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芎朮散][궁출산]
治痰積腹痛.
川芎, 蒼朮, 香附, 白芷 各等分.
右爲末, 薑汁, 磨木香, 點熱湯, 調下二錢[入門].
담이 쌓여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궁, 창출, 향부자, 백지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목향을 갈아

뜨거운 물에 넣고 그 물에 두 돈씩 타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歸元散][귀원산]   (0) 2018.12.17
[卷柏散][권백산]   (0) 2018.12.17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0) 2018.12.17
[芎芷散][궁지산]   (0) 2018.12.17
[芎烏散][궁오산]   (0) 2018.12.17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治傷寒 傷風 表證 頭項强 百節痛 陰陽未分 皆可服
香附子 蘇葉 各8g

蒼朮6g

陳皮 川芎 白芷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得效).
상한이나 상풍표증(傷風表證)으로 머리와 목덜미가 뻣뻣하며
모든 뼈마디가 다 아픈 것을 치료한다.
음증(陰證)인지 양증(陽證)인지를 갈라 내기 힘든 데도 이 약을 쓴다.
향부자,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8g,

삽주(창출) 6g,
귤껍질(陳皮),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卷柏散][권백산]   (0) 2018.12.17
[芎朮散][궁출산]  (0) 2018.12.17
[芎芷散][궁지산]   (0) 2018.12.17
[芎烏散][궁오산]   (0) 2018.12.17
[芎辛散][궁신산]   (0) 2018.12.17

[芎芷散][궁지산]
治風入耳虛鳴.
川芎 一錢半,
白芷, 蒼朮, 陳皮, 細辛, 石菖蒲, 厚朴, 半夏, 木通, 紫蘇葉, 辣桂,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連鬚葱白二莖, 煎服[入門].
풍이 귀로 들어가 허명(虛鳴)이 된 것을 치료한다.
천궁 한 돈 반,
백지, 창출, 진피, 세신, 석창포, 후박, 반하, 목통, 자소엽, 날계,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총백(실뿌리가 달린 것) 두 뿌리를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朮散][궁출산]  (0) 2018.12.17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0) 2018.12.17
[芎烏散][궁오산]   (0) 2018.12.17
[芎辛散][궁신산]   (0) 2018.12.17
[芎蘇散][궁소산]  (0) 2018.12.17

[芎烏散][궁오산]
川芎, 烏藥 各等分.
右爲末, 每二錢, 以燒稱錘淬酒調服.

亦治產後頭痛[入門].
천궁, 오약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불에 달군 저울추를 담금질했던 술에 타서 먹는다.
또 산후에 머리가 아픈 것도 치료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芷香蘇散][궁지향소산]   (0) 2018.12.17
[芎芷散][궁지산]   (0) 2018.12.17
[芎辛散][궁신산]   (0) 2018.12.17
[芎蘇散][궁소산]  (0) 2018.12.17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0) 2018.12.17

[芎辛散][궁신산]
治熱痰壅盛失音, 聲不出. 是燥熱所致, 用此卽效.
川芎, 細辛, 防風, 桔梗, 白芷, 羌活, 桑白皮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二片薄荷三葉, 水煎服[得效].
열담(熱痰)이 많이 몰려 목이 쉬어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이 병은 조열(燥熱)로 인한 것으로, 이 약을 쓰면 곧 효과가 있다.
천궁, 세신, 방풍, 길경, 백지, 강활, 상백피 각 한 돈,

감초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두 쪽과 박하 세 잎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芷散][궁지산]   (0) 2018.12.17
[芎烏散][궁오산]   (0) 2018.12.17
[芎蘇散][궁소산]  (0) 2018.12.17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0) 2018.12.17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0) 2018.12.17

[芎蘇散][궁소산]
治孕婦傷寒頭痛 寒熱 咳嗽
黃芩 前胡 麥門冬 各4g
川芎 陳皮 白芍藥 白朮 各3g,
紫蘇葉 乾葛 各2g
甘草1g
爲剉作一貼入薑葱煎服(入門).
임신부가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나며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전호, 맥문동 각각 4g,
궁궁이(천궁),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각각 3.2g,
차조기잎(자소엽) 2.4g,

칡뿌리(갈근) 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파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芎蘇散][궁소산]
川芎 紫蘇葉 白芍藥 白朮 麥門冬 陳皮 乾葛 各4g
甘草2g
爲剉作一貼入薑五葱白三莖水煎服(濟生).
궁궁이(천궁), 차조기잎(자소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맥문동, 귤껍질(陳皮),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烏散][궁오산]   (0) 2018.12.17
[芎辛散][궁신산]   (0) 2018.12.17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0) 2018.12.17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0) 2018.12.17
[芎藭散][궁궁산]   (0) 2018.12.17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托裏 排膿生肌
川芎 當歸 白芍藥酒炒 白茯苓 木香 白芷 各5g
人參 辣桂 丁香 甘草生 各3g
剉作一貼 水煎服 或爲末 每8g 米飮調下(直指).
탁리하여 고름을 빨아내며 새살이 살아나게 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에 축여 볶은 것),

