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橘核散][귤핵산]
治四種 疝, 久者, 用橘核丸, 新者, 用橘核散.
橘核 一錢半,

桃仁 十五枚,

梔子仁 一錢,

川烏 炮, 吳茱萸 各五分.
右各炒, 爲麤末作一貼, 水煎服[丹心].
네 가지 퇴산을 치료하는데, 오래된 것은 귤핵환을 쓰고 새로 생긴 것은 귤핵산을 쓴다.
귤핵 한 돈 반,

도인 열다섯 개,

치자인 한 돈,

천오(싸서 구운 것), 오수유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각각 볶아 거칠게 가루내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橘核單止痛, 烏頭散寒鬱, 山梔除濕熱,

又引烏頭速下, 不令胃中停留, 用之甚捷[入門].
귤핵은 오로지 아픔을 멎게 하고, 오두는 뭉친 찬 기운을 풀어내며

산치인은 습열을 없애면서 오두의 기를 빨리 아래로 끌어내려

위 속에 머무르지 않게 하는데, 써보면 아주 빨리 낫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鈴散][금명산]   (0) 2018.12.17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18.12.17
[橘皮散][귤피산]   (0) 2018.12.17
[橘葉散][귤엽산]   (0) 2018.12.17
[橘蘇散][귤소산]  (0) 2018.12.17

[橘皮散][귤피산]
治吹 妬乳及乳癰, 未結卽散, 已結卽潰, 痛者卽不痛, 神效.
陳皮 去白麪炒, 爲細末, 麝香 硏.
酒調二錢, 服之, 一服卽效[雲岐].
취내와 투유, 유옹을 치료하는데,

아직 뭉치지 않았으면 풀어주고 이미 뭉쳤으면 헐어서 터지게 하며

아픈 것을 바로 그치게 하는 데 효과가 매우 좋다.
진피(흰 속을 버리고 밀가루와 함께 볶아서 곱게 가루낸다), 사향(간다).
위의 약들을 두 돈씩 술에 타서 먹는데, 한 번만 먹어도 곧 낫는다(운기).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18.12.17
[橘核散][귤핵산]   (0) 2018.12.17
[橘葉散][귤엽산]   (0) 2018.12.17
[橘蘇散][귤소산]  (0) 2018.12.17
[橘甘散][귤감산]  (0) 2018.12.17

[橘葉散][귤엽산]
治乳房結核, 及乳癰.
皂角刺 略炒 一錢半,

瓜蔞仁 一錢,

靑皮, 石膏, 甘草節, 當歸頭, 金銀花, 沒藥, 蒲公英 各五分.
右剉作一貼, 加靑橘葉一小握, 酒一盞半煎至一盞, 食後臨臥服[正傳].
젖멍울과 유옹을 치료한다.
조각자(대충 볶은 것) 한 돈 반,

과루인 한 돈,

청피, 석고, 감초절, 당귀두, 금은화, 몰약, 포공영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청귤엽 작은 한 줌을 더 넣고

술 한 사발 반을 한 사발이 되게 달여 밥을 먹고 나서 자기 전에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核散][귤핵산]   (0) 2018.12.17
[橘皮散][귤피산]   (0) 2018.12.17
[橘蘇散][귤소산]  (0) 2018.12.17
[橘甘散][귤감산]  (0) 2018.12.17
[勻氣散][균기산]   (0) 2018.12.17

[橘蘇散][귤소산]
治傷寒咳嗽 身熱 有汗 脈浮數 服杏子湯 不得者 宜服此
橘紅 紫蘇葉 杏仁 白朮 半夏 桑白皮 貝母 五味子 各4g

甘草2g
剉作一貼 薑三 水煎服(濟生).
한사(寒邪)에 상하여 기침이 나고 몸에 열이 나며 땀이 나고
맥이 부삭(浮數)한 것을 치료하는데 행자탕(杏子湯)을 먹어도
낫지 않을 때 이 약을 쓴다.
귤홍, 차조기잎(자소엽), 살구씨(행인),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패모, 오미자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제생].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皮散][귤피산]   (0) 2018.12.17
[橘葉散][귤엽산]   (0) 2018.12.17
[橘甘散][귤감산]  (0) 2018.12.17
[勻氣散][균기산]   (0) 2018.12.17
[葵花散][규화산]  (0) 2018.12.17

[橘甘散][귤감산]
治氣嗽 痰嗽 甚效
橘皮 生薑焙乾 神麴炒 各等分
爲末 溫水和 丸梧子大 米飮下50~70丸日再(正傳).
기수와 담수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귤껍질(陳皮) 생강(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따뜻한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하루 두번 미음으로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葉散][귤엽산]   (0) 2018.12.17
[橘蘇散][귤소산]  (0) 2018.12.17
[勻氣散][균기산]   (0) 2018.12.17
[葵花散][규화산]  (0) 2018.12.17
[葵子茯苓散][규자복령산]   (0) 2018.12.17

