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九龍控涎散][구룡공연산]
治天吊
蜈蚣一條酒塗灸 臘茶 雄黃 甘草 各8g
乳香 天竺黃 白礬枯 荊芥穗 各4g 菉豆半生半炒100粒
爲末 每2g 人參薄荷湯調下(醫林).
천조(天弔)를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술을 발라 구운 것) 1개,
작설차, 석웅황(웅황), 감초 각각 8g,
유향, 천축황, 백반(구운 것), 형개수 각각 4g,
녹두 100알(절반은 날것, 절반은 닦은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인삼과 박하를 두고 달인 물에 타먹인다[의림].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救命通心散][구명통심산]   (0) 2018.12.16
[瞿麥散][구맥산]   (0) 2018.12.16
[龜殼散][구각산]   (0) 2018.12.16
[交加散][교가산]  (0) 2018.12.16
[馘鬼散][괵귀산]  (0) 2018.12.16

[龜殼散][구각산]
治産難日久 垂死及矮石女子 交骨不開者
龜殼一箇生 男女婦人頭髮一握燒存性 川芎 當歸 各40g
爲末 每12g 水煎服. 良久 生胎 死胎 俱下(入門).
난산이 여러 날 끌면서 죽게 된 것,
난장이나 통뼈인 여자가 골반골이 벌어지지 않는 것 등에 쓴다.
거북등딱지(구각) 1개,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물에 달여 먹으면
오래되지 않아 산 아이나 죽은 아이나 다 나온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瞿麥散][구맥산]   (0) 2018.12.16
[九龍控涎散][구룡공연산]   (0) 2018.12.16
[交加散][교가산]  (0) 2018.12.16
[馘鬼散][괵귀산]  (0) 2018.12.16
[槐花散][괴화산]   (0) 2018.12.16

[交加散][교가산]
治産後痓
生地黃600g 生薑450g, 各搗 自然汁, 以生地黃汁 炒生薑滓,
以生薑汁 炒生地黃滓 合焙乾
爲末 每12g 溫酒調服(入門).
해산 후의 치병을 치료한다.
생지황 600g, 생강 460g.
위의 약들을 각각 따로 짓찧어 즙을 낸다.
생지황즙으로는 생강 찌꺼기를 축여 볶고 생강즙으로는
생지황 찌꺼기를 축여 볶아서 한데 섞은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九龍控涎散][구룡공연산]   (0) 2018.12.16
[龜殼散][구각산]   (0) 2018.12.16
[馘鬼散][괵귀산]  (0) 2018.12.16
[槐花散][괴화산]   (0) 2018.12.16
[觀音散][관음산]  (0) 2018.12.16

[馘鬼散][괵귀산]
治胃熱齒痛.
黃連, 胡桐淚, 荊芥穗, 薄荷, 升麻, 羊脛骨 灰 等分, 麝香 少許.
爲末擦之, 神效[東垣].
위(胃)의 열로 인한 치통을 치료한다.
황련, 호동루, 형개수, 박하, 승마, 양경골(태운 재) 각 같은 양,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문지르면 효과가 매우 좋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龜殼散][구각산]   (0) 2018.12.16
[交加散][교가산]  (0) 2018.12.16
[槐花散][괴화산]   (0) 2018.12.16
[觀音散][관음산]  (0) 2018.12.16
[款冬花散][관동화산]  (0) 2018.12.16

[槐花散][괴화산]
治藏毒.
當歸, 地楡 各一錢,
槐花 炒, 枳殼, 阿膠珠 各八分,
生地黃, 白芍藥, 黃芩, 升麻 各七分,
防風, 側柏葉 各五分.
右剉作一貼, 空心, 水煎服[回春].
장독을 치료한다.
당귀, 지유 각 한 돈,
괴화(볶은 것), 지각, 아교주 각 여덟 푼,
생지황, 백작약, 황금, 승마 각 일곱 푼,
방풍, 측백엽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交加散][교가산]  (0) 2018.12.16
[馘鬼散][괵귀산]  (0) 2018.12.16
[觀音散][관음산]  (0) 2018.12.16
[款冬花散][관동화산]  (0) 2018.12.16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0) 2018.12.16

