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漏蘆散][누로산]
治乳汁壅塞不行, 乳內脹痛, 欲作癰腫, 服此, 自消.
漏蘆 二錢半, 蛇蛻 一條 燒, 瓜蔞 一箇.
右爲末, 酒調二錢, 服無時, 仍食熱羹湯, 助之.

若乳多急痛, 以溫帛, 熨之[良方].
젖이 막혀 나오지 않아 젖이 불어서 아프고 멍울[癰腫]이 되려고 할 때에

이 약을 먹으면 저절로 없어진다.
누로 두 돈 반, 사태(태운 것) 한 개, 과루 한 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수시로 두 돈씩 술에 타서 먹은 후

뜨거운 국을 먹어서 약의 기운을 도와준다.

젖이 너무 많아 당기며 아프면 따뜻한 수건으로 찜질한다(양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牙散][다아산]   (0) 2018.12.18
[凌霄花散][능소화산]   (0) 2018.12.18
[綠袍散][녹포산]   (0) 2018.12.18
[綠雲散][녹운산]  (0) 2018.12.18
[鹿角散][녹각산]   (0) 2018.12.18

[綠袍散][녹포산]
治口瘡.
黃柏 蜜灸 一兩,

靑黛 三錢,

片腦 二分.
右爲末, 糝患處, 吐出涎, 卽愈[醫鑑].
입 안이 허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꿀을 발라 구운 것) 한 냥,

청대 서 돈,

편뇌 두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아픈 부위에 바르는데, 입 안에 고인 침을 뱉으면 낫는다(의감).

[綠袍散][녹포산]
治齒縫出血不止.
黃柏, 薄荷, 芒硝, 靑黛 各等分.
右爲末, 入龍腦少許, 糝牙床卽止[入門].
잇몸에서 피가 나서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백, 박하, 망초, 청대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용뇌를 조금 넣고 개서 잇몸에 바르면 곧 피가 멈춘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凌霄花散][능소화산]   (0) 2018.12.18
[漏蘆散][누로산]   (0) 2018.12.18
[綠雲散][녹운산]  (0) 2018.12.18
[鹿角散][녹각산]   (0) 2018.12.18
[老君神明散][노군신명산]   (0) 2018.12.18

[桑葉][상엽]  
治面上肺毒瘡 大風瘡 取葉 淨洗蒸熟 日乾末 水調8g服 日三
名 [綠雲散](本草).
얼굴에 생긴 폐독창(肺毒瘡)이 대풍창(大風瘡)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뽕잎을 따서 깨끗하게 씻은 다음 쪄서 햇볕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하루 세번 물에 타 먹는다.
일명 녹운산(綠雲散)이라고도 한다[본초].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漏蘆散][누로산]   (0) 2018.12.18
[綠袍散][녹포산]   (0) 2018.12.18
[鹿角散][녹각산]   (0) 2018.12.18
[老君神明散][노군신명산]   (0) 2018.12.18
[爐甘石散][노감석산]   (0) 2018.12.18

[鹿角散][녹각산]
治久虛夢泄.
鹿角 屑, 鹿茸 酥灸 各一兩,

白茯苓 七錢半,

人蔘, 白茯神, 桑螵蛸, 川芎, 當歸, 破故紙, 龍骨, 韭子 酒浸一宿焙 各五錢,

柏子仁, 甘草 各二錢半.
右爲末, 每五錢, 薑五片, 棗二枚, 粳米百粒同煎. 空心服[直指].
오랫동안 허하여 몽정하는 것을 치료한다.
녹각(끌로 갈아 가루낸 것),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각 한 냥,

백복령 일곱 돈 반, 인삼, 백복신, 상표초, 천궁, 당귀, 파고지, 용골,

구자(술에 하룻동안 담갔다가 약한 불에 말린 것) 각 다섯 돈,

백자인, 감초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다섯 돈씩 생강 다섯 쪽과 대추 두 개,

멥쌀 백 알을 넣고 함께 달여 빈속에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綠袍散][녹포산]   (0) 2018.12.18
[綠雲散][녹운산]  (0) 2018.12.18
[老君神明散][노군신명산]   (0) 2018.12.18
[爐甘石散][노감석산]   (0) 2018.12.18
[內托香粉散][내탁향분산]   (0) 2018.12.18

