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定風餠子][정풍병자]
治痰厥頭痛, 嘔吐眩暈.
川烏, 川芎, 南星, 半夏, 乾薑, 天麻, 白茯苓, 白附子, 甘草 各等分 生用.
右爲末, 薑汁糊和丸芡實大, 捏作餠子, 朱砂爲衣, 每一餠細嚼, 薑湯下[得效].
담궐두통으로 토하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천오, 천궁, 남성, 반하, 건강, 천마, 백복령, 백부자, 감초 각 같은 양(모두 날것으로 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밀가루 풀로 반죽하여 감실대의 알약을 만들어 납작하게 떡을 만든 다음 주사로 옷을 입혀 떡 하나씩 잘게 씹어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黃飮子][지황음자]  (0) 2019.01.10
[中品錠子][중품정자]   (0) 2019.01.10
[截瘧飮子][절학음자]   (0) 2019.01.10
[紫蘇飮子][자소음자]   (0) 2019.01.10
[紫金錠子][자금정자]  (0) 2019.01.09

[截瘧飮子][절학음자]
治久瘧不愈 一服便差 永不發如神
常山6g, 檳榔4g, 丁香2g 烏梅一箇
剉作一貼 好酒一盞 浸一宿 臨發日 淸晨 溫服.
卽[正傳] 截瘧方也(正傳).
오랜 학질이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한번만 먹어도 곧 낫고 영원히 도지지 않는다.
상산 6g, 빈랑 4g, 정향 2g, 오매 1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좋은 술 1잔에 하룻밤 담가두었다가
그 윗물을 받아 발작할 날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이것이 바로 정전에 있는 절학방이다[정전].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品錠子][중품정자]   (0) 2019.01.10
[定風餠子][정풍병자]  (0) 2019.01.10
[紫蘇飮子][자소음자]   (0) 2019.01.10
[紫金錠子][자금정자]  (0) 2019.01.09
[人參飮子][인삼음자]   (0) 2019.01.09

[紫蘇飮子][자소음자]
治脾肺虛寒 咳嗽 痰盛
紫蘇葉 桑白皮 靑皮 杏仁 五味子 麻黃 陳皮 甘草 各4g
人參 半夏 各3g
剉作一貼 入薑三 水煎服(丹心).
비와 폐가 허(虛)하고 차서 기침이 나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차조기잎(자소엽),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선귤껍질(청피),
살구씨(행인), 오미자, 마황,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定風餠子][정풍병자]  (0) 2019.01.10
[截瘧飮子][절학음자]   (0) 2019.01.10
[紫金錠子][자금정자]  (0) 2019.01.09
[人參飮子][인삼음자]   (0) 2019.01.09
[凝神飮子][응신음자]  (0) 2019.01.09

[紫金錠子][자금정자]
治傳尸勞瘵
一女久患勞瘵, 爲尸虫所嚙, 磨一錠服之,

一時吐下小虫十餘條, 後服蘇合香元半月如常.

此藥廣施, 瘵病無不驗[入門].
전시 노채를 치료한다.
한 여자가 오랫동안 노채를 앓았는데 시충에게 물려서 생긴 것이었다.
한 알을 갈아먹으니 단번에 토하고 설사하면서 작은 충 10여 마리가 나왔다.

그 뒤 소합향원을 먹었는데 15일 만에 나았다.
이 약을 노채병에 두루 써보았는데 효과가 없었던 적이 없었다(입문).
一家兄弟五人並患傳尸勞, 已死者三人.

有方士敎令服紫金錠, 遂各服一錠, 一人下惡物如膿狀, 一人下死虫, 皆愈[醫鑑].
한 집안에 다섯 형제가 모두 전시 노채를 앓았는데 세 명은 이미 죽었다.

한 방사가 자금정을 먹으라고 가르쳐주어 이 말에 따라 각각 한 알씩 복용하였더니

한 사람은 고름 같은 나쁜 것이 빠져나오고,

다른 한 사람은 죽은 충이 빠져나오면서 병이 모두 나았다(의감).
一名 [萬病解毒丹] 方見解毒.
만병해독단(처방은 해독문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截瘧飮子][절학음자]   (0) 2019.01.10
[紫蘇飮子][자소음자]   (0) 2019.01.10
[人參飮子][인삼음자]   (0) 2019.01.09
[凝神飮子][응신음자]  (0) 2019.01.09
[油飮子][유음자]   (0) 2019.01.09

[人參飮子][인삼음자]
治天行咳嗽 痰盛寒熱
人參 桔梗 五味子 赤茯苓 半夏 各6g
枳殼 甘草 各3g
爲剉作一貼入薑五水煎服.
寒暑之交 氣盛人 衣厚作壅 忽痰盛微熱 此藥最宜
若作感冒 發其汗 必成大病 此方佳處在
赤茯苓能導心熱 枳殼能踈肺壅
故易爲效(丹心).
돌림기침 때 담이 성하고 춥다가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도라지(길경), 오미자,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6g,
지각,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
찬 기후와 더운 기후가 바뀔 때 기가 왕성한 사람이 옷을 많이 입으면
기가 막혀서 갑자기 담이 성하고 약간 열이 나게 되는데 이런 때에 이 약을 쓴다.
이것을 만약 감기로 알고 땀을 내면 반드시 중병[大病]이 된다.
이 처방의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벌건솔풍령(적봉령)은 심(心)의 열을 이끌어서 내보내고 지각은 폐기(肺氣)가
막힌 것을 통하게 하므로 좋은 효과를 보게 되는 것이다[단심].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蘇飮子][자소음자]   (0) 2019.01.10
[紫金錠子][자금정자]  (0) 2019.01.09
[凝神飮子][응신음자]  (0) 2019.01.09
[油飮子][유음자]   (0) 2019.01.09
[流氣飮子][유기음자]  (0) 2019.01.09