흰솔풍령(백복령), 목향, 구릿대(백지) 각각 4.8g,

인삼, 육계, 정향, 감초(생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辛散][궁신산]   (0) 2018.12.17
[芎蘇散][궁소산]  (0) 2018.12.17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0) 2018.12.17
[芎藭散][궁궁산]   (0) 2018.12.17
[菊花散][국화산]   (0) 2018.12.17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治勞瘧
鱉甲8g,
川芎 當歸 赤茯苓 赤芍藥 半夏 陳皮 靑皮 各4g 烏梅一箇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水煎服(入門)
노학(勞 )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8g,
궁궁이, 당귀, 벌건솔풍령, 함박꽃뿌리, 끼무릇, 귤껍질, 선귤껍질(靑皮) 각각 4g,
오매 1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蘇散][궁소산]  (0) 2018.12.17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0) 2018.12.17
[芎藭散][궁궁산]   (0) 2018.12.17
[菊花散][국화산]   (0) 2018.12.17
[菊花茶調散][국화다조산]   (0) 2018.12.16

[芎藭散][궁궁산]
治頭風眩暈, 兼治肝虛而暈, 尤宜婦人.
川芎 一錢,

當歸 七分半,

羌活, 旋覆花, 蔓荊子, 細辛, 石膏, 藁本, 荊芥穗, 半夏麴, 熟地黃, 防風,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 煎服[本事]

與上養血去風湯同而分數異.
두풍으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하고 아울러 간이 허하여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부인에게 더욱 좋다.
천궁 한 돈,

당귀 일곱 푼 반,

강활, 선복화, 만형자, 세신, 석고, 고본, 형개수, 반하국, 숙지황, 방풍,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본사).

앞의 양혈거풍탕과 같으나 푼 수가 다르다.

[芎藭散][궁궁산]
治鼻塞爲齆.
芎藭, 檳榔, 麻黃, 肉桂, 防己, 木通, 細辛, 白芷, 菖蒲 各七分,

木香, 川椒, 甘草 各三分半.
右剉作一貼, 入薑三片, 紫蘇葉五片, 水煎服[直指].
비색이 비옹으로 된 것을 치료한다.
천궁, 빈랑, 마황, 육계, 방기, 목통, 세신, 백지, 석창포 각 일곱 푼,

목향, 천초, 감초 각 서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자소엽 다섯 잎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0) 2018.12.17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0) 2018.12.17
[菊花散][국화산]   (0) 2018.12.17
[菊花茶調散][국화다조산]   (0) 2018.12.16
[局方密蒙花散][국방밀몽화산]   (0) 2018.12.16

[菊花散][국화산]
治肝受風毒, 眼目赤腫, 多淚磣痛, 漸生瞖膜.
甘菊 四兩,
蟬殼, 木賊, 羌活, 白蒺藜 各三兩,
荊芥, 甘草 各二兩.
右爲末, 每二錢, 茶淸調下[入門].
간(肝)이 풍독을 받아 눈이 붉게 부어오르면서 눈물이 많이 나고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아프며 점차 예막이 생기는 것을 치료한다.
감국 넉 냥,
선각, 목적, 강활, 백질려 각 석 냥,
형개, 감초 각 두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맑은 찻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菊花散][국화산]
治鬚髮黃燥, 能令黑潤.
甘菊, 蔓荊子, 側柏葉, 川芎, 白芷, 細辛, 桑白皮, 旱蓮根.莖.花.葉 各一兩.
右剉, 每二兩, 漿水三椀煎至二椀, 去滓, 洗鬚髮[丹心].
수염과 머리카락이 누렇게 되면서 마르는 것을 치료하여 다시 검게 하고 윤기 나게 할 수 있다.
국화, 만형자, 측백엽, 천궁, 백지, 세신, 상백피, 한련근, 한련경, 한련화, 한련엽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썰어 두 냥씩 좁쌀죽 웃물 세 사발에 넣고 두 사발이 될 때까지 달인다.
찌꺼기를 버린 다음 이것으로 수염과 머리카락을 씻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0) 2018.12.17
[芎藭散][궁궁산]   (0) 2018.12.17
[菊花茶調散][국화다조산]   (0) 2018.12.16
[局方密蒙花散][국방밀몽화산]   (0) 2018.12.16
[驅風解毒散][구풍해독산]   (0) 2018.1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