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 식초] 

性溫味酸無毒主消癰腫破血暈除琋塊堅積[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옹종(癰腫)을 삭히고 혈훈(血暈)을 낫게 하며 징괴( 塊)와 뜬뜬한 적[堅積]을 헤친다[본초].
治産後血暈及諸失血過多血暈止心痛咽痛[本草]
산후혈훈과 여러 가지 원인으로 피를 많이 흘려서 생긴 혈훈증과

가슴앓이[心痛], 목구멍이 아픈 것[咽痛]을 치료한다[본초].
殺一切魚肉蔬菜毒[本草]
일체 물고기나 고기나 남새의 독을 없앤다[본초].
醋亦謂之醯以有苦味故俗呼爲苦酒[本草]
식초를 보고 신 것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쓴 맛이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고주(苦酒)라고 한다[본초].
苦酒米醋是也[得效]
고주(苦酒)는 쌀로 만든 식초를 말한다[득효].
不可多食損人肌藏及損人骨[本草]
많이 먹으면 살, 5장, 뼈가 상할 수 있다[본초].
入藥當取二三年米醋良穀氣全故也小麥醋不及[本草]
약으로는 반드시 2-3년이 된 쌀초[米醋]를 써야 좋은데

그것은 곡식 기운이 많기 때문이다.

밀로 만든 식초는 이것보다 못하다[본초].
醋措也能措五味以適中也[入門]
초(醋)자는 조치한다는 조(措)자의 뜻과 같은 것인데

5가지 맛을 조절하여 알맞게 한다는 것이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豆腐][두부]  (0) 2019.02.19
[飴糖][이당]   (0) 2019.02.19
[醬][장]   (0) 2019.02.19
[豆栥][두자 / 약전국]   (0) 2019.02.19
[糟][조]   (0) 2019.02.19

[][장 / 된장, 간장] 

性冷利味稜酸無毒

除熱止煩滿[本草]
성질이 차고[冷] 맛이 짜면서 시고[酸] 독이 없다.
열을 내리고 답답하고 그득한 것을 멎게 한다[본초].
殺一切魚肉蔬菜梁毒

又殺百藥熱傷及火毒[本草]
여러 가지 생선, 채소, 버섯을 먹고 중독된 것을 푼다.
또한 여러 가지 약으로 생긴 열에 상하였거나[百藥熱傷] 불에 덴 독[火毒]을 없앤다[본초].
多以豆作

小麥亦作醬不及豆

肉醬魚醬皆呼爲穰不入藥用[本草]
흔히 콩으로 만든다.
밀로도 만들기는 하나 콩으로 만든 것보다 못하다.
고기장이나 물고기장들을 젖국이라고 하는데 약으로는 쓰지 못한다[본초].
醬將也

將和五味以安五藏故聖人不得不食也

以豆作陳久者良[入門]
간장은 가질 ‘장(將)’자의 뜻을 딴 것이다.
간장에 양념을 잘 배합하면 5장을 편안하게 하기 때문에

옛날부터 사람들이 먹지 않을 수 없었다.
장은 콩으로 만들고 오랫동안 묵은 것이 좋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飴糖][이당]   (0) 2019.02.19
[醋][초]   (0) 2019.02.19
[豆栥][두자 / 약전국]   (0) 2019.02.19
[糟][조]   (0) 2019.02.19
[梨花酒][이화주]  (0) 2019.02.19

[豆栥][두자 / 약전국 / 약누룩] 

性寒味苦(一云稜一云甘)無毒

主傷寒頭痛寒熱瀆氣發汗通關節[本草]
성질이 차고[寒] 맛이 쓰며[苦](짜다고도 하고 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상한으로 머리가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나는 것[傷寒頭痛寒熱]과 산람장기( 氣)를 치료하는데

땀이 나게 하며 뼈마디를 잘 놀릴 수 있게 한다[본초].
治中毒藥蠱氣秇疾[本草]
약중독, 고독, 학질을 치료한다[본초].
又殺六畜胎子諸毒[本草]
집짐승의 새끼를 먹고 생긴 여러 가지 중독을 푼다[본초].
去心中懊婓宜生用之[湯液]
가슴이 몹시 답답하고 괴로운 것[心中懊 ]을 없애려면 생것을 쓰는 것이 좋다[탕액].
和蔥白服發汗最速[本草]
파밑(총백)과 같이 달여서 먹으면 땀을 내는데 제일 빠르다[본초].
得矦良[本草]
식초와 함께 쓰면 좋다[본초].
造法(見雜方)
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씌어 있다. 


[造豉法][조자법]   [약전국을 만드는 방법]

以大豆爲黃蒸(卽末醬)每一斗 加塩四升 川椒150g同淹

(春秋三日, 夏二日, 冬五日) 卽成半熟 加生薑細切187.5g

拌勻 入器內封口 埋蓬艾積草中 厚覆之 或馬糞中

過七日 或二七日 乃取用旣潔且精(本草).