[凝神飮子][응신음자]
治勞瘵, 寒熱自汗, 咯血瘦劇.
人蔘, 當歸, 白芍藥, 白茯神, 白茯苓, 黃芪, 白朮, 半夏麴,

五味子, 熟地黃, 蓮肉, 麥門冬, 桔梗,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烏梅一紅棗二, 水煎服[得效].
노채로 춥다가 열이 났다 하며 저절로 땀이 나고 각혈하며, 몸이 심하게 야위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당귀, 백작약, 백복신, 백복령, 황기, 백출, 반하국,

오미자, 숙지황, 연육, 맥문동, 길경,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오매 한 개와 붉은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金錠子][자금정자]  (0) 2019.01.09
[人參飮子][인삼음자]   (0) 2019.01.09
[油飮子][유음자]   (0) 2019.01.09
[流氣飮子][유기음자]  (0) 2019.01.09
[牛黃散子][우황산자]   (0) 2019.01.09

[油飮子][유음자]
小兒陽盛無陰 以制頭髮竪直 飮食減少 此伏熱之兆 鄕隣有痘證
取眞麻油一升 逐日飮之 令盡則永不出痘(正傳).
양기(陽氣)가 성하고 음기(陰氣)가 억제되지 못하여
어린이의 머리칼이 꼿꼿이 서며
음식을 적게 먹는 것은 열이 잠복해 있는 것이다.
마을에 마마가 유행할 때에는 참기름을 날마다 먹여서 1되를 다 먹이면
일생 동안 이런 병에 걸리지 않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飮子][인삼음자]   (0) 2019.01.09
[凝神飮子][응신음자]  (0) 2019.01.09
[流氣飮子][유기음자]  (0) 2019.01.09
[牛黃散子][우황산자]   (0) 2019.01.09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19.01.09

[流氣飮子][유기음자]
治氣注疼痛或腫脹.
大腹子 一錢,
陳皮, 赤茯苓, 當歸, 白芍藥, 川芎, 黃芪, 枳實, 半夏 製, 防風, 甘草 各七分半,
紫蘇葉, 烏藥, 靑皮, 桔梗各五分,
木香 二分半.
右剉, 薑三片棗二枚, 水煎服[入門].
기가 돌아다니면서 아픈 것이나 종창(腫脹)을 치료한다.
대복자 한 돈,
진피, 적복령, 당귀, 백작약, 천궁, 황기, 지실, 반하(법제한 것), 방풍, 감초 각 일곱 푼 반,
자소엽, 오약, 청피, 길경 각 다섯 푼,
목향 두 푼 반.
위의 약들을 썰어 생강 세 쪽과 대추 두 개를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凝神飮子][응신음자]  (0) 2019.01.09
[油飮子][유음자]   (0) 2019.01.09
[牛黃散子][우황산자]   (0) 2019.01.09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19.01.09
[龍腦飮子][용뇌음자]   (0) 2019.01.09

[牛黃散子][우황산자]
治穀疸 酒疸 及水氣 蠱脹
黑丑取頭末 春3g 夏3.5g 秋2.8g 冬4g.
大黃春3g 夏3.5g 秋2.8g 冬4g
檳榔春3g 夏3.8g 秋2.8g 冬1.6g.
甘草春3g 夏3.5g 秋2.8g 冬1.6g
細末 每服11.25g 五更時 面東南井華水 調服 疾隨下 卽愈 忌生冷(醫鑒).
곡달(穀疸), 주달(酒疸), 수기(水氣), 고창(蠱脹)을 치료한다.
나팔꽃검은씨(흑축, 맏물가루를 내어 봄에는 3.2g, 여름에는 3.6g,
가을에는 2.8g, 겨울에는 4g을 쓴다),
대황(봄에는 3.2g, 여름에는 3.6g, 가을에는 2.8g, 겨울에는 4g을 쓴다),
빈랑(봄에는 3.2g, 여름에는 3.6g, 가을에는 2.8g, 겨울에는 1.6g),
감초(봄에는 3.2g, 여름에는 3.6g, 가을에는 2.8g, 겨울에는 1.6g을 쓴다).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날이 밝을 무렵에
깨끗한 물에 타서 마시면 병이 곧 낫는다.
그 다음 생것과 찬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油飮子][유음자]   (0) 2019.01.09
[流氣飮子][유기음자]  (0) 2019.01.09
[龍膽飮者][용담음자]   (0) 2019.01.09
[龍腦飮子][용뇌음자]   (0) 2019.01.09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19.01.09

[龍膽飮者][용담음자]
治疳眼流膿 神效
靑蛤粉 蛇脫皮 穀精草 各20g
羗活 草龍膽 各12g
麻黃10g
黃芩炒 升麻 各8g
鬱金 甘草 各2g
爲末 每7.5g 茶淸調下(綱目).
감안으로 고름이 흐르는 것을 치료한다.
청대, 뱀허물(사퇴), 곡정초 각각 20g,
강호리(강활), 초룡담 각각 12g,
마황 10g,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승마 각각 8g, 울
금,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차 달인 물에 타 먹인다[강목].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流氣飮子][유기음자]  (0) 2019.01.09
[牛黃散子][우황산자]   (0) 2019.01.09
[龍腦飮子][용뇌음자]   (0) 2019.01.09
[龍腦膏子][용뇌고자]   (0) 2019.01.09
[玉芝飮子][옥지음자]  (0) 2019.01.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