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齒渚][치은 / 이똥] 

性溫破癰腫出惡刺[本草]
성질이 따뜻하니[溫] 옹종을 터뜨리고 나쁜 것을 낸다.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靈盖][천령개]   (0) 2019.02.20
[口中涎及唾][구중연급타]   (0) 2019.02.20
[牙齒][아치]   (0) 2019.02.20
[耳塞][이색]   (0) 2019.02.20
[故媐頭巾][고이두건]   (0) 2019.02.20

[牙齒][아치 / 빠진이] 

性平治秇蠱毒

성질이 고르고 학질과 고독(蠱毒)의 기(氣)를 치료한다.

及痘瘡不起脹火禭硏用[本草]

一名生人骨卽落齒也[醫鑑]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中涎及唾][구중연급타]   (0) 2019.02.20
[齒渚][치은]   (0) 2019.02.20
[耳塞][이색]   (0) 2019.02.20
[故媐頭巾][고이두건]   (0) 2019.02.20
[頭垢][두구]   (0) 2019.02.20

[耳塞][이색 / 귀지] 

性溫主癲狂
성질이 따뜻하고[溫] 귀수(鬼 )의 전광( 狂)을 치료한다.
鬼神及嗜酒一名泥丸脂卽耳中脂垢也[本草]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齒渚][치은]   (0) 2019.02.20
[牙齒][아치]   (0) 2019.02.20
[故媐頭巾][고이두건]   (0) 2019.02.20
[頭垢][두구]   (0) 2019.02.20
[澙鬚][자수]   (0) 2019.02.20

[故媐頭巾][고이두건 / 묵은 이두건] 

無毒主天行勞復渴
독이 없으니 천행영복(天行榮復)의 갈증을 치료한다.
三年頭朶主心痛卽縛囼帛也拄洗汁飮之[本草]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牙齒][아치]   (0) 2019.02.20
[耳塞][이색]   (0) 2019.02.20
[頭垢][두구]   (0) 2019.02.20
[澙鬚][자수]   (0) 2019.02.20
[髮髲][발피]   (0) 2018.02.21

[頭垢][두구 / 머리때] 

性溫主淋閉不通主漴療勞復[本草]
성질이 따뜻하니[溫] 임(淋)이 닫혀서 안 통하는 것을 치료한다.
治蠱毒梁毒及主百邪鬼魅馬肝毒拄可服之蜈蚣犬咬外付之[入門]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耳塞][이색]   (0) 2019.02.20
[故媐頭巾][고이두건]   (0) 2019.02.20
[澙鬚][자수]   (0) 2019.02.20
[髮髲][발피]   (0) 2018.02.21
[亂髮][난발]   (0) 2017.07.24

[澙鬚][자수 / 수염] 

燒灰付癰瘡立愈 

태워서 재로 하여 옹창(癰瘡)에 붙이면 바로 낫는다.

唐太宗剪鬚賜李世勣宋仁宗剪澙賜呂夷簡皆爲治疾[本草]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耳塞][이색]   (0) 2019.02.20
[故媐頭巾][고이두건]   (0) 2019.02.20
[頭垢][두구]   (0) 2019.02.20
[髮髲][발피]   (0) 2018.02.21
[亂髮][난발]   (0) 2017.07.24

[稷米][직미 / 피쌀] 

性冷味甘無毒治熱益氣補不足[本草]
성질이 차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열을 치료하는데 기를 돕고 부족한 것을 보한다[본초].
多食發冷氣入穀之中最爲下

八穀者 黍 稷 稻 粱 禾 麻 菽 麥 也

禾是粟苗  麻是胡麻  菽是大豆  麥有大小圔 麥 此諸穀之限也[本草]
많이 먹으면 찬 기운[冷氣]이 생긴다.
8가지 곡식 가운데서 제일 좋지 못한 것이다.
8가지 곡식이란 기장(黍), 피(稷), 벼(稻), 양미(梁), 조(禾), 참깨(麻), 콩(菽), 보리(麥)를 말한다.
여기서 조는 조싹(粟苗)을 말하는 것이고

참깨는 검정참깨(胡麻)를 말하는 것이고

콩은 흰콩(大豆)을 말하는 것이고

맥은 보리쌀(大麥), 밀(小麥), 겉보리( 麥)를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곡식의 전부이다[본초].
稷乃燔之異名也稷亦穀之類似黍而小卽

