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紅鉛][홍연 / 처녀의 초월경수] 

味稜有毒卽無病室女初行月水也

治男女氣血衰弱  痰火上升  虛損矒矑  失音體痛  飮食少進  女子經閉等證   
맛은 짜고 독이 있으니 병이 없는 처녀의 첫번 나온 월수(月水)로써

남녀의 기혈쇠약(氣血衰弱)과 담화(痰火)의 상승(上昇) 및 허손과 옹탄(癰 )을 비롯해서

실음(失音)과 신통(身痛) 및 음식부진(飮食不進)과 여자의 경이 막힌 증세 등을 치료한다.

製法詳見雜方[入門]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屎][인시]  (0) 2019.02.21
[人噊孜][인곤당]   (0) 2019.02.20
[婦人月水][부인월수]   (0) 2019.02.20
[秋石][추석]  (0) 2019.02.20
[人中白][인중백]   (0) 2019.02.20

[婦人月水][부인월수 / 월경수] 

解毒箭幷女勞復
화살독과 여로복(女勞復)을 풀어준다.
⊙. 扶南國舊有奇術能令刀斫不入惟以月水塗刀便死此乃汚穢壞神氣也

人合藥所以忌觸之[本草]

⊙. 治陰熱最佳[俗方]

⊙. 月經衣水漬取汁亦同[本草]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噊孜][인곤당]   (0) 2019.02.20
[紅鉛][홍연]   (0) 2019.02.20
[秋石][추석]  (0) 2019.02.20
[人中白][인중백]   (0) 2019.02.20
[人尿][인뇨]   (0) 2019.02.20

[秋石][추석] 

   
大補煖悅色益下元

久服去百疾强骨髓補

精血開心益志[本草]
대보난(大補煖)하고 열택(悅澤)하고 하원(下元)을 더하게 하니

오래 먹으면 백가지 병이 없어지고 뼈골이 강해지고

정혈(精血)을 보하고 개심익지(開心益志)한다.
⊙. 壯陽補陰洞入骨髓眞還元衛生之寶也[入門]

⊙. 陽煉法陰煉法俱載雜方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鉛][홍연]   (0) 2019.02.20
[婦人月水][부인월수]   (0) 2019.02.20
[人中白][인중백]   (0) 2019.02.20
[人尿][인뇨]   (0) 2019.02.20
[胞衣變成水][포의변성수]  (0) 2019.02.20

[人中白][인중백 / 소변이 침전되어 굳어진 고형물]

性凉治  肺浔  膈熱  鼻洪  吐血  羸瘦  渴疾  及  湯火灼瘡[本草]
성질이 차고[寒] 폐위(肺 ), 격열(膈熱), 비홍(鼻洪), 토혈(吐血), 이수(羸瘦),

갈질(渴疾), 탕화창(湯火瘡)을 치료한다.
⊙. 人中白是積尿白渚也[本草]

⊙. 人中白卽尿桶中澄底潔白者須置風露下經二三年者可用急則不拘

又名秋白霜丹溪云能瀉肝火降陰火凡用刮在新瓦上火禭硏末用之[入門]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婦人月水][부인월수]   (0) 2019.02.20
[秋石][추석]  (0) 2019.02.20
[人尿][인뇨]   (0) 2019.02.20
[胞衣變成水][포의변성수]  (0) 2019.02.20
[婦人胞衣][부인포의]   (0) 2019.02.20

[人尿][인뇨 / 오줌]

性寒(一云凉)味稜無毒

止勞渴嗽潤心肺療血悶熱狂撲損瘀血暈絶

明目益聲潤肌膚治肺浔咳嗽[本草]
성질이 차고[寒] 맛은 짜며 독이 없으니

피로의 갈증과 기침을 그치게 하고 심폐(心肺)를 윤활하게 하고

혈민(血悶)과 열광(熱狂) 및 박손(撲損)과 어혈(瘀血)로 어지러운 증세를 치료하며

눈을 밝히고 소리를 더하며 기부(肌膚)를 윤택하게 하고 폐위()와 기침을 치료한다[본초].
⊙. 尿者小便也降火極速[丹心]

⊙. 人尿須童男者爲良[本草]

