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瀉黃飮子][사황음자]
治風熱蘊於脾經, 唇燥瀋裂無色.
升麻, 白芷, 枳殼, 黃芩, 防風, 半夏, 石斛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五片, 煎服[濟生].
풍열이 비경(脾經)에 쌓여 입술이 마르면서 갈라지며 핏기가 없는 것을 치료한다.
승마, 백지, 지각, 황금, 방풍, 반하, 석곡 각 한 돈,
감초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歸腰子][삼귀요자]   (0) 2019.01.09
[散熱飮子][산열음자]  (0) 2019.01.09
[茯苓飮子][복령음자]  (0) 2019.01.09
[普濟消毒飮子][보제소독음자]   (0) 2019.01.09
[保生錠子][보생정자]   (0) 2019.01.09

[茯苓飮子][복령음자]
治痰飮蓄于心胃, 怔忡不已.
半夏 製, 赤茯苓, 茯神, 麥門冬, 陳皮 去白 各一兩,
沈香 屑, 檳榔, 甘草 各五錢.
右剉. 每七錢, 薑五片, 水煎服[得效].
담음이 심과 위(胃)에 쌓여서 정충이 잘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반하(법제한 것), 적복령, 복신, 맥문동, 진피(흰 속을 없앤 것) 각 한 냥,
침향(끌로 갈아 가루낸 것), 빈랑, 감초 각 다섯 돈.
위의 약들을 썰어 일곱 돈씩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散熱飮子][산열음자]  (0) 2019.01.09
[瀉黃飮子][사황음자]  (0) 2019.01.09
[普濟消毒飮子][보제소독음자]   (0) 2019.01.09
[保生錠子][보생정자]   (0) 2019.01.09
[鱉甲飮子][별갑음자]   (0) 2019.01.09

[普濟消毒飮子][보제소독음자]
治天行大頭瘟
黃芩 黃連並酒炒 各20g, 人參12g
陳皮 桔梗 玄參 柴胡 甘草 各8g

鼠粘子 馬勃 板藍根無則用靑黛 連翹 各4g
升麻 白薑蠶 各2g 爲末 取一半 白湯調和
時時呷之 留一半 蜜丸彈子大 每1丸細嚼 熟水送下
或 加防風 薄荷 川芎 當歸 剉取40g 水煎 分2~3次 服之. 腫甚
宜砭刺出血(東垣).
돌림병인 대두온(大頭瘟)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각각 20g,
인삼 12g,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현삼, 시호, 감초 각각 8g,
우엉씨(鼠粘子), 마발, 판람근(없으면 청대를 대신 쓴다), 연교 각각 4g,
승마, 백강잠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절반을 끓는 물에 타서 때때로 먹고
절반은 꿀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알씩 잘 씹어서 끓인 물로 넘긴다.
혹은 방풍, 박하, 궁궁이, 당귀를 썰어서 40g을 더 넣어 물에 달인 다음
두세번에 나누어 먹기도 한다.
몹시 부었을 때에는 침으로 찔러 피를 뺀다[동원].
泰和二年四月 民多疫癘 初覺憎寒體重
次傳頭面腫盛 目不能開 上喘咽喉不利
舌乾口燥.
俗云 [大頭天行染]之多死.
東垣曰 “身半已上 天之氣也 身半以下 地之氣也 此邪熱 客於心肺之間
上攻頭面 而爲腫盛 遂製一方
名曰[普濟消毒飮子] 服之皆愈.
人謂之仙方 謂天仙所製也 遂刻諸石 以傳永久(東垣).
瘟疫門 大頭瘟治法 轉載
태화(泰和) 2년 4월에 민간에 역려(疫 )가 돌았는데
처음에는 오한이 나고 몸이 무겁다가 나중에는 머리와 얼굴이 몹시 부어서
눈을 뜨지 못하고 숨이 차며 목구멍이 말째고[不利] 혀와 입이 말랐다.
이것을 민간에서는 대두돌림이라고 하는데 전염되어 많은 사람이 죽었다.
동원은 몸의 웃도리는 하늘의 기가 주관하고 몸의 아랫도리는
땅의 기가 주관하는데 이 병은 사열(邪熱)이 심(心)과 폐(肺) 사이에
침범하였다가 머리와 얼굴로 치밀어 올랐기 때문에 몹시 부은 것이라고
하면서 보제소독음이라는 처방을 내었다.
그런데 이 약을 먹고 다 나았다.
사람들은 잘 낫는 좋은 처방이라고 하면서 신선이 만들었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비석에 새기어 영원히 전하게 하였다[동원].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黃飮子][사황음자]  (0) 2019.01.09
[茯苓飮子][복령음자]  (0) 2019.01.09
[保生錠子][보생정자]   (0) 2019.01.09
[鱉甲飮子][별갑음자]   (0) 2019.01.09
[碧霞錠子][벽하정자]   (0) 2019.01.09

