19

[大異香散][대이향산]
治穀脹 亦治氣脹
三菱 蓬朮 靑皮 陳皮 藿香 半夏麴 桔梗 益智仁 香附子 枳殼 各4g, 

甘草1g.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水煎服(入門).
곡창을 치료하는데 기창도 낫게 한다.
삼릉, 봉출, 선귤껍질(靑皮), 귤껍질(陳皮), 곽향, 반하국,
도라지(길경), 익지인, 향부자, 지각 각각 4g, 

감초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調經散][대조경산]   (0) 2018.12.19
[大正氣散][대정기산]   (0) 2018.12.19
[大蜈蚣散][대오공산]   (0) 2018.12.19
[大順散][대순산]   (0) 2018.12.19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0) 2018.12.19

[大蜈蚣散][대오공산]
治破傷風 搐搦反張
蜈蚣2條 魚鰾炒 左蟠龍炒烟盡 各20g
爲末 每7.5g 以防風煎湯 調服 服此不解 覺轉入裏 當服
左龍丸方見下 破傷風之治動傷寒三法 (綱目).
파상풍으로 손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들고 몸이 뒤로 잦혀지는 것을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2마리, 부레(魚 , 볶은 것),
야합분(연기가 나지 않을 때까지 닦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방풍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이 약을 먹어도 풀리지 않고 속으로 들어가면 좌룡환을 먹는다[강목].

一方 蜈蚣一條 江鰾12g 爲末 每4g 防風 羗活煎湯 調下(入門).
어떤 처방에는 왕지네(오공) 1마리, 부레(어표) 12g으로 되어 있는데
이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방풍과 강호리(강활)를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一方 口噤 身反張 不省人 蜈蚣一條 全蝎炒二箇 爲末 擦牙內
或吹鼻中 名曰 [小蜈蚣散] (丹心).

또 어떤 처방은 이를 악물고 몸이 뒤로 잦혀지면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게 되어 있는데

왕지네(오공) 1마리, 전갈(닦은 것) 2마리를 가루내어
잇몸에 문지르거나 코에 불어넣는다.
이것을 일명 소오공산(小蜈蚣散)이라고도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正氣散][대정기산]   (0) 2018.12.19
[大異香散][대이향산]   (0) 2018.12.19
[大順散][대순산]   (0) 2018.12.19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0) 2018.12.19
[大明復光散][대명복광산]   (0) 2018.12.19

[大順散][대순산]
治暑月煩渴 引飮過多脾 胃停冷 濕作吐瀉.
甘草剉長一寸75g

乾薑 杏仁 肉桂 各15g.
先將甘草 以白沙同炒黃熟 次入薑同炒 令裂 次入杏仁同炒黃
用篩下去沙淨 乃入桂爲末 每7.5g水煎溫服 如煩躁 井華水
調下(局方).
여름철에 번갈이 나서 물을 너무 많이 마신 것으로 하여
비위(脾胃)에 냉습(冷濕)이 몰려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감초(길이 1치 되게 썬 것) 80g,

건강, 살구씨(행인), 육계 각각 16g.
위의 약에서 먼저 감초를 흰모래[白沙]와 함께 누렇게 닦은 다음
건강을 넣고 터지게[令裂] 닦는다.
그 다음 살구씨(행인)를 넣고 또 닦아서 누렇게 되면
모래를 버리고 약을 깨끗이 씻은 다음 육계와 함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넣고 달여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만일 번조(煩躁)하면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異香散][대이향산]   (0) 2018.12.19
[大蜈蚣散][대오공산]   (0) 2018.12.19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0) 2018.12.19
[大明復光散][대명복광산]   (0) 2018.12.19
[大豆蘗散][대두벽산]  (0) 2018.12.19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治一切水濕 又下諸積之聖藥
黑丑頭末 大黃煨 郁李仁 各40g
芒硝14g,  木香12g,  甘遂2g
爲末 水丸梧子大 每服十丸至十五丸(綱目).
모든 수습증(水濕證)과 여러 가지 적(積)을 치료하는 데 좋은 약이다.
나팔꽃검은씨(흑견우자, 맏물가루), 대황(잿불에 묻어 구운 것),
이스라치씨(욱리인) 각각 40g,

망초 14g, 목향 12g, 감수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15알씩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蜈蚣散][대오공산]   (0) 2018.12.19
[大順散][대순산]   (0) 2018.12.19
[大明復光散][대명복광산]   (0) 2018.12.19
[大豆蘗散][대두벽산]  (0) 2018.12.19
[大寧散][대녕산]  (0) 2018.12.19

[大明復光散][대명복광산]
治一切眼疾, 內外障瞖.
當歸尾 酒洗, 生乾地黃 酒浸, 黃柏 酒炒,

黃連 酒炒, 黃芩 酒炒,

柴胡, 白茯苓, 枳殼, 羌活, 防風, 荊芥, 石膏, 甘菊, 蟬退,

車前子 炒, 密蒙花, 白蒺藜 炒, 木賊, 靑箱子 炒,

石決明 煅, 羚羊角 屑,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 溫服[醫鑑].
모든 눈병과 내장병, 외장병, 예막을 치료한다.
당귀미(술로 씻은 것), 건지황(술에 담갔던 것), 황백(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시호, 백복령, 지각, 강활, 방풍, 형개, 석고, 감국, 선태,

차전자(볶은 것), 밀몽화, 백질려(볶은 것), 목적, 청상자(볶은 것),

석결명(불에 달군 것), 영양각(끌로 깎은 것),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식후에 따뜻할 때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順散][대순산]   (0) 2018.12.19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0) 2018.12.19
[大豆蘗散][대두벽산]  (0) 2018.12.19
[大寧散][대녕산]  (0) 2018.12.19
[代灸散][대구산]   (0) 2018.12.19

[大豆蘗散][대두벽산]
治周痺 周痺者 在於血脈之中 隨脈以上 隨脈以下
不能左右 各當其所 大豆蘗一升炒熟
爲末 每3.75g 溫酒 調下 日三(河間).
주비(周痺)를 치료한다.
주비라는 것은 병사(病邪)가 혈액 속에 있으면서
혈맥(血脈)을 따라 올라가기도 하고 내려가기도 하나
좌우로 옮겨지지는 않는데 사기가 가는 곳마다 아픈 것이다.
콩(대두얼) 1되.
위의 것을 싹을 내어 잘 닦아서 가루내어 4g씩
데운 술에 타서 하루에 세번 먹는다[하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聖濬川散][대성준천산]   (0) 2018.12.19
[大明復光散][대명복광산]   (0) 2018.12.19
[大寧散][대녕산]  (0) 2018.12.19
[代灸散][대구산]   (0) 2018.12.19
[大喯散][대계산]   (0) 2018.12.18

[大寧散][대녕산]
治姙娠下痢赤白 或泄瀉腹痛垂死者
黑豆35粒

罌粟殼100g半生半炒

甘草100g半生半炒,
爲粗末 都作一貼 入薑三片 同煎 空心服 神效(綱目).
임신 때 적백이질(赤白痢疾)과 설사로 배가 아파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 35알,
앵속각 8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감초 8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모두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으면 잘 낫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明復光散][대명복광산]   (0) 2018.12.19
[大豆蘗散][대두벽산]  (0) 2018.12.19
[代灸散][대구산]   (0) 2018.12.19
[大喯散][대계산]   (0) 2018.12.18
[大決明散][대결명산]  (0) 2018.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