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醍筺][제호]  

性平味甘無毒

治一切肺病咳嗽膿血皮膚瘙痒通潤骨髓明目補虛功優於曧[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여러 가지 폐의 병으로 기침이 나고 피고름[膿血]을 뱉는 것과

피부가 가려운 것[皮膚痒]을 치료한다.
그리고 골수를 눅여 주고 눈을 밝게 하며

허한 것을 보하는 효과는 졸인 젖보다 훨씬 낫다[본초].
乳成酪酪成曧曧成醍筺[本草]
젖으로 타락(酪)을 만들고 타락으로 졸인 젖을 만들며 졸인 젖으로 제호를 만든다[본초].
醍筺生曧中曧之精液也筺曧一石有三四升醍筺熟磦貯器中待凝穿

中至底便津出得之性滑以物盛之皆透惟喵子殼及葫蘆盛之不出[本草]
제호는 졸인 젖에서 나온 것인데 졸인 젖의 정미로운 물(精液)이다.
좋은 졸인 젖 10말에서 3-4되의 제호가 나온다.
이것을 다 졸여서 그릇에 담아두면 엉킨다.
이때에 한가운데를 그릇 밑창까지 닿도록 찌르면 진이 나와서 맺힌다.
성질이 미끄럽기 때문에 그릇에 담아두면 다 스며나간다.
오직 달걀 껍질이나 바가지에 담아두어야 스며 나오지 못한다[본초].
在曧中盛冬不凝盛夏不融者是也[本草]
젖 졸인 것을 담아두어 보아 겨울에는 엉키지 않고 여름에는 녹지 않는 것이 제호이다[본초].
作酪時上一重凝者爲酪面酪面上其色如油者

爲醍筺熬之卽出不可多得極甘美惟潤養瘡痂最相宜[本草]
타락(酪)을 만들 때 위에 한꺼풀 엉키는 것이 낙면(酪面)이고

낙면 위에 기름빛 같은 것이 나는 것이 제호인데 졸이면 곧 나온다.
그러나 많이 나오지는 않는데 맛이 아주 달다.
헌데 딱지를 축여 주는 데는 이것이 제일 좋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馬莖][백마경]   (0) 2019.03.08
[海獺][해달]   (0) 2019.03.08
[曧][수]   (0) 2019.03.08
[酪][낙]   (0) 2019.03.08
[馬乳][마유]   (0) 2019.03.08

[][수 / 졸인 젖]

性微寒(一云凉)味甘無毒
益心肺止渴嗽潤毛髮除肺浔心熱幷吐血補五藏利腸胃[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심폐(心肺)를 보하고 갈증과 기침을 멈추며 머리털을 윤기나게 하고

폐위(肺 ), 심열, 피를 토하는 것[吐血]을 낫게 한다.
또한 5장을 보하고 장위(腸胃)를 좋게 한다[본초].
曧揷酪作之其性猶異[本草]
졸인 젖은 타락(酪)에서 건져서 만든 것이지만 성질은 다르다[본초].
曧酪醍筺乳腐乃牛乳羊乳馬乳或各或合爲之

四種中牛乳爲上羊乳次之馬乳又次之[入門]
수락( 酪), 제호(醍 ), 유부(乳腐)는 소젖, 양젖, 말젖을 따로따로 혹은 섞어서 만든 것이다.
이 3가지 가운데서 소젖(牛乳)으로 만든 것이 제일이고

양의 젖으로 만든 것은 그 다음이며 말의 젖으로 만든 것은 그 다음이다[입문].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海獺][해달]   (0) 2019.03.08
[醍筺][제호]   (0) 2019.03.08
[酪][낙]   (0) 2019.03.08
[馬乳][마유]   (0) 2019.03.08
[羊乳][양유]   (0) 2019.03.08

[][낙 / 타락(駝酪) / 우유 또는 양유를 끓여 만든 음료]  

性寒(一云冷)味甘酸無毒

止煩渴熱悶心膈熱痛[本草]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면서[甘] 시고[酸] 독이 없다.
번갈증과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 가슴이 달면서 아픈 것[心膈熱痛]을 치료한다[본초].
療身面上熱瘡肌瘡[本草]
몸과 얼굴에 생긴 열창(熱瘡)과 기창(肌瘡)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醍筺][제호]   (0) 2019.03.08
[曧][수]   (0) 2019.03.08
[馬乳][마유]   (0) 2019.03.08
[羊乳][양유]   (0) 2019.03.08
[牛乳][우유]   (0) 2019.03.08

[馬乳][마유]

性冷味甘無毒止渴
驢乳性同冷利[本草]
성질이 서늘하고[冷]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갈증을 멎게 한다.
나귀젖(驢乳)도 이것과 성질이 같은데 냉리(冷利)를 낫게 한다.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曧][수]   (0) 2019.03.08
[酪][낙]   (0) 2019.03.08
[羊乳][양유]   (0) 2019.03.08
[牛乳][우유]   (0) 2019.03.08
[阿膠][아교]   (0) 2019.03.07

[羊乳][양유] 

性溫味甘無毒潤  心肺止消渴[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심폐(心肺)를 눅여 주고 소갈을 멈춘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酪][낙]   (0) 2019.03.08
[馬乳][마유]   (0) 2019.03.08
[牛乳][우유]   (0) 2019.03.08
[阿膠][아교]   (0) 2019.03.07
[鹿角霜][녹각상]   (0) 2019.03.06

[牛乳][우유]

性微寒(一云冷)味甘無毒

補虛羸止煩渴潤皮膚養  心肺解熱毒[本草]
성질이 약간 차고[微寒](서늘하다[冷]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보하며 번갈(煩渴)을 멎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한다.
또한 심폐(心肺)를 보하고 열독(熱毒)을 푼다[본초].
凡服乳必煮一二沸停冷畆之

