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代灸散][대구산]
治瘰癧潰爛 臭不可聞
鉛粉 雄黃 各4g

輕粉2g

麝香1g,
爲末 用槐皮一片 將鍼藥氣 自然投入瘡中 痛熱爲止 2~3次全愈(醫鑒).
나력이 터져서 진물어 가까이 할 수 없이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호분, 석웅황(웅황) 각각 4g,

경분, 2g,

사향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리고 홰나무껍질 한 조각을 침으로 빽빽하게 구멍을 뚫는다.
이것을 상처 위에 놓고 그 위에 약가루 1자밤을 뿌린다.
다음 불로 뜨겁게 하면 약기운이 저절로 상처 속으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하는 것을 아프고 열이 나는 것이 멎을 때까지 하는데
두세번 하면 완전히 낫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豆蘗散][대두벽산]  (0) 2018.12.19
[大寧散][대녕산]  (0) 2018.12.19
[大喯散][대계산]   (0) 2018.12.18
[大決明散][대결명산]  (0) 2018.12.18
[當歸和血散][당귀화혈산]   (0) 2018.12.18

[大喯飮子][대계음자]
一名 [大喯散]
治辛熱物傷肺胃嘔吐血
名曰肺疽
大喯根, 桑白皮, 犀角, 升麻, 蒲黃炒, 杏仁, 桔梗,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水煎服[丹心]
일명 대계산(大 散)이라고도 한다.
매운 것이나 뜨거운 것에 폐(肺)와 위(胃)가 상해서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을 일면 폐저(肺疽)라고도 한다.
엉겅퀴(대계)뿌리,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서각, 승마,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살구씨(행인),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寧散][대녕산]  (0) 2018.12.19
[代灸散][대구산]   (0) 2018.12.19
[大決明散][대결명산]  (0) 2018.12.18
[當歸和血散][당귀화혈산]   (0) 2018.12.18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18.12.18

[石決明散][석결명산]
治肝熱 眼赤腫痛 忽生瞖膜
或脾熱瞼內 如鷄冠蜆肉
或蟹睛疼痛 或旋螺尖起
石決明 草決明 各40g
羗活 梔子 木賊 靑箱子 赤芍藥 各20g
大黃 荊芥 各10g
爲末 每8g 麥門冬湯 調下(入門).
간열(肝熱)로 눈에 피지면서 붓고 아프다가 갑자기 예막이 생기는 것이나
비(脾)에 열이 있어서 눈꺼풀 안쪽에 닭의 볏이나 가막조갯살같이 생긴 것이
나오는 것과 해정(蟹睛)으로 아픈 것, 선라첨기(旋螺尖起)를 치료한다.
전복껍질(석결명), 결명씨(결명자) 각각 40g,
강호리(강활), 산치자, 속새(목적), 개맨드라미씨(청상자), 함박꽃뿌리(작약) 각각 20g,
대황, 형개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맥문동을 달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一名, [大決明散]
일명 대결명산(大決明散)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代灸散][대구산]   (0) 2018.12.19
[大喯散][대계산]   (0) 2018.12.18
[當歸和血散][당귀화혈산]   (0) 2018.12.18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18.12.18
[當歸龍膽散][당귀용담산]   (0) 2018.12.18

[當歸和血散][당귀화혈산]
治腸風射血, 及濕毒下血.
當歸, 升麻 各一錢半,
槐花 炒, 靑皮, 荊芥, 白朮, 熟地黃 各七分,
川芎 五分.
右爲末, 每二錢, 空心, 米飮調下.
一名 [槐花散][拔粹].
장풍으로 피가 [활을] 쏘듯이 [한 줄기로] 나오는 것과 습독하혈을 치료한다.
당귀, 승마 각 한 돈 반,
괴화(볶은 것), 청피, 형개, 백출, 숙지황 각 일곱 푼,
천궁 닷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빈속에 두 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
괴화산이라고도 한다(발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喯散][대계산]   (0) 2018.12.18
[大決明散][대결명산]  (0) 2018.12.18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18.12.18
[當歸龍膽散][당귀용담산]   (0) 2018.12.18
[當歸鬚散][당귀수산]  (0) 2018.12.18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治姙娠心腹痛 及泄痢 産前産後 通用
白芍藥10g
川芎 澤瀉 各6g
當歸 赤茯苓 白朮 各3g,
細末 溫酒下8g(局方).
임신 때 명치 밑이 아픈 것과 설사와 이질을 치료하는데 산전 산후에 두루 쓴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10g,
궁궁이(천궁), 택사 각각 6g,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決明散][대결명산]  (0) 2018.12.18
[當歸和血散][당귀화혈산]   (0) 2018.12.18
[當歸龍膽散][당귀용담산]   (0) 2018.12.18
[當歸鬚散][당귀수산]  (0) 2018.12.18
[團魚散][단어산]  (0) 2018.12.18

