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磨光散][마광산]
治風眼, 消瞖障.
白蒺藜 炒, 防風, 羌活, 石決明 煅, 甘菊, 草決明, 蟬殼, 蛇退, 川芎, 甘草 鹽水灸 各五錢.
右爲末, 每二錢, 麥門冬湯調下, 食後[直指].
풍안과 예장을 치료한다.
백질려(볶은 것), 방풍, 강활, 석결명(불에 달군 것),

감국, 초결명, 선태, 사태, 천궁, 감초(소금물에 축여 구운 것) 각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후에 두 돈씩 맥문동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18.12.19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18.12.19
[燈心散][등심산]   (0) 2018.12.19
[豆參散][두삼산]   (0) 2018.12.19
[豆埼橘紅散][두기귤홍산]   (0) 2018.12.19

[燈心散][등심산]
治小兒心燥 夜啼
燈花三四顆 硏細以燈心煎湯 調塗口中 以乳汁送下 日三.
一方, 燈花7枚 硼砂一字 朱砂少許 硏細蜜調 抹唇上 立止(三因).
一名, [花火膏] (正傳).
어린이가 가슴이 답답하여 밤마다 우는 것을 치료한다.
등화 3-4덩이를 잘 갈아서 골풀속살(등심초) 달인 물로 개어
하루 세번씩 입에 발라서 젖을 물려 넘기게 한다.
또 한 가지 처방은 등화 7개, 붕사 1g, 주사 조금을
한데 잘 갈아서 꿀로 갠 다음 입술에 바르면 곧 멎는다[삼인].
일명 화화고(花火膏)라고도 한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18.12.19
[磨光散][마광산]  (0) 2018.12.19
[豆參散][두삼산]   (0) 2018.12.19
[豆埼橘紅散][두기귤홍산]   (0) 2018.12.19
[銅靑散][동청산]   (0) 2018.12.19

[豆參散][두삼산]
吐痰輕劑也
赤小豆 苦蔘
爲末 酸漿水 調服 鵝翎探之(綱目)
담(痰)을 토하게 하는 데 성질이 가벼운 약이다.
붉은팥(적소두), 너삼(고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신좁쌀웃물에 타서 먹고
거위깃 같은 것으로 목구멍을 자극하여 토해야 한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磨光散][마광산]  (0) 2018.12.19
[燈心散][등심산]   (0) 2018.12.19
[豆埼橘紅散][두기귤홍산]   (0) 2018.12.19
[銅靑散][동청산]   (0) 2018.12.19
[東垣托裏散][동원탁리산]  (0) 2018.12.19

[豆埼橘紅散][두기귤홍산]
化宿食 溫脾胃.
木香 丁香 各4g
白豆寇 人參 白朮 厚朴 神麯 乾生薑 半夏麴 橘紅 藿香 甘草灸 各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丹心).
먹은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는 것을 삭이며 비위를 따뜻하게 해준다.
목향, 정향 각각 4g,
백두구, 인삼, 후박, 흰삽주(백출), 약누룩(신국), 생강(말린 것),
반하국, 귤홍, 곽향,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燈心散][등심산]   (0) 2018.12.19
[豆參散][두삼산]   (0) 2018.12.19
[銅靑散][동청산]   (0) 2018.12.19
[東垣托裏散][동원탁리산]  (0) 2018.12.19
[銅綠散][동록산]  (0) 2018.12.19

[銅靑散][동청산]
治走馬牙疳
白芷20g,  銅綠10g,  馬牙硝4g,  麝香一字
爲末 乾糝之(得效).
주마아감을 치료한다.
구릿대(백지) 20g, 동록 10g, 마아초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마른 것으로 뿌려 준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豆參散][두삼산]   (0) 2018.12.19
[豆埼橘紅散][두기귤홍산]   (0) 2018.12.19
[東垣托裏散][동원탁리산]  (0) 2018.12.19
[銅綠散][동록산]  (0) 2018.12.19
[獨活散][독활산]  (0) 2018.12.19

[東垣托裏散][동원탁리산]
治胃脘癰 內疽 及一切惡瘡始發腫痛 脈洪數弦實 將欲作膿者 三服消盡
金銀花 當歸 各8g
大黃 牡蠣 瓜蔞根 皂角刺 連翹 朴硝 各3g
赤芍藥 黃芩 各2g
剉作一貼 酒水相半 煎服(精義).
위완옹과 내저, 여러 가지 악창의 초기에 붓고 아프며
맥이 홍(洪), 삭(數), 현(弦), 실(實)하고 점차 곪으려고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3번만 먹으면 낫는다.
금은화, 당귀 각각 8g,
대황, 굴조개껍질(모려), 하늘타리뿌리(과루근), 주염나무가시(조각자),
연교, 박초 각각 2.4g, 함박꽃뿌리(적작약), 속썩은풀(황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어서 달여 먹는다[정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豆埼橘紅散][두기귤홍산]   (0) 2018.12.19
[銅靑散][동청산]   (0) 2018.12.19
[銅綠散][동록산]  (0) 2018.12.19
[獨活散][독활산]  (0) 2018.12.19
[獨虎散][독호산]   (0) 2018.12.19

