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牛腦][우뇌 / 소골]

主消渴風眩[本草]
소갈과 풍현(風眩)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耳中垢][우이중구]   (0) 2019.03.06
[牛齒][ 우치]   (0) 2019.03.05
[牛頭蹄][우두제]   (0) 2019.03.05
[牛角料][우각새]   (0) 2019.03.05
[牛肉][우육]   (0) 2019.03.05

[牛頭蹄][우두제 / 소머리굽]

下熱風[本草]
풍열(風熱)을 내리운다.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齒][ 우치]   (0) 2019.03.05
[牛腦][우뇌]   (0) 2019.03.05
[牛角料][우각새]   (0) 2019.03.05
[牛肉][우육]   (0) 2019.03.05
[牛黃][우황]   (0) 2019.03.05

[牛角料][우각새 / 소뿔속뼈]

性澁味苦甘無毒

止血崩赤白帶下療腸風瀉血及血痢
성질이 삽(澁)하고 맛이 달면서[甘] 쓰고[苦] 독이 없다.
혈붕(血崩)과 적백대하를 멈추며 장풍(腸風)으로 피를 쏟는 것과 혈리(血痢)를 치료한다.

主赤白痢及冷痢瀉血

燒存性爲末溫酒或米飮調下二錢或蜜和作丸服之[本草]

적백리(赤白痢)와 냉리(冷痢), 혈설[瀉血]을 주로 치료한다.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이나 미음에 타서 먹거나

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腦][우뇌]   (0) 2019.03.05
[牛頭蹄][우두제]   (0) 2019.03.05
[牛肉][우육]   (0) 2019.03.05
[牛黃][우황]   (0) 2019.03.05
[水麝][수사]   (0) 2019.03.04

[牛肉][우육 / 쇠고기]

性平(一云溫)味甘無毒(一云微毒)
養脾胃止吐泄治消渴消水腫令人强筋骨補益腰脚[本草]
성질이 평(平)하고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독이 약간 있다고도 한다).
비위(脾胃)를 보하고 게우거나 설사하는 것을 멈추며 소갈과 수종(水腫)을 낫게 한다.
또한 힘줄과 뼈, 허리와 다리를 든든하게 한다[본초].
食品黃牛爲佳用乳及屎尿去病者黑牛强于黃牛[本草]
고기는 누렁소(黃牛)의 것이 좋다.
소젖(牛乳)으로 병을 치료하는 데는 검정소(黑牛)의 것이 누렁소의 것보다 낫다[본초].
自死肉不可食必生煿瘡[俗方]
저절로 죽은 소의 고기는 먹지 말아야 한다.
먹으면 반드시 정창( 瘡)이 생긴다[속방].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頭蹄][우두제]   (0) 2019.03.05
[牛角料][우각새]   (0) 2019.03.05
[牛黃][우황]   (0) 2019.03.05
[水麝][수사]   (0) 2019.03.04
[麝肉][사육]   (0) 2019.03.04

[牛黃][우황]

性平(一云凉)味苦(一云甘)有小毒(一云無毒)
安魂定魄除邪逐鬼主狂癲驚悸及中惡療小兒百病[本草]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이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약간 있다(독이 없다고도 한다).
정신을 안정시키고 사기와 헛것[鬼]을 없애며 전광[狂癲], 경계(驚悸), 중악(中惡)을 낫게 한다.
또한 어린이의 모든 병도 치료한다[본초].
於牛得之陰乾百日使時燥無令見日月光[本草]
소한테서 우황을 꺼내어 백날 동안 그늘에 달아 매놓아 천천히 마르게 해야 한다.
그리고 햇빛이나 달빛이 비치지 않게 해야 한다[본초].
牛黃入肝治筋[綱目]
우황의 기운은 간(肝)으로 들어가므로 힘줄에 생긴 병을 낫게 한다[강목].
牛有黃者皮毛光澤眼如血色時腹鳴吼
又好照水人以盆水承之伺其吐出乃喝迫卽墮落水中
一箇如喵子黃大重疊可揭析輕虛而芬香者佳[本草]
우황이 든 소는 가죽과 털이 윤기가 있고 눈에 피가 지며[眼如血色] 때때로 운다.
또한 물을 보기 좋아한다.
동이에 물을 가득 부어서 그것을 소 주둥이 밑에 놓는 다음