[老君神明散][노군신명산]
辟瘟疫
川烏炮150g,

附子炮 白朮各75g,

桔梗 細辛 各37.5g
爲粗末 絳絹袋盛帶之一里人皆無柄 若有疫氣 溫酒服4g 取汗 得吐卽差
若經3~4日 取11.25g#水一椀煮服之 三服差(活人).
온역을 예방한다.
오두(싸서 구운 것) 160g,
부자(싸서 구운 것), 흰삽주(백출) 각각 80g,
도라지(길경), 족두리풀(세신)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비단주머니에 넣어서
온 마을 사람이 다 몸에 띠고 있으면 병에 걸리지 않는다.
만약 온역기운이 있으면 데운 술로 4g을 먹고
땀으로 내거나 토하게 하면 곧 낫는다.
만일 3-4일이 지났으면 12g을 물 1사발에 넣고 달여서
세번에 나누어 먹으면 낫는다[활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綠雲散][녹운산]  (0) 2018.12.18
[鹿角散][녹각산]   (0) 2018.12.18
[爐甘石散][노감석산]   (0) 2018.12.18
[內托香粉散][내탁향분산]   (0) 2018.12.18
[內托千金散][내탁천금산]   (0) 2018.12.18

[爐甘石散][노감석산]
治爛弦風.
爐甘石 不以多少.
先用童便煅淬七次, 次以黃連煎湯煅淬七次,

又以雀舌茶淸煅淬七次, 三汁合置一處, 再煅三次, 放冷硏細, 入腦麝各少許.

點眼弦神妙[綱目].
난현풍을 치료한다.
노감석 적당량.
먼저 노감석을 동변에 일곱 번 담금질하고 황련 달인 물에 일곱 번 담금질한 다음

맑게 우려낸 작설차에 일곱 번 담금질한다.

담금질에 썼던 동변, 황련 달인 물, 작설차] 세 가지 물을 한데 모아

그 물에 세 번 담금질한 뒤 완전히 식었을 때 곱게 가루내어 용뇌와 사향을 조금 넣는다.

난현풍이 생겼을 때 눈에 점안하면 효과가 매우 좋다(강목).
又方, 綠色爐甘石, 煅淬童尿凡三次, 出火毒一日夜, 硏細, 夾黃連末, 用童尿浸, 取淸汁.

點眼胞[直指].
또 다른 방법으로는 초록색 노감석을 동변에 세 번 담금질한 후 하룻밤 동안 내놓아

화독(火毒)을 뺀 뒤 곱게 가루내어 황련(가루낸 것)과 함께 동변에 담갔다가

위의 맑은 물만 따라내어 눈에 점안한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角散][녹각산]   (0) 2018.12.18
[老君神明散][노군신명산]   (0) 2018.12.18
[內托香粉散][내탁향분산]   (0) 2018.12.18
[內托千金散][내탁천금산]   (0) 2018.12.18
[內托散][내탁산]   (0) 2018.12.18

[乳粉托裏散] [유분탁리산]
治癰疽 惡瘡 毒氣攻心 迷悶嘔吐 喉舌生瘡
名曰心氣絶 初期 宜服此藥 最能返出毒氣 不致內陷.
菉豆粉16g 乳香4g 爲末 每8g 甘草湯 調 時時呷下,
一方新水 調服(入門).
一名, [內托散] [護心散] [內托香粉散] (綱目).
옹저나 악창 때 독기가 가슴으로 치밀어올라 정신을 잃으며
토하고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을 심기절(心氣絶)이라고 한다.
초기에 이 약을 쓰면 독기가 잘 나가고 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녹두가루(菉豆粉) 16g, 유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감초를 달인 물에 타서 때때로 마신다.
어떤 처방에는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먹게 되어 있다[입문].
일명 내탁산(內托散)이라고 하고 호심산(護心散)이라고도 하며
내탁향분산(內托香粉散)이라고도 한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君神明散][노군신명산]   (0) 2018.12.18
[爐甘石散][노감석산]   (0) 2018.12.18
[內托千金散][내탁천금산]   (0) 2018.12.18
[內托散][내탁산]   (0) 2018.12.18
[內托復煎散][내탁부전산]   (0) 2018.12.18

[內托千金散][내탁천금산]
治一切癰疽 惡瘡 能內托
金銀花 人參 黃芪 赤芍藥 當歸 川芎
瓜蔞根 白芷 桂皮 桔梗 防風 甘草 各4g
剉作一貼 水煎 去滓 入酒半盞 調服,
日三服 後瘡口有黑血出 或遍身汗出 是藥之功效也(丹心).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爐甘石散][노감석산]   (0) 2018.12.18
[內托香粉散][내탁향분산]   (0) 2018.12.18
[內托散][내탁산]   (0) 2018.12.18
[內托復煎散][내탁부전산]   (0) 2018.12.18
[內托白歛散][내탁백렴산]   (0) 2018.12.18

