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萬病無憂散][만병무우산]
專治夏月霍亂 吐瀉似瘧非瘧似痢非痢不伏水土等證常服可防瘧痢.
香薷 白扁豆 各80g
草果 黃連 滑石 澤瀉 各48g
枳殼 木通 厚朴 陳皮 赤茯苓 車前子 猪苓 縮砂 各32g
白朮 茴香 各23g,
木香 甘草 各10g.
爲細末 每7.5g滾湯調服 或茶淸調下 忌米飮(入門).
여름철에 곽란( 亂)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학질 비슷하나 학질이 아닌 증(證),
이질 비슷하나 이질이 아닌 증, 수토(水土)가 맞지 않아[不伏] 생긴 병 등을 치료한다.
늘 먹으면 학질이나 이질을 막을 수 있다.
노야기(향유), 까치콩(백편두) 각각 80g,
초과, 황련, 곱돌(활석), 택사 각각 48g,
지각, 으름덩굴(목통), 후박,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길짱구씨(차전자), 저령, 사인 각각 32g,
흰삽주(백출), 회향 각각 22.4g,
목향, 감초 각각 1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는 물에 타 먹는다.
혹은 차 달인 웃물(茶淸)에 타 먹는다.
미음으로는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萬病五苓散][만병오령산]   (0) 2018.12.19
[萬病四苓散][만병사령산]  (0) 2018.12.19
[萬靈散][만령산]  (0) 2018.12.19
[麻黃散][마황산]   (0) 2018.12.19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18.1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