누런 콩을 찐 것(즉 메주콩이다) 1말에 소금 4되,

조피열매(천초) 160g을 넣고 섞어서 봄과 가을에는 3일,

여름에는 2일, 겨울에는 5일 동안 두어서 절반 정도 익힌 다음

생강을 잘게 썰어서 200g을 넣고 고루 섞는다.

이것을 항아리에 담고 아가리를 잘 막아서 쑥더미 속에 깊이 묻는다.

혹 마분(馬糞)속에 파묻기도 한다.

7일간이나 14일간 있다가 파내어 쓰는데 깨끗하고 정결하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醋][초]   (0) 2019.02.19
[醬][장]   (0) 2019.02.19
[糟][조]   (0) 2019.02.19
[梨花酒][이화주]  (0) 2019.02.19
[煮酒][자주]  (0) 2019.02.19

[][조 / 술지게미] 

性溫味稜無毒

椕撲損瘀血 浸洗凍瘡

及付蛇蜂煗毒去蔬菜毒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얻어 맞아서 어혈(瘀血)이 진 데는 이것으로 찜질하고 얼어서 상한 데[凍瘡]는 이것으로 씻는다.
뱀이나 벌한테 쏘인 독과 채소독을 없앤다.
又能藏物不敗柔物能軟[本草]
또한 물건을 보관하는데 이것을 넣으면 물건이 변하지 않고 부드러워진다[본초].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醬][장]   (0) 2019.02.19
[豆栥][두자 / 약전국]   (0) 2019.02.19
[梨花酒][이화주]  (0) 2019.02.19
[煮酒][자주]  (0) 2019.02.19
[燒酒][소주]  (0) 2019.02.19

[梨花酒][이화주] 

色白味糪宜於春夏[俗方]
빛이 맑고 맛이 좋은데 봄과 여름에 마시면 좋다[속방].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豆栥][두자 / 약전국]   (0) 2019.02.19
[糟][조]   (0) 2019.02.19
[煮酒][자주]  (0) 2019.02.19
[燒酒][소주]  (0) 2019.02.19
[江西麻姑酒][강서마고주]  (0) 2019.02.19

[煮酒][자주]

味殊佳夏月宜飮[俗方]
맛이 특별히 좋은데 여름에 마시면 좋다[속방].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糟][조]   (0) 2019.02.19
[梨花酒][이화주]  (0) 2019.02.19
[燒酒][소주]  (0) 2019.02.19
[江西麻姑酒][강서마고주]  (0) 2019.02.19
[淮安菉豆酒][회안녹두주]  (0) 2019.02.19

[燒酒][소주]

自元時始   有味極辛烈   多飮傷人
원나라 때부터 나온 술인데 맛이 아주 독하다[極辛烈].
그러므로 많이 마시면 사람이 상할 수 있다.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梨花酒][이화주]  (0) 2019.02.19
[煮酒][자주]  (0) 2019.02.19
[江西麻姑酒][강서마고주]  (0) 2019.02.19
[淮安菉豆酒][회안녹두주]  (0) 2019.02.19
[南京金華酒][남경금화주]  (0) 2019.02.19

[江西麻姑酒][강서마고주]

以泉得名味殊勝[入門]
마고천의 샘물로 만들었다고 하여 마고술이라고 하는데 맛이 특별히 좋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煮酒][자주]  (0) 2019.02.19
[燒酒][소주]  (0) 2019.02.19
[淮安菉豆酒][회안녹두주]  (0) 2019.02.19
[南京金華酒][남경금화주]  (0) 2019.02.19
[蘇州小甁酒][소주소병주]  (0) 2019.02.19

[淮安菉豆酒][회안녹두주]

麴有菉豆乃解毒良物[入門]
녹두가 든 누룩으로 만든 것이므로 독을 푸는데 좋은 술이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燒酒][소주]  (0) 2019.02.19
[江西麻姑酒][강서마고주]  (0) 2019.02.19
[南京金華酒][남경금화주]  (0) 2019.02.19
[蘇州小甁酒][소주소병주]  (0) 2019.02.19
[山東秋露白][산동추로백]  (0) 2019.02.19

[南京金華酒][남경금화주]

味太㴿多飮留中聚痰[入門]
맛이 아주 달다[太甛].
많이 마시면 속에 머물러 있고 담(痰)이 뭉친다[입문].

'[湯液篇] > [穀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江西麻姑酒][강서마고주]  (0) 2019.02.19
[淮安菉豆酒][회안녹두주]  (0) 2019.02.19
[蘇州小甁酒][소주소병주]  (0) 2019.02.19
[山東秋露白][산동추로백]  (0) 2019.02.19
[金盆露][금분로]   (0) 2019.02.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