[當歸龍膽散][당귀용담산]
治寒熱齒痛.
升麻, 麻黃, 草龍膽, 黃連, 草豆蔲 各一錢,
生地黃, 白芷, 當歸梢, 羊脛骨 灰 各五分.
右爲末, 擦之[東垣].
한(寒)이나 열로 이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승마, 마황, 용담초, 황련, 초두구 각 한 돈,
생지황, 백지, 당귀초, 양경골(태운 재)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문지른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和血散][당귀화혈산]   (0) 2018.12.18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18.12.18
[當歸鬚散][당귀수산]  (0) 2018.12.18
[團魚散][단어산]  (0) 2018.12.18
[다牙散][다아산]   (0) 2018.12.18

[當歸鬚散][당귀수산]
治打撲損傷 氣凝血結 胸腹脇痛
當歸尾6g

赤芍藥 烏藥 香附子 蘇木 各4g
紅花 桃仁 桂皮 各3g

甘草2g
剉作一貼 酒水相半 煎服(入門).
타박(打撲)을 받아 상하여 기와 혈이 몰려서 가슴과 배,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잔뿌리) 6g,

함박꽃뿌리(작약), 오약, 향부자, 소목 각각 4g,
잇꽃(홍화) 3.2g, 복숭아씨(도인) 2.8g, 계피 2.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18.12.18
[當歸龍膽散][당귀용담산]   (0) 2018.12.18
[團魚散][단어산]  (0) 2018.12.18
[다牙散][다아산]   (0) 2018.12.18
[凌霄花散][능소화산]   (0) 2018.12.18

[團魚散][단어산]
治骨蒸潮熱咳嗽
貝母 前胡 知母 杏仁 柴胡 各等分

團魚鱉也2箇 爲藥 同團魚 煮魚熟
提起去頭 取肉 連汁食之 却將前藥 焙乾

爲末 就用團魚裙甲 及骨更煮汁
一盞和藥 爲丸梧子大 煎黃芪湯方見虛勞 呑下 病安,
仍服 黃芪益損湯方見虛勞 調理(得效).
골증 때의 조열(潮熱)과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패모, 전호, 지모, 살구씨(행인), 시호 각각 같은 양, 자라(團魚) 2마리.
위의 약들을 자라와 같이 달여 자라가 물렀으면 건져서 대가리는 버리고
살만 발라 국물까지 먹고 다시 약 찌꺼기를 약한 불기운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자라의 등딱지와 너부렁이, 뼈를 다시 고아 1잔이 되게 한다.
여기에 약가루를 넣고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황기탕 달인 물로 먹으면 병이 낫는다.
그리고 계속 황기익손탕을 먹고 조리하는 것이 좋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龍膽散][당귀용담산]   (0) 2018.12.18
[當歸鬚散][당귀수산]  (0) 2018.12.18
[다牙散][다아산]   (0) 2018.12.18
[凌霄花散][능소화산]   (0) 2018.12.18
[漏蘆散][누로산]   (0) 2018.12.18

[다牙散][다아산]
白梅肉燒存性 白礬枯 各二錢半 人中白禭五錢
右爲細末先以堛菜根老茶濃煎
水鷄羽濐洗去腐爛惡肉至見鮮血乃付藥日三次
爛至喉中者用小竹筒吹藥入雖牙齒爛落口脣穿破付藥
皆愈但鼻梁發紅點則不可治[醫鑑]
백매육(약성이 남게 태운 것), 백반(구운 것) 각각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낸 다음 먼저 부추뿌리와 묵은 차를 진하게
달인 물을 닭의 깃에 묻혀 문드러져서 못 쓰게 된 살을 씻어 내되
선지피가 나오면 다아산을 하루 세번씩 뿌려 준다.
목구멍까지 헤졌을 때에는 가는 참대대롱으로 약을 불어넣는다.
이가 삭아 떨어지고 입술이 뚫어진 것이라도 이 약을 바르면 다 낫는다.
다만 콧등에 붉은 점이 나타난 것은 치료되지 않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鬚散][당귀수산]  (0) 2018.12.18
[團魚散][단어산]  (0) 2018.12.18
[凌霄花散][능소화산]   (0) 2018.12.18
[漏蘆散][누로산]   (0) 2018.12.18
[綠袍散][녹포산]   (0) 2018.12.18

[凌霄花散][능소화산]
治酒齄鼻. 不三次, 可去根.
凌霄花, 山梔子 等分.
爲末, 每二錢, 食後茶淸調下[得效].
주사비를 치료한다.
세 번을 먹지 않아도 병의 뿌리를 뽑을 수 있다.
능소화, 산치자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후에 두 돈씩 맑은 찻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團魚散][단어산]  (0) 2018.12.18
[다牙散][다아산]   (0) 2018.12.18
[漏蘆散][누로산]   (0) 2018.12.18
[綠袍散][녹포산]   (0) 2018.12.18
[綠雲散][녹운산]  (0) 2018.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