今之燔米又謂之潷爲五穀之長[入門]
피(稷)는 채( )의 딴 이름이다. 피도 역시 곡식의 한 가지인데 기장 비슷하면서 알이 잘다.
요즘은 검정 피쌀을 자라고도 하는데 이것이 5곡 가운데서 상품이다[입문].
稷米堪爲飯不粘着其味淡今謂之燔米[本草]
피쌀(稷米)로도 밥을 지을 수 있으나 찰지지 못하고 맛이 슴슴하다[淡].
이것은 요즘 검정 피쌀( 米)이라고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沃杵頭細糠][용저두세강]   (0) 2019.02.19
[豆腐][두부]  (0) 2019.02.19
[飴糖][이당]   (0) 2019.02.19
[醋][초]   (0) 2019.02.19
[醬][장]   (0) 2019.02.19

[沃杵頭細糠][용저두세강 / 절구공이 묻은 겨]

性平  主卒漴食不下亦主

反胃不下食刮取含之卽差亦是沃宭義耳[本草]
성질이 평(平)하다.

갑자기 목이 막혀 음식이 넘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반위로 음식이 내리지 않을 때에 먹어도 곧 낫는데

그것은 절구공이로 내려 짓찧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稷米][직미]   (0) 2019.02.19
[豆腐][두부]  (0) 2019.02.19
[飴糖][이당]   (0) 2019.02.19
[醋][초]   (0) 2019.02.19
[醬][장]   (0) 2019.02.19

[豆腐][두부]

性平(一云冷)味甘有毒   益氣和脾胃[入門]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있다.
기를 보하고[益氣] 비위를 조화시킨다[和脾胃][입문].
豆腐有毒  性冷而動氣能發腎氣頭風瘡疥[食物]
두부는 독이 있고 성질이 차다[冷].
기(氣)를 동(動)하게 하고 신기(腎氣)를 동[發]하게 하며

두풍, 헌데, 옴을 생기게 할 수 있다[식물].
多食則膨脹殺人喫酒則甚惟飮冷水卽消矣[俗方]
많이 먹으면 배가 불러 오르고 생명까지 위험한데 이때에 술을 먹으면 더 심해진다.
이런 때에는 찬물을 마셔야 삭는다[속방].
中寒多泄多搝者忌食[入門]
속이 차서 몹시 설사하고 방귀가 많이 나갈 때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稷米][직미]   (0) 2019.02.19
[沃杵頭細糠][용저두세강]   (0) 2019.02.19
[飴糖][이당]   (0) 2019.02.19
[醋][초]   (0) 2019.02.19
[醬][장]   (0) 2019.02.19

[飴糖][이당 / 엿]

性溫味甘主補虛乏益氣力潤五藏消痰止嗽[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허약한 것을 보하며

기력을 돕고 5장을 눅여 주며 담(痰)을 삭히고 기침을 멎게 한다[본초].
飴糖又云膠飴是濕糖如厚蜜者[本草]
이당을 또한 교이(膠胎)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진한 꿀(厚蜜)과 같은 물엿을 말하는 것이다[본초].
以其色紫凝如琥珀色謂之膠飴色白而嘣强者謂之飴糖不入藥[湯液]
자줏빛이 나는 것이 엉켜서 호박빛깔이 된 것을 교(膠)라고 한다.

빛이 희고 굳게 엉긴 것을 성당( 糖)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탕액].
飴卽軟糖也建中湯用之入脾[湯液]
엿이라고 할 때에는 무른 엿을 말한다.

건중탕(建中湯)에 넣어 쓰는데 그 기운은 비장으로 들어간다[탕액].
飴屬土成於火大發濕中之熱多食動脾風[丹心]
엿은 토(土)에 속하는 것이지만 불로 고아 만들었기 때문에

습한 곳에서도 열이 몹시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많이 먹으면 비풍(脾風)이 동(動)할 수 있다[단심].
諸米皆可作惟以姎米作者入藥[本草]
여러 가지 쌀로 다 만들 수 있으나 오직 찹쌀로 만든 것만 약으로 쓴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沃杵頭細糠][용저두세강]   (0) 2019.02.19
[豆腐][두부]  (0) 2019.02.19
[醋][초]   (0) 2019.02.19
[醬][장]   (0) 2019.02.19
[豆栥][두자 / 약전국]   (0) 2019.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