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音散][관음산]
治脾困多瀉 不思乳食 精神昏困 四肢冷 欲成慢驚
人參4g

蓮肉 神麴 白茯苓 白朮 黃芪 木香 白萹豆 甘草 各1g
入薑三棗二 藿香3葉 同煎服(入門).
비(脾)가 약해져서 설사를 많이 하고 젖과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으며
정신이 혼곤하고 팔다리가 싸늘하면서 만경풍이 되려고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4g,

연밥(연실), 약누룩(신국) 각각 0.8g,

흰솔풍령(백복령) 0.6g,
흰삽주(백출), 단너삼(황기), 목향, 까치콩(백편두), 감초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생강 2쪽, 대추 1알, 곽향 3잎과 함께 달여 먹인다[입문].

[全蝎觀音散][전갈관음산] 

治 吐瀉後成  慢驚風  亦治  慢脾風

卽 前方 加  羌活  防風  天麻  全蝎 也[入門] 

토하고 설사한 뒤에 만경풍이 된 것을 치료하고 또한 만비풍도 치료한다.

위(관음산)의 처방에 강호리(강활), 방풍, 천마, 전갈을 더 넣은 것이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馘鬼散][괵귀산]  (0) 2018.12.16
[槐花散][괴화산]   (0) 2018.12.16
[款冬花散][관동화산]  (0) 2018.12.16
[藿香平胃散][곽향평위산]   (0) 2018.12.16
[藿香正氣散][곽향정기산]   (0) 2018.12.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