소 주둥이를 억지로 벌리고 토하게 하면
달걀 노른자위만한 우황이 물에 떨어진다.
겹겹이 일어나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하며 향기로운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此物多僞試法吝摩爪甲上以透甲黃者爲眞[本草]
우황에는 가짜가 많은데 시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황을 손톱 위에 놓고 문질렀을 때 손톱 속까지 누렇게 되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
喝迫得者名生黃最難得今出屠肆於牛肝膽中得之[本草]
억지로 토하게 하여 얻은 것을 생우황(生牛黃)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얻기는 대단히 힘들다.
지금은 다 도살장에 가서 소의 담낭(牛肝膽) 속에서 얻는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角料][우각새]   (0) 2019.03.05
[牛肉][우육]   (0) 2019.03.05
[水麝][수사]   (0) 2019.03.04
[麝肉][사육]   (0) 2019.03.04
[麝香][사향]   (0) 2019.03.04

[水麝][수사]  

臍中惟水瀝一滴於斗水中用瀝衣直至敗其香不歇每

取以鍼刺之捻雄黃則合香氣倍於肉麝[本草]
이 사향노루 배꼽 속에는 오직 물만이 들어 있는데
이 물 1방울을 물 1말에 떨어뜨려서 옷에 뿌리면
그 옷이 다 헤지도록 향기로운 냄새가 없어지지 않는다.
그 물을 빼낼 때에는 침(鍼)으로 찔러서 빼내야 한다.
그 다음 찌른 곳을 석웅황(雄黃)으로 비벼주면 곧 아문다.
이 물사향의 향기는 덩어리 사향(肉麝)보다 배나 된다[본초].
本國麝香出於咸鏡平安兩地者爲好然不及於達子地方出者[俗方]
우리 나라의 사향은 함경도와 평안도의 것이 좋다.
그러나 달자( 子;시베리아) 지방의 것보다는 못하다[속방].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肉][우육]   (0) 2019.03.05
[牛黃][우황]   (0) 2019.03.05
[麝肉][사육]   (0) 2019.03.04
[麝香][사향]   (0) 2019.03.04
[紫梢花][자소화]   (0) 2019.03.04

[麝肉][사육]

麝形似獐其肉食之似獐肉而腥氣
麝啖蛇故能療蛇毒臍中有香除百病[本草]
사향노루의 생김새는 노루(獐)와 비슷하고 고기도 노루고기와 비슷하면서 비린내가 난다.
사향노루는 뱀을 잡아 먹기 때문에 뱀독을 풀 수 있다.
사향노루 배꼽 속에는 사향이 있는데 이것으로 모든 병을 다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黃][우황]   (0) 2019.03.05
[水麝][수사]   (0) 2019.03.04
[麝香][사향]   (0) 2019.03.04
[紫梢花][자소화]   (0) 2019.03.04
[龍齒][용치]   (0) 2018.02.24

[麝香][사향]      

性溫味辛苦無毒

主抗惡氣鎭心安神療溫秇蠱毒癎眙中惡心腹痛去目中膚次能蝕一切癰瘡膿

治婦人産難墮胎 

小兒驚癎客歑[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매우면서[辛] 쓰고[苦] 독이 없다.

나쁜 사기를 없애고 마음을 진정시키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온학(溫 ), 고독, 간질, 치병, 중악과 명치 아래가 아픈 것[心腹痛]을 치료하며

눈에 군살과 예막이 생긴 것[膚 ]을 없애고 여러 가지 옹창의 고름을 다 빨아낸다.

한  해산을 쉽게 하게 하고 유산시킨다.

어린이의 경간(驚癎)과 객오(客 )도 낫게 한다[본초].   
除百邪鬼魅殺三盤[本草] 
여러 가지 사기[百邪]와 헛것이 들린 병과 가위 눌린 것[鬼魅]을 치료하며

3가지 충을 죽인다[본초].
麝香入脾治肉[綱目]
사향 기운은 비(脾)로 들어가서 살에 생긴 병을 낫게 한다[강목].
麝雖溫然性屬陰能化陽通独理[直指小兒] 
사향은 성질이 따뜻하나 음(陰)에 속한다.

그러나 능히 양으로 변하며 주리( 理)를 열어준다[직지소아].
麝香通關透竅上達肌膚內入骨髓

與龍腦相同而香竄過之[入門]
사향은 막힌 것을 통하게 하고[通關] 구멍을 열어 주는데[透竅] 그

기운이 겉으로는 살과 피부에까지 가고 속으로는 골수에까지 들어간다.

