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伏翼][복익 / 박쥐] 

性平(一云微熱)味稜無毒(一云有毒)
主目暝痒痛明目夜視有光療  五淋利水道  一名磖挝[本草]
성질이 평(平)하고(약간 열하다[微熱]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눈이 어둡고 가려우면서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눈을 밝게 한다.
5림(五淋)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일명 편복이라고도 한다[본초].
伏翼以其晝伏有翼爾[本草]
복익이라고 한 것은 낮에는 엎드려 있고 날개가 있다는 것이다[본초].
在山谷及人家屋間立夏後採暴乾[本草]
이것은 산골짜기나 지붕 사이에서 산다. 입하(立夏) 후에 잡아서 볕에 말려 쓴다[본초].
此物善服氣故能壽[本草]
이것은 공기를 먹기[服氣] 때문에 오래 살 수 있다[본초].
先拭去毛及腸屠嘴脚灸乾用之[入門]
쓰는 방법은 먼저 털을 없애버린 다음 내장과 주둥이와 다리를 떼버리고

구워서 말려[灸乾] 쓴다[입문].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天鼠][천서]   (0) 2019.02.27
[伏翼糞][복익분]  (0) 2019.02.27
[越燕屎][월연시]   (0) 2019.02.27
[胡燕肉][호연육]   (0) 2019.02.27
[胡燕卵][호연란]   (0) 2019.02.27

[越燕屎][월연시] 

亦療痔殺盤去目次[本草]
치질을 낫게 하고 벌레[蟲]를 죽인다.
눈병[目 ]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伏翼糞][복익분]  (0) 2019.02.27
[伏翼][복익]   (0) 2019.02.27
[胡燕肉][호연육]   (0) 2019.02.27
[胡燕卵][호연란]   (0) 2019.02.27
[燕屎][연시]   (0) 2019.02.27

[胡燕肉][호연육] 

出痔盤[本草]
치질에 붙이면 벌레[痔蟲]가 나온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伏翼][복익]   (0) 2019.02.27
[越燕屎][월연시]   (0) 2019.02.27
[胡燕卵][호연란]   (0) 2019.02.27
[燕屎][연시]   (0) 2019.02.27
[雄雀屎][웅작시]   (0) 2019.02.27

[胡燕卵][호연란 / 명마기알] 

主水浮腫[本草]
수종(水腫)과 부종(浮腫)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越燕屎][월연시]   (0) 2019.02.27
[胡燕肉][호연육]   (0) 2019.02.27
[燕屎][연시]   (0) 2019.02.27
[雄雀屎][웅작시]   (0) 2019.02.27
[雀卵][작란]  (0) 2019.02.27

[燕屎][연시 / 제비똥] 

性平味辛有毒
療秇 主蠱毒 鬼狟破 五弐利小便[本草]
성질이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있다.
학질을 치료한다.
고독(蠱毒), 귀주(鬼 )에도 쓴다.
5륭(五 )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본초].
燕有兩種有胡有越紫胸輕小者是越燕져비不入藥

用胸斑黑聲大者是胡燕명마기入藥[本草]
제비에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즉 명마기와 제비이다.
가슴이 자줏빛이고 가벼우며 작은 것이 제비(越燕)인데 이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가슴에 검은 반점이 있고 새소리가 큰 것이 명마기(胡燕)인데 이것을 약으로 쓴다[본초].
燕肉不可食入水爲蛟龍所呑亦不宜殺之[本草]
명마기 고기는 먹지 못한다.
이것을 먹고 물에 들어가면 교룡(蛟龍)에게 물린다.
또한 죽이는 것도 좋지 않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胡燕肉][호연육]   (0) 2019.02.27
[胡燕卵][호연란]   (0) 2019.02.27
[雄雀屎][웅작시]   (0) 2019.02.27
[雀卵][작란]  (0) 2019.02.27
[雀頭血][작두혈]  (0) 2019.02.27

[雄雀屎][웅작시 / 숫참새똥] 

性溫療目痛快癰癤主竎癖疝禮氣塊伏梁[本草]
성질이 따뜻한데[溫] 눈병을 치료한다.