[勻氣散][균기산]
治中風 氣虛不遂
白朮8g

烏藥6g

人蔘 天麻 各4g
沈香 靑皮 白芷 木瓜 紫蘇葉 甘草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丹心).
一名, [順氣勻氣散] (醫林)
중풍(中風)으로 기가 허하여 몸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 8g, 오약 6g, 인삼, 천마 각각 4g,
침향, 선귤껍질(청피), 구릿대(백지), 모과, 차조기잎(자소엽),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일명 순풍균기산(順風勻氣散)이라고도 한다[의림].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蘇散][귤소산]  (0) 2018.12.17
[橘甘散][귤감산]  (0) 2018.12.17
[葵花散][규화산]  (0) 2018.12.17
[葵子茯苓散][규자복령산]   (0) 2018.12.17
[歸元散][귀원산]   (0) 2018.12.17

[葵花散][규화산]
治一切熱瘡
鬱金 黃連 黃栢 梔子 葵花  各等分,
爲末 冷水調膏 貼之 神效(得效).
여러 가지 열창을 치료한다.
울금, 황련, 황백, 산치자, 규화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찬물에 개서 붙이면 신기한 효과가 있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甘散][귤감산]  (0) 2018.12.17
[勻氣散][균기산]   (0) 2018.12.17
[葵子茯苓散][규자복령산]   (0) 2018.12.17
[歸元散][귀원산]   (0) 2018.12.17
[卷柏散][권백산]   (0) 2018.12.17

[葵子茯苓散][규자복령산]
治孕婦小便不利
冬葵子, 赤茯苓 各等分

爲末 每7.5g 米飮調下(仲景).
임신부에게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돌아욱씨(규자),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중경].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勻氣散][균기산]   (0) 2018.12.17
[葵花散][규화산]  (0) 2018.12.17
[歸元散][귀원산]   (0) 2018.12.17
[卷柏散][권백산]   (0) 2018.12.17
[芎朮散][궁출산]  (0) 2018.12.17

[歸元散][귀원산]
治夢遺日久, 氣下陷, 宜升提腎氣以歸元.
人蔘, 白朮, 白茯苓, 遠志, 酸棗仁 炒, 麥門冬, 黃柏,

知母 二味並童便炒, 雞頭實, 蓮花蘂, 枸杞子, 陳皮, 川芎 各五分,

升麻, 甘草 各二分半.
右剉. 蓮肉三箇, 棗子一枚, 水煎, 空心溫服[回春].
몽설이 오래되어 기가 아래로 처진 것을 치료하는데, 이

때는 신기(腎氣)를 끌어올려 제자리로 돌려보내야 한다.
인삼, 백출, 백복령, 원지, 산조인(볶은 것), 맥문동, 황백,

지모(황백과 지모는 동변에 축여 볶은 것),

감실, 연화예, 구기자, 진피, 천궁 각 다섯 푼,

승마, 감초 각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연자육 세 개와 대추 한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葵花散][규화산]  (0) 2018.12.17
[葵子茯苓散][규자복령산]   (0) 2018.12.17
[卷柏散][권백산]   (0) 2018.12.17
[芎朮散][궁출산]  (0) 2018.12.17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0) 2018.12.17

[卷柏散][권백산]
治遠年脚氣難治, 此方特效.
卷柏 東向者佳, 先以鹽水煮半日,

卽甘冷水煮半日, 焙乾, 黑牽牛子 頭末, 甘遂, 檳榔.
右各爲末, 不得相雜.

每服每件各取一錢, 惟檳榔二錢.

五更初, 濃煎葱白湯調下, 至辰巳時, 取下惡物如魚凍.

虛人減半服, 隨喫淡粥, 更服湯藥如淸熱瀉濕湯, 調之[得效].
각기가 오래되어 치료하기 어려운 것을 치료하는데, 이 처방은 뛰어난 효과가 있다.
권백(동쪽으로 향한 것이 좋은데,

먼저 소금물로 반일 동안 삶은 다음 바로 찬물로 한나절 동안 삶아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견우자(두말한 것), 감수, 빈랑.
위의 약들을 각각 가루내어 서로 섞이지 않게 한다.

먹을 때마다 각각의 약을 한 돈씩 쓰는데 빈랑만은 두 돈을 쓴다.

오경[새벽 3시 반부터 5시 반까지]의 시작 무렵에 총백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서

먹으면 진사시[오전 7시 반에서 11시 반]에 이르러 언 물고기[魚凍] 같은

더러운 것을 설사한다.

허약한 사람은 약을 반으로 줄여 먹은 다음 멀건 죽을 먹고

다시 청열사습탕과 같은 탕약을 먹어서 조리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葵子茯苓散][규자복령산]   (0) 2018.12.17
[歸元散][귀원산]   (0) 2018.12.17
[芎朮散][궁출산]  (0) 2018.12.17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0) 2018.12.17
[芎芷散][궁지산]   (0) 2018.12.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