⊙. 嘗見一老婦年逾八十貌似四十詢之有惡病人敎之服人尿遂服四十餘年老健無他病云[丹心]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石][추석]  (0) 2019.02.20
[人中白][인중백]   (0) 2019.02.20
[胞衣變成水][포의변성수]  (0) 2019.02.20
[婦人胞衣][부인포의]   (0) 2019.02.20
[人乳汁][인유즙]   (0) 2019.02.20

[胞衣變成水][포의변성수] 

味辛無毒主諸熱毒小兒丹毒此胞衣埋地下七八年化 爲水也[本草].
맛이 맵고[辛] 독이 없으니 어린 아이의 단독(丹毒)과 모든 독을 주로 치료한다.
포의(胞衣)를 땅 속에 묻어 7-8년이 지나서 물이 된 것이다[본초].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中白][인중백]   (0) 2019.02.20
[人尿][인뇨]   (0) 2019.02.20
[婦人胞衣][부인포의]   (0) 2019.02.20
[人乳汁][인유즙]   (0) 2019.02.20
[天靈盖][천령개]   (0) 2019.02.20

[婦人胞衣][부인포의 / 산후태반] 

主血氣羸瘦勞傷虛損面历皮黑腹內諸病漸瘦盧者[本草]
기혈이 부족하여 몹시 여윈 것[羸瘦]과 허로손상과 얼굴에 기미가 돋고[面 ]

피부가 시꺼멓게 되는 것, 뱃속의 여러 가지 병으로 점차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본초].
卽産後胞衣也一名紫河車一名混沌皮亦名混元衣

男胎首生者佳如無則壯盛婦人次胎亦好
이것은 아이태(産後胞衣)를 말하는데

자하거(紫河車), 혼돈피(混沌皮), 혼원의(混元衣)라고도 한다.
첫아들의 태가 좋은데 만일 없으면 건강한 부인의 둘째 아들의 태도 좋다.
取得以竹器盛長流水浸一刻以取生氣洗淨去筋膜

以蔑籠盛之外以紙糊使不泄氣焙乾要用時以米醋浸一宿焙乾用[正傳]
태를 참대그릇에 담아서 흐르는 물에 15분 정도 담가 두었다가

깨끗하게 씻어서 힘줄과 꺼풀을 떼 버린다.

다음 참대로 만든 둥지에 넣고 겉에 종이를 발라 약 기운이 새지 않게 하여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쓸 때에는 하룻밤 식초에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써야 한다[정전].
一法洗放水甑內自卯至酉蒸爛如糊取出於石臼內同諸藥搗丸用[回春]
또 한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씻어서 나무로 만든 시루에 넣고 10여 시간 푹 익도록 쪄서 풀같이 만든다.
다음 돌절구에 다른 약과 같이 넣고 짓찧어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쓴다[회춘].
古方不分男女世傳男用女胎女用男胎俱以初胎爲勝似爲有理[正傳]
옛날 처방에는 아들의 태나 딸의 태를 가리지 않았는데

후세에 와서는 남자는 딸의 태를 , 여자는 아들의 태를 보통 쓰고 있다.

아들의 태나 딸의 태도 첫아이의 태가 좋다고 하는 것은 그럴 듯한 말이다[정전].
一法洗斷血怴入麝香一錢砂鍋內熬膏用之[丹心]
또 한 가지 방법은 씻어 썬 다음 사향 4g과 함께 사기냄비에 넣고 쪄서

고약으로 만들어 쓰는 것이다[단심].
河車者天地之先陰陽之祖乾坤之瞲榙檝汞止

匡廓胚泪將兆九九數足我則戴而生之故謂之河車[得效]
하거(河車)란 천지의 시초이고 음양의 조상[陰陽之祖]이며

하늘과 땅[乾坤]의 풀무이고 신선이 되는 테두리이다.
태아가 생기려 할 때에는 99의 수가 만족해지고 태아가 그것을 이기고 생겨난다.

그러므로 하거라고 했다[득효].
此藥入血藥則滋陰退熱入氣藥則壯陽生子

入痰藥則治痰入風藥則治風入心藥則治癲狂失志

等證雖病危將絶一服更活一二日

大抵男精女血垿成非金石草木之比

紫者北方之色河者北方流水之名車者胚胎九九數足載而乘之之謂也[入門]
이 약에 혈약(血藥)을 더 넣으면 음이 불어나고 열이 내린다.