[乳粉托裏散] [유분탁리산]
治癰疽 惡瘡 毒氣攻心 迷悶嘔吐 喉舌生瘡
名曰心氣絶 初期 宜服此藥 最能返出毒氣 不致內陷.
菉豆粉16g 乳香4g 爲末 每8g 甘草湯 調 時時呷下,
一方新水 調服(入門).
一名, [內托散] [護心散] [內托香粉散] (綱目).
옹저나 악창 때 독기가 가슴으로 치밀어올라 정신을 잃으며
토하고 목구멍과 혀가 허는 것을 심기절(心氣絶)이라고 한다.
초기에 이 약을 쓰면 독기가 잘 나가고 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녹두가루(菉豆粉) 16g, 유향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감초를 달인 물에 타서 때때로 마신다.
어떤 처방에는 새로 길어온 물에 타서 먹게 되어 있다[입문].
일명 내탁산(內托散)이라고 하고 호심산(護心散)이라고도 하며
내탁향분산(內托香粉散)이라고도 한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托香粉散][내탁향분산]   (0) 2018.12.18
[內托千金散][내탁천금산]   (0) 2018.12.18
[內托復煎散][내탁부전산]   (0) 2018.12.18
[內托白歛散][내탁백렴산]   (0) 2018.12.18
[內消散][내소산]  (0) 2018.12.18

[內托復煎散][내탁부전산]
治陰疽蘊結於內恐侵藏府須
內托以救其裏使榮衛俱行邪氣不令內侵
蒼朮八兩, 防風一兩,
地骨皮 黃芩 赤茯巔 赤芍藥 人參 黃妉
白朮 桂皮 當歸 防己 甘草 各五錢
右犫先將蒼朮水五升煎至三升
去朮入諸藥再煎至三四盞作三四次終日飮之
又煎蒼朮滓如前再煎諸藥滓服之[正傳]
음저(陰疽)가 속으로 몰려서 장부(藏府)를 침범할 것 같이 된 것을 치료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탁리하여 영위(榮衛)가 다 잘 돌게 해서
사기가 속으로 침범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
삽주(창출) 300g, 방풍 40g,
지골피, 속썩은풀(황금),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인삼,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계피, 당귀, 방기, 감초 각각 20g.
위의 약 가운데서 먼저 삽주(창출)를 물 5되에 넣고 3되가 되게 달인 다음
짜서 찌꺼기는 걷어내고 여기에 다른 약을 넣고
다시 3∼4잔이 되게 달여 3∼4번에 나누어 하루에 먹는다.
그리고 삽주(창출) 찌꺼기와 다른 약찌꺼기는
다시 같은 방법으로 달여 먹어야 한다[정전].

[十宣散] [십선산]
治一切癰疽 瘡癤已成者 速壞, 未成者 速散, 敗膿自出,
惡肉自去 止痛 排膿生肌, 其效如神
人參 黃芪塩水浸蒸焙 當歸酒洗 厚朴薑製 桔梗 肉桂 川芎
防風 白芷 甘草各等分
爲末 每12g 溫酒調服 不飮酒者 木香湯調下(精要).
一名, [千金內托散] [醫鑑]
一名, [排膿內補散] [護壁都尉]服之去舊生新 [得效]
冬寒宜用夏月[內托復煎散]爲佳 [入門]
여러 가지 옹저와 창절(瘡癤)을 치료하는데
이미 곪은 것은 빨리 터지게 하고 곪지 않은 것은 빨리 삭게 하며
썩은 고름이 저절로 나오게 하고 궂은 살이 저절로 빠지게 하며
아픈 것을 멎게 하고 고름이 나오게 하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효과가 아주 크다.
인산, 단너삼(황기, 소금물에 담갔다가 쪄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당귀(술에 씻은 것), 후박(생강즙에 법제한 것), 도라지(길경), 육계,
궁궁이(천궁), 방풍,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
술을 먹지 못하면 목향을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정요].
일명 천금내탁산(千金內托散)이라고 한다[의감].
일명 배농내보산(排膿內補散), 일명 호벽도위(護壁都尉)라고도 하는데
먹으면 궂은 것[舊]이 없어지고 새살이 살아난다[득효].
겨울에 이 약이 좋다.
여름에는 내탁부전산(內托復煎散)이 좋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托千金散][내탁천금산]   (0) 2018.12.18
[內托散][내탁산]   (0) 2018.12.18
[內托白歛散][내탁백렴산]   (0) 2018.12.18
[內消散][내소산]  (0) 2018.12.18
[內塞散][내색산]  (0) 2018.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