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芎藭散][궁궁산]
治頭風眩暈, 兼治肝虛而暈, 尤宜婦人.
川芎 一錢,

當歸 七分半,

羌活, 旋覆花, 蔓荊子, 細辛, 石膏, 藁本, 荊芥穗, 半夏麴, 熟地黃, 防風, 甘草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三片, 煎服[本事]

與上養血去風湯同而分數異.
두풍으로 어지러운 것을 치료하고 아울러 간이 허하여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부인에게 더욱 좋다.
천궁 한 돈,

당귀 일곱 푼 반,

강활, 선복화, 만형자, 세신, 석고, 고본, 형개수, 반하국, 숙지황, 방풍, 감초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본사).

앞의 양혈거풍탕과 같으나 푼 수가 다르다.

[芎藭散][궁궁산]
治鼻塞爲齆.
芎藭, 檳榔, 麻黃, 肉桂, 防己, 木通, 細辛, 白芷, 菖蒲 各七分,

木香, 川椒, 甘草 各三分半.
右剉作一貼, 入薑三片, 紫蘇葉五片, 水煎服[直指].
비색이 비옹으로 된 것을 치료한다.
천궁, 빈랑, 마황, 육계, 방기, 목통, 세신, 백지, 석창포 각 일곱 푼,

목향, 천초, 감초 각 서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자소엽 다섯 잎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托裏散][궁귀탁리산]   (0) 2018.12.17
[芎歸鱉甲散][궁귀별갑산]   (0) 2018.12.17
[菊花散][국화산]   (0) 2018.12.17
[菊花茶調散][국화다조산]   (0) 2018.12.16
[局方密蒙花散][국방밀몽화산]   (0) 2018.1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