그리고 약을 더 넣으면 양기가 세져서 아이를 낳게 된다.

담약(痰藥)을 더 넣으면 담증을 낫게 하고 풍약(風藥)을 더 넣으면

전광(癲狂)과 정신잃는 증[失志證]을 낫게 한다.

아무리 병이 위급하다고 하여도 한번만 먹으면 1-2일 동안 더 살 수 있다.

대체로 남자는 정(精)으로, 여자는 혈(血)로 구성되었으므로 광물성 약이나

초목(草木)은 태와 비교할 수도 없다.

자(紫)는 북쪽의 빛이고 하(河)는 북쪽의 흐르는 물의 이름이며

거(車)는 배태의 99의 수(數)가 만족하여 타고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입문].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尿][인뇨]   (0) 2019.02.20
[胞衣變成水][포의변성수]  (0) 2019.02.20
[人乳汁][인유즙]   (0) 2019.02.20
[天靈盖][천령개]   (0) 2019.02.20
[口中涎及唾][구중연급타]   (0) 2019.02.20

[人乳汁][인유즙 / 사람젖]

性平(一云冷)味甘無毒補
五藏悅皮膚潤毛髮治瘦悴令人肥白悅澤[本草]
성질이 평(平)하고(차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을 보하고 살결이 고와지게 하며 머리털을 윤기나게 한다.
여윈 사람이 먹으면 살찌고 윤택해진다[본초].
首生男乳療目赤痛多淚解馬肝牛肉毒[本草]
첫아들이 먹는 젖은 눈이 피지면서 아프고 눈물이 많이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말의 간이나 쇠고기를 먹고 중독된 것도 푼다[본초].
乳酪之中牛乳爲上羊次之馬又次之衆乳之功總不及人乳昔

張蒼無齒置乳婦十餘人每食盡飽後年百餘歲尙爲相肥

白如瓠視事精神過於少年生子數人此滯養之妙也[食物]
젖에서는 소젖이 제일 좋고 양의 젖이 그 다음이며 말의 젖은 그 다음이다.
그러나 다 사람의 젖보다는 못하다.
옛날 장창(張蒼)이란 사람이 이빨이 없어서 젖나는

여자 10여 명을 두고 매번 젖을 배불리 먹었는데
백살이 지나도록 살면서 정승벼슬까지 하였고 살이 박속같이 희어지고
사무를 보는 정신은 청년시절보다도 나았으며 아들을 여럿 낳았다고 한다.
이것은 젖으로 영향한 효과이다[식물].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胞衣變成水][포의변성수]  (0) 2019.02.20
[婦人胞衣][부인포의]   (0) 2019.02.20
[天靈盖][천령개]   (0) 2019.02.20
[口中涎及唾][구중연급타]   (0) 2019.02.20
[齒渚][치은]   (0) 2019.02.20

[天靈盖][천령개 / 해골뼈]

⊙. 性平味稜無毒主尸狟鬼氣及久瀆勞秇寒熱無時者[本草]

⊙. 此死人頂骨也以年深陳久者爲良[本草]

⊙. 採得後孌灰火中樢一伏時待腥氣盡以檀香湯洗過曧灸黃或燒黑硏用[入門]

⊙. 本經人部惟髮禂一物餘皆出於後世怪說殊非仁人之用心

世稱孫思邈有大功於世以殺命治病尙有陰責況於是也

人死毒氣聚頂服之反害不如代以虎頭骨或黃犬頭骨也[入門]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婦人胞衣][부인포의]   (0) 2019.02.20
[人乳汁][인유즙]   (0) 2019.02.20
[口中涎及唾][구중연급타]   (0) 2019.02.20
[齒渚][치은]   (0) 2019.02.20
[牙齒][아치]   (0) 2019.02.20

[口中涎及唾][구중연급타 / 침] 

取平明未語者塗癬疥良[本草]
평명(平明)의 말하기 전의 침을 가려움증에 바르면 좋다.
又塗諸般腫上卽消[俗方]


'[湯液篇] > [人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乳汁][인유즙]   (0) 2019.02.20
[天靈盖][천령개]   (0) 2019.02.20
[齒渚][치은]   (0) 2019.02.20
[牙齒][아치]   (0) 2019.02.20
[耳塞][이색]   (0) 2019.02.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