옹절(癰癤), 현벽( 癖), 산가(疝 ), 기괴(氣塊), 복량(伏梁)에도 쓴다[본초].
一名白丁香兩頭尖者是雄屎也
일명 백정향(白丁香)이라고도 하는데 양끝이 뾰족한 것이 웅작시이다.
臘月收雀屎俗呼爲靑丹入藥用
음력 섣달의 작시(雀屎)를 민간에서는 청단(靑丹)이라고하는데 약으로 쓴다.
凡使細硏甘草湯浸一宿焙乾用之[入門]
쓰는 방법은 보드랍게 가루내어 감초를 달인 물(甘草湯)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입문].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胡燕卵][호연란]   (0) 2019.02.27
[燕屎][연시]   (0) 2019.02.27
[雀卵][작란]  (0) 2019.02.27
[雀頭血][작두혈]  (0) 2019.02.27
[雀腦][작뇌]   (0) 2019.02.27

[雀卵][작란] 

性溫味酸無毒
主男子陰浔不起

强之令熱多精有子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시며[酸] 독이 없다.
음위증(陰 證)으로 음경이 일어서지 않는 데 쓴다.
음경을 힘있게 하고 덥게 하며 정액이 많아지게 하고 아이를 낳을 수 있게 한다.
取第一次卵尤良[本草]
맨 먼저 낳은 알이 더 좋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燕屎][연시]   (0) 2019.02.27
[雄雀屎][웅작시]   (0) 2019.02.27
[雀頭血][작두혈]  (0) 2019.02.27
[雀腦][작뇌]   (0) 2019.02.27
[雀肉][작육]   (0) 2019.02.27

[雀頭血][작두혈] 

主雀盲[本草]
주로 야맹증[雀盲證]에 쓴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雀屎][웅작시]   (0) 2019.02.27
[雀卵][작란]  (0) 2019.02.27
[雀腦][작뇌]   (0) 2019.02.27
[雀肉][작육]   (0) 2019.02.27
[雁肪][안방]   (0) 2019.02.26

[雀腦][작뇌 / 참새뇌]

性平  主耳聾塗凍瘡[本草]
성질이 평(平)하다.
주로 귀먹은 것[耳聾]을 치료하는데 얼어서 생긴 상처[凍瘡]에도 바른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雀卵][작란]  (0) 2019.02.27
[雀頭血][작두혈]  (0) 2019.02.27
[雀肉][작육]   (0) 2019.02.27
[雁肪][안방]   (0) 2019.02.26
[野鴨肉][야압육]   (0) 2019.02.26

[雀肉][작육 / 참새고기] 

性煖(一云大溫)無毒

續五藏不足氣壯陽益氣

煖腰膝益精髓縮小便起陽道食之令人有子冬月者良[本草]
성질이 덥고[煖](몹시 따뜻하다[大溫]고도 한다) 독이 없다.
5장이 부족한 것을 보(補)하고 양기를 세지게 하며 기운을 돕는다[壯陽益氣].
또한 허리와 무릎을 따뜻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하며 오줌량을 줄이고

음경이 잘 일어서게 한다.
이것을 먹으면 아이를 낳을 수 있는데 겨울 것이 제일 좋다[본초].
十月後正月前食之益人盖取陰陽靜定未快泄之義[本草]
음력 10월 후 정월 전에 먹으면 사람에게 좋다.
그것은 이때에 교미하지 않기 때문이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雀頭血][작두혈]  (0) 2019.02.27
[雀腦][작뇌]   (0) 2019.02.27
[雁肪][안방]   (0) 2019.02.26
[野鴨肉][야압육]   (0) 2019.02.26
[黑鴨肉][흑압육]   (0) 2019.02.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