[銅綠散][동록산]
治男女陰濕瘡, 蟲蝕瘡1).
五倍子 五錢, 白礬 一錢,
乳香, 銅綠 各五分,
輕粉 二分半.
右爲末, 先以藥水洗, 後糝之[入門].
남자나 여자의 음부가 축축하여 헌 것이나[濕瘡], 월식창[蟲蝕瘡]을 치료한다.
오배자 닷 돈, 백반 한 돈,
유향, 동록 각 닷 푼,
경분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환부를 먼저 약수로 씻은 다음 뿌린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銅靑散][동청산]   (0) 2018.12.19
[東垣托裏散][동원탁리산]  (0) 2018.12.19
[獨活散][독활산]  (0) 2018.12.19
[獨虎散][독호산]   (0) 2018.12.19
[獨行散][독행산]  (0) 2018.12.19

[獨活散][독활산]
治陽明風熱攻注, 齒齦宣露動痛.
獨活, 羌活, 川芎, 防風 各一錢六分,
生地黃, 荊芥, 薄荷 各一錢,
細辛 七分.
右剉作一貼, 水煎服[丹心].
양명경의 풍열이 이와 잇몸을 침범하여 이가 드러나고 흔들리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독활, 강활, 천궁, 방풍 각 한 돈 여섯 푼,
생지황, 형개, 박하 각 한 돈,
세신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東垣托裏散][동원탁리산]  (0) 2018.12.19
[銅綠散][동록산]  (0) 2018.12.19
[獨虎散][독호산]   (0) 2018.12.19
[獨行散][독행산]  (0) 2018.12.19
[獨勝散][독승산]  (0) 2018.12.19

[獨虎散][독호산]
治脫肛.
五倍子 半兩.
水三椀, 煎至半, 入焰硝荊芥 各一錢,

乘熱熏洗, 用五倍子末糝之[直指].
탈항을 치료한다.
오배자 반 냥.
물 세 대접을 넣고 반이 되도록 달여 염초, 형개 각 한 돈씩을 넣고
뜨거울 때 김을 쐬면서 씻어내고 오배자가루를 항문에 뿌린다(직지).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銅綠散][동록산]  (0) 2018.12.19
[獨活散][독활산]  (0) 2018.12.19
[獨行散][독행산]  (0) 2018.12.19
[獨勝散][독승산]  (0) 2018.12.19
[倒換散][도환산]   (0) 2018.12.19

[獨行散][독행산] [五靈脂末]
오령지 - 날다람쥐의 마른 똥
性溫味甘無毒主心腹冷痛通利血怴下女子月閉(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명치 밑이 차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월경이 막힌 것을 통하게 한다 [본초].
此物入肝 最速能 行血止血 治婦人血氣 刺痛甚效(丹心)
이 약 기운은 간(肝)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피를 잘 돌게 하고
지혈(止血)하는 데는 효과가 제일 빠르다.
부인이 혈기로 찌르는 것같이 아픈 데 효과가 아주 좋다 [단심].
此地寒號盤糞也色黑如鐵採無時此盤四足有肉翅不能遠飛
이것은 북쪽 지방에 사는 한호충(寒號蟲)의 똥이다.
빛은 무쇠처럼 검은데 아무 때나 모아서 쓴다.
이 동물은 발이 4개이고 날개에 살이 있기 때문에 멀리 날아가지 못한다.
多挾沙石先以酒硏飛鍊去沙石乃佳(本草)
오령지에는 모래나 돌이 섞섞인것이 많으므로 술에 갈아서
수비하여[硏飛鍊] 모래와 돌을 버리고 써야 한다. [본초].
生用酒硏飛鍊去沙石熟用者飛後炒令烟起嶽硏用(入門)
생것을 쓰려고 할 때에는 술에 갈아 수비하여 모래와 돌을 버리고 써야 하며,
익혀서 쓰려고 할 때에는 술에 갈아 수비한 다음에 연기가 나도록 볶아(닦아서)
가루내어 써야 한다 [입문].
去心腹死血作痛最妙(醫鑑)
명치 밑에 궂은 피[死血]가 있어 아픈 것을 멎게 하는데 아주 좋다 [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活散][독활산]  (0) 2018.12.19
[獨虎散][독호산]   (0) 2018.12.19
[獨勝散][독승산]  (0) 2018.12.19
[倒換散][도환산]   (0) 2018.12.19
[桃花散][도화산]   (0) 2018.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