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雁肪][안방 / 기러기기름] 

性平(一云凉)味甘無毒

主風痺攣急偏枯氣不通長

毛髮鬚眉壯筋骨[本草]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주로 풍비(風痺)로 저리고 켕기며 한쪽을 쓰지 못하는 것[攣急偏枯]과

기가 돌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그리고 머리털과 수염, 눈썹을 자라게 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한다[본초].
肉食之治諸風[本草]
고기를 먹으면 여러 가지 풍증이 낫는다[본초].
棧肪自不多食其肉應亦好雖云採

無時以冬月爲好[本草]
기러기에는 기름이 원래 많지 않기 때문에 그 고기 채로 먹는 것이 좋다.
아무 때나 잡은 것도 먹지만 겨울에 잡은 것이 더 좋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雀腦][작뇌]   (0) 2019.02.27
[雀肉][작육]   (0) 2019.02.27
[野鴨肉][야압육]   (0) 2019.02.26
[黑鴨肉][흑압육]   (0) 2019.02.26
[白鴨屎][백압시]   (0) 2019.02.26

[野鴨肉][야압육 / 들오리고기] 

性凉無毒

補中益氣和胃氣

治熱毒風及惡瘡癤殺腹藏一切

盤九月後立春前採者大補益全勝家鴨

其小小者名刀鴨味最重食之補虛[本草]
성질이 서늘하고 독이 없다.
중초를 보하고 기운을 도우며[補中益氣] 위기(胃氣)를 고르게 한다.
열독풍(熱毒風)과 악창(惡瘡)을 치료하며 뱃속의 일체 충을 죽인다.
음력 9월 이후 입춘 전에 잡은 것이 세게 보하는[大補] 데는 집오리보다 낫다.
작은 것은 쇠오리(刀鴨)라고 하는데 맛이 좋고 허한 것을 보한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雀肉][작육]   (0) 2019.02.27
[雁肪][안방]   (0) 2019.02.26
[黑鴨肉][흑압육]   (0) 2019.02.26
[白鴨屎][백압시]   (0) 2019.02.26
[白鴨肉][백압육]   (0) 2019.02.26

[黑鴨肉][흑압육]

滑中發冷痢 不可多食[本草]
속을 윤활하게 하기[滑中] 때문에 냉리(冷痢)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본초].
鴨有家有野此說專是家鴨爾
오리에는 집오리와 들오리가 있는데 여기서는 오직 집오리만을 말하는 것이다.
鳧鶩皆鴨也一云野鴨爲鳧家鴨爲鶩[本草]
부(鳧)라고 하는 것과 목(鶩)이라고 하는 것도 다 오리(鴨)를 말한다.
어떤 데는 들오리를 부(鳧)라고 하였고 집오리를 목(鶩)이라고 하였다[본초].
凡鴨白
毛黃雌鴨最補
綠頭靑頭鴨佳黑鴨滑中發冷疾
凡鴨老者佳嫩 者有毒[入門]
오리는 털이 희다.
털이 누런 암오리가 크게 보한다.
대가리가 풀빛이나 퍼런 빛이 나는 것이 좋다.
검은 빛이 나는 것은 대변이 술술 나가게 하여 냉병[冷疾]이 생기게 한다.
대개 늙은 오리가 좋고 어린 것은 독이 있다[입문].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雁肪][안방]   (0) 2019.02.26
[野鴨肉][야압육]   (0) 2019.02.26
[白鴨屎][백압시]   (0) 2019.02.26
[白鴨肉][백압육]   (0) 2019.02.26
[鶩卵][목란]   (0) 2019.02.26

[白鴨屎][백압시 / 흰오리변] 

名通殺

石藥毒散蓄熱 

治熱毒痢[本草]
백압통(白鴨通)이라고도 한다.
광물성 약의 중독[石藥毒]을 풀고 몰린 열[蓄熱]을 헤친다.
열독리(熱毒痢)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野鴨肉][야압육]   (0) 2019.02.26
[黑鴨肉][흑압육]   (0) 2019.02.26
[白鴨肉][백압육]   (0) 2019.02.26
[鶩卵][목란]   (0) 2019.02.26
[鶩頭][목두]   (0) 2019.02.26

[白鴨肉][백압육 / 흰오리고기] 

性冷味甘微毒(一云無毒)
補虛除熱和藏府  利水道[本草] 
성질이 서늘하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열을 없애며 장부를 고르게 하고[和臟腑]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鴨肉][흑압육]   (0) 2019.02.26
[白鴨屎][백압시]   (0) 2019.02.26
[鶩卵][목란]   (0) 2019.02.26
[鶩頭][목두]   (0) 2019.02.26
[鶩血][목혈]   (0) 2019.02.26

[鶩卵][목란 / 오리알] 

性寒
治心腹熱鹽淹食之宜人[本草]
성질은 차다[寒].
명치 밑이 다는 것[心腹熱]을 치료하는데 소금에 재워서 먹는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鴨屎][백압시]   (0) 2019.02.26
[白鴨肉][백압육]   (0) 2019.02.26
[鶩頭][목두]   (0) 2019.02.26
[鶩血][목혈]   (0) 2019.02.26
[鶩肪][목방]   (0) 2019.02.26

[鶩頭][목두 / 오리 머리] 

主水腫通利小便 

綠頭者佳[本草]
수종(水腫)을 치료하며 오줌을 잘 나오게 한다.
머리가 퍼런 것[綠頭者]이 좋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鴨肉][백압육]   (0) 2019.02.26
[鶩卵][목란]   (0) 2019.02.26
[鶩血][목혈]   (0) 2019.02.26
[鶩肪][목방]   (0) 2019.02.26
[白鵝卵][백아란]  (0) 2019.02.25

[鶩血][목혈 / 오리 피] 

主解諸毒[本草]
여러 가지 독(毒)을 푼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鶩卵][목란]   (0) 2019.02.26
[鶩頭][목두]   (0) 2019.02.26
[鶩肪][목방]   (0) 2019.02.26
[白鵝卵][백아란]  (0) 2019.02.25
[白鵝尾罌][백아미앵]   (0) 2019.02.25

[鶩肪][목방 / 집오리 기름] 

肪厚脂也性大寒

主水腫及風虛寒熱[本草]
기름(肪)이란 두터운 지방(厚脂)을 말하는데 성질이 몹시 차다.
그리고 주로 수종(水腫)과 풍허로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風虛寒熱]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鶩頭][목두]   (0) 2019.02.26
[鶩血][목혈]   (0) 2019.02.26
[白鵝卵][백아란]  (0) 2019.02.25
[白鵝尾罌][백아미앵]   (0) 2019.02.25
[白鵝毛][백아모]   (0) 2019.02.25

[白鵝卵][백아란] 

性溫補五藏  補中益氣[本草]
성질이 따뜻한데[溫] 5장을 보한다.
또한 중초를 보하고 기운을 돕는다[補中益氣][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鶩血][목혈]   (0) 2019.02.26
[鶩肪][목방]   (0) 2019.02.26
[白鵝尾罌][백아미앵]   (0) 2019.02.25
[白鵝毛][백아모]   (0) 2019.02.25
[白鵝膏][백아고]   (0) 2019.02.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