효능이 용뇌(龍腦)와 같으나 향기와 뚫고 들어가는 기운은 용뇌보다 더 세다[입문].
麝能引藥透達[直指]
사향은 다른 약 기운을 이끌고 뚫고 들어간다[직지].
春分取之生者益良其香正在麝陰莖前皮內別有膜嚸之[本草] 
춘분 때 채취한 생것이 더 좋다.

사향이란 바로 사향노루 음경 앞의 가죽 속에 따로 막(膜)이 씌워진 곳에 있는 것이다[본초].
麝有三種

第一生香麝者夏食蛇盤多至寒則香滿

入春急痛自以爪剔出之落處遠近草木皆焦黃此極難得令人帶

眞香過園中苽果皆不實此其驗也

其次臍香乃捕得殺取者

其次心結香乃被逐狂走而自斃者[本草]  
사향에는 3가지가 있다.

그 첫째는 생향(生香)이다.

사향노루가 여름에 뱀과 벌레를 많이 먹으면 겨울에 가서 향이 가득 들어차게 된다.

그런데 봄이 되면 갑자기 아파서 사향노루가 발톱으로 긁어서 떨어지게 한다.

생향이 떨어진 부근의 풀과 나무는 다 누렇게 마른다.

생향을 얻기는 아주 어렵다.

진짜 사향을 가지고 오이나 과수밭을 지나면 열매가 달리지 않는다.

이것으로 진짜 사향을 알 수 있다.

둘째는 제향(臍香)인데 이것은 사향노루를 산 채로 잡아서 떼낸 것이다.

셋째는 심결향(心結香)인데 사향노루가 무엇에 쫓기어 미친 것같이 달아나다가

저절로 죽은 것에서 떼낸 것이다[본초].
麝香多僞破看一片毛共在嚸中者爲勝且燒當門子沸良久者卽好破看

麝內有顆子者卽當門子也[本草]
사향에는 가짜가 많으나 그것을 쪼개 보아 속에 털이 있는 것은 좀 나은 것이다.

사향의 당문자(當門子)를 태워 보아 부글부글 끓는 것이 좋은 것이다.

사향을 쪼개 보면 속에 알맹이가 있는 것도 있는데 이것을 당문자라고 한다[본초].
凡用麝香拄以子日開之不用苦細硏只篩用[本草] 
사향은 자일(子日)에 쪼개서 쓰는데 아주 보드랍게 갈지 말고

채구멍으로 빠져 나갈 정도로 갈아서 써야 한다[본초].
麝 一名 [四味臭][綱目]
사향은 일명 사미취(四味臭)라고도 한다[강목].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麝][수사]   (0) 2019.03.04
[麝肉][사육]   (0) 2019.03.04
[紫梢花][자소화]   (0) 2019.03.04
[龍齒][용치]   (0) 2018.02.24
[龍骨][용골]  (0) 2017.08.14

[紫梢花][자소화]

性溫味甘主陽衰陰浔[入門]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양기가 약하여 음위증(陰 證)이 생긴 것을 치료하다[입문].
龍於水邊遺瀝値流擀則粘着狀如蒲槌色微靑黃復似灰色
號紫梢花[本草]
물가에 흘린 용이 떠내려온 나뭇가지에 들러 붙어서 부들꽃방망이처럼 된 것을 말하는데
약간 퍼러면서 누런 빛이 나거나 잿빛 비슷하다.
이것을 자소화라고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麝][수사]   (0) 2019.03.04
[麝肉][사육]   (0) 2019.03.04
[麝香][사향]   (0) 2019.03.04
[龍齒][용치]   (0) 2018.02.24
[龍骨][용골]  (0) 2017.08.14

[澝嘑][자고 / 자고새]

性溫味甘無毒
主蠱氣瀆疾形似毋喵其鳴若云鉤狼格瓗者是也
不爲此鳴者非也[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고독과 장독[ 疾]을 치료한다.
생김새는 암탉 같은데 ‘꺼꺼’하고 우는 것이 이것이다.
그렇지 않은 것은 이 새가 아니다[본초].
生嶺南
영남 지방에서 산다.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瓅喅][창경]   (0) 2019.03.04
[竊脂][절지]   (0) 2019.03.04
[白鷗肉][백구육]   (0) 2019.03.04
[鷺攇肉][노사육]   (0) 2019.03.04
[抛㳿膏][벽체고]   (0) 2019.03.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