生飮令人痢熱食卽壅

又不欲頓服欲得漸消[本草]
우유를 먹을 때에는 반드시 1-2번 끓어 오르게 끓여 식혀서 마셔야 한다.
생것을 마시면 이질이 생기고 뜨겁게 하여 먹으면 곧 기가 막힌다.
또한 단숨에 먹지 말고 천천히 먹어야 한다[본초].
乳及尿屎去病  黑牛勝黃牛[本草]
우유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의 것을 쓰는 것이 누렁소(黃牛)의 것을 쓰는 것보다 낫다[본초].
凡乳酪與酸物相反[本草]
젖(乳酪)은 신것[酸物]과는 상반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乳][마유]   (0) 2019.03.08
[羊乳][양유]   (0) 2019.03.08
[阿膠][아교]   (0) 2019.03.07
[鹿角霜][녹각상]   (0) 2019.03.06
[白膠][백교]   (0) 2019.03.06

[阿膠][아교]

性平微溫味甘(一云甘辛)無毒

主虛勞羸瘦腰腹痛四肢攣疼療風補虛養肝氣止泄痢咳嗽女子下血安胎[本草]
성질이 평(平)하면서 약간 따뜻하고[微溫]

맛이 달며[甘](달면서[甘]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로 여위는 것[虛勞羸瘦], 허리나 배가 아픈 것[腰腹痛],

팔다리가 시글고 아픈 것과 풍증을 치료하는데

허(虛)한 것을 보(補)하고 간기(肝氣)를 돕는다.

그리고 설사, 이질, 기침을 멈추고 여자가 하혈(下血)하는 것을 낫게 하며

안태(安胎)시킨다[본초].
煮牛皮作之驢皮膠主風爲最出東阿故名阿膠[本草]
이것은 소가죽을 고아서 만든 것이다.

나귀가죽으로 만든 갖풀(아교)이 풍증에 제일 좋다.

동아(東阿) 지방에서 만든다고 하여 아교라고 하였다[본초].
阿縣城北井水作者爲眞

阿水是濟水性淸趨下故治濁痰逆上入手太陰足少陰厥陰久嗽久痢拄宜[入門]
아현성(阿縣城) 북쪽에 있는 우물물로 만든 것이 진짜이다.

아수(阿水)란 제수를 말하는데 이 물은 맑고 아래로 내려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걸쭉한 가래[濁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 기운은 수태음, 족소음, 족궐음경으로 들어간다.

오랜 기침과 오랜 이질에 다 좋다[입문].
眞膠極難得寧用黃明牛皮膠蚌粉炒用[入門]
진짜 나귀가죽으로 만든 갖풀(아교)은 얻기가 힘들기 때문에 차라리 노랗고 투명한

소가죽아교(牛皮膠)을 쓰는 것이 좋은데 진주조개가루(蜂粉)와 함께 닦아서 써야 한다[입문].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乳][양유]   (0) 2019.03.08
[牛乳][우유]   (0) 2019.03.08
[鹿角霜][녹각상]   (0) 2019.03.06
[白膠][백교]   (0) 2019.03.06
[象牙][상아]   (0) 2019.03.06

[鹿角霜][녹각상]

性溫味稜無毒
治勞傷羸瘦

補腎  益氣  固精壯陽强骨髓止夢泄[入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짜며 독이 없다.
허로로 몸이 여위는데 쓴다.
신을 보하며[補腎] 기를 돕고[益氣] 정을 든든하게 하며[固精]
양기를 세지게 하고[壯陽] 골수를 든든하게 하며 몽설을 멎게 한다[입문].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乳][우유]   (0) 2019.03.08
[阿膠][아교]   (0) 2019.03.07
[白膠][백교]   (0) 2019.03.06
[象牙][상아]   (0) 2019.03.06
[熊掌][웅장]   (0) 2019.03.06

[白膠][백교 / 녹각교]

性平溫味甘無毒
主男子腎藏氣衰虛損腰痛羸瘦
婦人服之令有子能安胎治赤白漏下及吐血下血[本草]
성질이 평(平)하면서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남자가 신기(腎氣)가 쇠약하고 허손되어 허리가 아프고 몹시 여위는 것[腰痛羸瘦]을 치료한다.
부인이 먹으면 임신하게 되고 안태(安胎)시키며
적백대하, 피를 토하는 것[吐血], 하혈하는 것이 낫는다[본초].
一名 鹿角膠 一名 黃明膠 煮鹿角作之
일명 녹각교(鹿角膠) 또는 황명교(黃明膠)라고 하는데 사슴의 뿔을 고아서 만든다.
煮法詳見雜方[本草]
교를 만드는 방법은 잡방문에 자세하게 씌어 있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阿膠][아교]   (0) 2019.03.07
[鹿角霜][녹각상]   (0) 2019.03.06
[象牙][상아]   (0) 2019.03.06
[熊掌][웅장]   (0) 2019.03.06
[熊血][웅혈]   (0) 2019.03.06

[象牙][상아]

性平(一云寒)無毒
主諸鐵及竹木刺入肉不出 笏及梳作屑用之[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차다[寒]고도 한다) 독이 없다.
여러 가지 쇠붙이나 참대나 나무가시가 살에 박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상아로 만든 홀(笏)이나 빗을 가루내어 쓴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角霜][녹각상]   (0) 2019.03.06
[白膠][백교]   (0) 2019.03.06
[熊掌][웅장]   (0) 2019.03.06
[熊血][웅혈]   (0) 2019.03.06
[熊骨][웅골]   (0) 2019.03.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