[觀音散][관음산]
治脾困多瀉 不思乳食 精神昏困 四肢冷 欲成慢驚
人參4g

蓮肉 神麴 白茯苓 白朮 黃芪 木香 白萹豆 甘草 各1g
入薑三棗二 藿香3葉 同煎服(入門).
비(脾)가 약해져서 설사를 많이 하고 젖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으며
정신이 혼곤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면서 만경풍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4g,

연밥(연실), 약누룩(신국) 각각 0.8g,

흰솔풍령(백복령) 0.6g,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목향, 까치콩(백편두), 감초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쪽, 대추 1알, 곽향 3잎과 함께 달여 먹인다[입문].

[全蝎觀音散][전갈관음산] 

治 吐瀉後成  慢驚風  亦治  慢脾風

卽 前方 加  羌活  防風  天麻  全蝎 也[入門] 

토하고 설사한 뒤에 만경풍이 된 것을 치료하고 또한 만비풍도 치료한다.

위(관음산)의 처방에 강호리(강활), 방풍, 천마, 전갈을 더 넣은 것이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馘鬼散][괵귀산]  (0) 2018.12.16
[槐花散][괴화산]   (0) 2018.12.16
[款冬花散][관동화산]  (0) 2018.12.16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0) 2018.12.16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0) 2018.12.16

[款冬花散][관동화산]
治寒壅相交 肺氣不利 咳嗽痰盛
麻黃 貝母 阿膠珠 各8g,

杏仁 甘草 各4g,
知母 桑白皮 半夏 款冬花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得效).
한사(寒邪)나 막히는 것이 서로 어울려서 폐기(肺氣)가 순조롭지 못하여
기침이 나고 담(痰)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마황, 패모, 아교주 각각 8g,
살구씨(행인), 감초(닦은 것) 각각 4g,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끼무릇(반하), 관동화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槐花散][괴화산]   (0) 2018.12.16
[觀音散][관음산]  (0) 2018.12.16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0) 2018.12.16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0) 2018.12.16
[藿香安胃散][곽향안위산]   (0) 2018.12.16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治同上
蒼朮二錢
藿香 厚朴 陳皮 各一錢半
縮砂 神麴 各一錢
甘草灸七分右犫作一貼薑三片棗二枚水煎服[東垣]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곽향, 후박, 귤껍질(陳皮) 각각 6g,
사인, 약누룩(신국) 각각 4g,

감초(닦은 것)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觀音散][관음산]  (0) 2018.12.16
[款冬花散][관동화산]  (0) 2018.12.16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0) 2018.12.16
[藿香安胃散][곽향안위산]   (0) 2018.12.16
[瓜蔕散][과체산]  (0) 2018.12.16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治傷寒陰證 頭痛身疼 如不分表裏證 以此導引經絡 不致變動
藿香6g,
紫蘇葉4g
白朮 白茯苓 白芷 陳皮 厚朴 大腹皮 半夏製 桔梗 甘草 各2g.
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醫鑑).
상한음증으로 머리가 아프고 몸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만일 표증(表證)인가 이증(裏證)인가를 갈라 내기가 어려울 때에는
이 약 기운을 경락으로 이끌어 다른 변동이 없게끔 해야 한다.
곽향 6g,

차조기잎(자소엽) 4g,
구릿대(백지), 빈랑껍질, 흰솔풍령(백복령), 후박,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도라지(길경),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款冬花散][관동화산]  (0) 2018.12.16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0) 2018.12.16
[藿香安胃散][곽향안위산]   (0) 2018.12.16
[瓜蔕散][과체산]  (0) 2018.12.16
[瓜丁散][과정산]   (0) 2018.12.16

[藿香安胃散][곽향안위산]
治脾胃虛弱 嘔吐飮食 不待腐熟
橘紅20g
人參 丁香 藿香 各10g
爲末 每取7.5g 薑三片 同煎 溫服(醫鑑).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이 소화되기 전에 다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홍 20g,

인삼, 정향, 곽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보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0) 2018.12.16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0) 2018.12.16
[瓜蔕散][과체산]  (0) 2018.12.16
[瓜丁散][과정산]   (0) 2018.12.16
[瓜礬散][과반산]   (0) 2018.1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