[保生錠子][보생정자]
治疔瘡
蟾酥12g, 雄黃8g,
爲末 用靑桑皮生者80g
同搗如泥24g重 捻作錠子 朱砂爲衣 陰乾 以冷葱湯磨服28g 仍用冷葱湯 呑下.
外用鍼刺疔頭 將錠子揷入 被盖出汗 2日爛出卽愈.
體虛淸貴人 及婦女 胎前後毒淺者 最宜(入門).
정창을 치료한다.
두꺼비진(섬소) 12g, 석웅황(웅황)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푸른 뽕나무껍질(청상피, 생것) 80g과 함께 넣고
풀지게 짓찧는다.
그 다음 이것 2.4g으로 정자를 만들어 겉에 주사를 입힌다.
이것을 그늘에 말려 파(총)를 달여 식힌 물에 풀어서 3.2g 정도 먹는다.
다음 이어서 파를 달여 식힌 물을 마신다.
겉으로는 침으로 정창 끝을 째고 거기로 정자를 밀어넣은 다음
이불을 덮고 땀을 내면 2일 만에 근이 녹아빠지고 곧 낫는다.
몸이 허약한 사람과 부인들의 산전 산후에 정창독( 瘡毒)이 경(輕)할 때 쓰면 제일 좋다[입문].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苓飮子][복령음자]  (0) 2019.01.09
[普濟消毒飮子][보제소독음자]   (0) 2019.01.09
[鱉甲飮子][별갑음자]   (0) 2019.01.09
[碧霞錠子][벽하정자]   (0) 2019.01.09
[辟巽錠子][벽손정자]   (0) 2019.01.09

[鱉甲飮子][별갑음자]
治老瘧 腹中結癥瘕 名曰 瘧母
鱉甲8g
白朮 黃芩 草果 檳榔 川芎 陳皮 厚朴 白芍藥 各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梅一 水煎服(綱目).
오랜 학질로 뱃속에 징가( )가 생긴 것을 학모( 母)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자라등딱지(별갑) 8g,
흰삽주(백출), 속썩은풀(황금), 초과, 빈랑, 궁궁이(천궁),
귤껍질(陳皮), 후박,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普濟消毒飮子][보제소독음자]   (0) 2019.01.09
[保生錠子][보생정자]   (0) 2019.01.09
[碧霞錠子][벽하정자]   (0) 2019.01.09
[辟巽錠子][벽손정자]   (0) 2019.01.09
[白餠子][백병자]  (0) 2019.01.09

[碧霞錠子][벽하정자]
治疔瘡及惡瘡 不覺痛
銅綠40g, 䃃砂8g, 蟾酥4g.
爲末 飯和作錠子 先鍼刺疔心 出血以錠子 紝之 用膏貼之(精義).
정창이나 악창 때 아프지는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동록 40g, 노사 8g, 두꺼비진(섬소)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에 반죽해서 정자를 만든다.
먼저 정창 가운데 침을 놓아 피를 빼낸 다음
거기로 정자를 밀어넣고 고약을 붙인다[정의].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生錠子][보생정자]   (0) 2019.01.09
[鱉甲飮子][별갑음자]   (0) 2019.01.09
[辟巽錠子][벽손정자]   (0) 2019.01.09
[白餠子][백병자]  (0) 2019.01.09
[防風當歸飮子][방풍당귀음자]   (0) 2019.01.09

[辟巽錠子][벽손정자]
治一切諸風 及破傷風 小兒急慢驚 風疾
朱砂40g, 牛膽南星28g
防風 川烏 天麻 川窮 白芷 人蔘 薄荷 木香 白朮 茯神 各20g
牛黃 龍腦 乾生薑 白附子 各12g, 麝香8g
全蝎20箇生用 白疆蠶21箇生用 爲細末 用麻黃600g
甘草300g, 蜂蜜80g
煎作膏 予入藥末 和勻37.5g分作10錠
金箔爲衣 每3.75g 溫酒 化下(活心).
여러 가지 풍병과 파상풍(破傷風),
어린이의 급경풍(急驚風) 및 만경풍(慢驚風)을 치료한다.
주사 40g, 우담남성 28g,
방풍, 오두(천오), 천마,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인삼, 박하, 목향, 흰삽주(백출), 복신 각각 20g,
우황, 용뇌, 건강, 노랑돌쩌귀(백부자) 각각 12g, 사향 8g,
전갈(생것) 20개, 백강잠(생것) 21개.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낸다.
이것을 마황 600g, 감초 300g, 꿀(봉밀) 80g을 달여 고약을 만든 데 넣고
반죽한 다음 40g으로 10알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에 풀어 먹는다[활심].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鱉甲飮子][별갑음자]   (0) 2019.01.09
[碧霞錠子][벽하정자]   (0) 2019.01.09
[白餠子][백병자]  (0) 2019.01.09
[防風當歸飮子][방풍당귀음자]   (0) 2019.01.09
[門冬飮子][문동음자]   (0) 2019.01.09

[白餠子][백병자]
腹中有癖 則不食但飮乳 此主之
滑石 輕粉 白附子 南星炮 各4g
爲末 巴豆24粒去皮膜 水1升 煮水盡爲度 共硏勻 糯米飯和丸如菉
豆大 捏作餠子 3歲以下1~2餠 3歲以上3~5餠 葱白湯下(錢氏).
人乳 味甘戀膈易於停積 小兒之病 多繫於此 此方南星 以豁痰,
輕粉 滑石 以瀉濕熱,
巴豆 去積 所以爲妙(丹心).
一名 [玉餠子] [白玉餠] (入門).
뱃속에 벽이 있어서 밥을 먹지 않고 다만 젖만 먹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경분,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4g(가루낸다),
파두 24알(껍질과 막을 버리고 물 1되를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다).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찹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납작하게 떡처럼 만든다.
3살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1-2개씩,
3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3-5개씩 파밑(총백) 달인 물로 먹인다[전씨].
사람의 젖은 맛이 달고 잘 내리지 않아서[膈易於停] 적(積)이 되기 쉬우므로
어린이의 병은 대개 이와 관련된다. 이 처방에서 천남성은 담을 헤치고
경분, 곱돌(활석) 등은 습열을 내리며 파두로는 적을 없애기 때문에 묘한 것이다[단심].
일명 옥병자(玉餠子)라고도 하고 또는 백옥병(白玉餠)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碧霞錠子][벽하정자]   (0) 2019.01.09
[辟巽錠子][벽손정자]   (0) 2019.01.09
[防風當歸飮子][방풍당귀음자]   (0) 2019.01.09
[門冬飮子][문동음자]   (0) 2019.01.09
[麥門冬飮子][맥문동음자]   (0) 2019.01.09

[防風當歸飮子][방풍당귀음자]
瀉心肝火補脾腎陰
治風熱燥熱濕熱補虛之良劑也
滑石 三錢 柴胡 人參 黃芩 甘草 各一錢
大黃 當歸 赤芍 藥防風 各五分
右犫作一服入薑三片水煎服[丹心]
大黃瀉陽明之濕熱從大便出滑石降三焦之妄火從小便出
黃芩以凉膈防風以淸頭目人參甘草以補氣
當歸芍藥以補血無半味辛香燥熱之謬藥也[丹心]
심(心)과 간(肝)의 화를 사(瀉)하고 비(脾)와 신(腎)의 음을 보(補)하며
풍열(風熱), 조열(燥熱), 습열(濕熱)을 치료하며 허한 것을 보하는 좋은 약이다.
곱돌(활석) 12g,
시호, 인삼, 속썩은풀(황금), 감초 각각 4g,
대황,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방풍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대황(大黃)은 양명경의 습열을 대변으로 나가게 하고
곱돌(활석)은 3초의 허튼 화를 오줌으로 나가게 한다.
속썩은풀(황금)은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방풍은 머리와 눈을 맑고 밝게 하며
인삼과 감초는 기를 보하고 당귀와 집함박꽃뿌리(작약)는 피를 보하며
처방 가운데는 맛이 맵고 향기로우며
성질이 조열하고 맞지 않는 약은 조금도 없다[단심].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辟巽錠子][벽손정자]   (0) 2019.01.09
[白餠子][백병자]  (0) 2019.01.09
[門冬飮子][문동음자]   (0) 2019.01.09
[麥門冬飮子][맥문동음자]   (0) 2019.01.09
[大黃飮子][대황음자]  (0) 2019.01.08

[門冬飮子][문동음자]
治老虛人消渴
麥門冬8g,
五味子 人蔘 地骨皮 白茯苓 甘草 各4g
剉作一貼 入薑 三煎服(元式).
늙은이나 허약한 사람에게 생긴 소갈을 치료한다.
맥문동 8g,
오미자, 인삼, 지골피,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원융].

'[處方箋] > [處方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餠子][백병자]  (0) 2019.01.09
[防風當歸飮子][방풍당귀음자]   (0) 2019.01.09
[麥門冬飮子][맥문동음자]   (0) 2019.01.09
[大黃飮子][대황음자]  (0) 2019.01.08
[大黃甘草飮子][대황감초음자]   (0) 2019.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