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鹿茸][녹용]  

性溫味甘酸(一云苦辛)無毒

療虛勞羸瘦四肢腰脊攣疼

補男子腎虛冷脚膝無力夜夢鬼交泄精女人崩中漏血及赤白帶下能安胎[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면서[甘] 시고[酸](쓰면서[苦] 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로로 몸이 여위는 것[虛勞羸瘦]과 팔다리와 허리, 등뼈가 시글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남자가 신기(腎氣)가 허랭(虛冷)하고 다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것을 보한다.
또한 몽설과 붕루, 적백대하를 치료하며 안태(安胎)시킨다[본초].
五月角初生時取其茸火乾以形如小茄子者爲上

或云茄子茸太嫩血氣未具不若分岐如馬鞍形者有力[本草]
음력 5월에 뿔이 갓 돋아서 굳어지지 않은 것을 잘라 불에 그슬려서 쓰는데

생김새가 작은 가지처럼 되지 않은 것이 제일 좋다.
가지처럼 된 녹용은 매우 연하고 혈기(血氣)가 온전하지 못하여

말안장처럼 가닥이 난 것보다도 약 기운이 못하다고도 한다[본초].
塗曧火燎去毛微灸入藥[本草]
졸인 젖을 발라 불에 그슬려 솜털을 없애고 약간 구워서 약으로 쓴다[본초].
不可以鼻嗅其茸中有小盤入鼻害人[本草]
코로 냄새를 맡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녹용 가운데 작은 벌레가 있어서 해롭기 때문이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骨][녹골]   (0) 2019.03.09
[鹿角][녹각]   (0) 2019.03.09
[馬屎][마시]   (0) 2019.03.09
[馬尿][마뇨]   (0) 2019.03.09
[犥毛][종모]   (0) 2019.03.09

[馬屎][마시 / 말똥]

性微溫 主崩漏吐下血婼血 金瘡 止血 又主陰陽易
一名[馬通]
성질이 약간 차니 붕루(崩漏)와 코피 등 금창(金瘡)의 출혈과 음양역(陰陽易)을 치료하고
일명 마통(馬通)이라고 한다.
屎及尿以白馬爲良[本草]
煎湯服治暑病最佳[俗方]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角][녹각]   (0) 2019.03.09
[鹿茸][녹용]   (0) 2019.03.09
[馬尿][마뇨]   (0) 2019.03.09
[犥毛][종모]   (0) 2019.03.09
[妭頭膏][기두고]   (0) 2019.03.09

[馬尿][마뇨 / 말오줌]

性微寒味辛 主消渴 破積聚 琋堅
성질이 약간 차고 맛은 매우며 소갈(消渴)과 적취(積聚)와 징괴( 塊)를 치료한다.
銅器承飮之又主鱉禮
洗頭瘡白禿[本草]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鹿茸][녹용]   (0) 2019.03.09
[馬屎][마시]   (0) 2019.03.09
[犥毛][종모]   (0) 2019.03.09
[妭頭膏][기두고]   (0) 2019.03.09
[妭毛][기모]   (0) 2019.03.09

[犥毛][종모 / 말의 정수리갈기털]

止血幷付惡瘡[本草]
피를 멎게 한다.
또한 악창에도 붙인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屎][마시]   (0) 2019.03.09
[馬尿][마뇨]   (0) 2019.03.09
[妭頭膏][기두고]   (0) 2019.03.09
[妭毛][기모]   (0) 2019.03.09
[馬懸蹄][마현제]   (0) 2019.03.09

[妭頭膏][기두고 / 기와두고]

主生髮[本草]
머리털을 나오게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尿][마뇨]   (0) 2019.03.09
[犥毛][종모]   (0) 2019.03.09
[妭毛][기모]   (0) 2019.03.09
[馬懸蹄][마현제]   (0) 2019.03.09
[馬蹄][마제]   (0) 2019.03.09

[妭毛][기모 / 말갈기털]

主女子崩中赤白[本草] 
적백대하를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犥毛][종모]   (0) 2019.03.09
[妭頭膏][기두고]   (0) 2019.03.09
[馬懸蹄][마현제]   (0) 2019.03.09
[馬蹄][마제]   (0) 2019.03.09
[馬眼][마안]   (0) 2019.03.08

[馬懸蹄][마현제 / 말무릎 안쪽의 털이 없는 곳의 살] 

性平
主驚癎乳難抗惡氣鬼毒蠱狟不祥療法齒止婼
성질이 평(平)하다.
경간과 젖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며

악기(惡氣), 귀독(鬼毒), 고주(蠱 ), 좋지 못한 기운을 피하게 한다.
또한 충치에도 쓰고 코피도 멎게 한다.
俗名馬夜眼[本草]
민간에서는 이것을

마야안(馬夜眼, 말의 앞종아리 안쪽에 있는 티눈 같은 것)이라고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妭頭膏][기두고]   (0) 2019.03.09
[妭毛][기모]   (0) 2019.03.09
[馬蹄][마제]   (0) 2019.03.09
[馬眼][마안]   (0) 2019.03.08
[馬齒][마치]   (0) 2019.03.08

[馬蹄][마제 / 말발굽]

性熱味甘無毒 抗溫秇
성질이 열(熱)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온학(溫 )을 낫게 한다.
白馬蹄療婦人白崩  赤馬蹄療婦人赤崩[本草]
흰 말의 발굽은 부인의 백대하에 쓰고 붉은 말의 발굽은 부인의 적대하에 쓴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妭毛][기모]   (0) 2019.03.09
[馬懸蹄][마현제]   (0) 2019.03.09
[馬眼][마안]   (0) 2019.03.08
[馬齒][마치]   (0) 2019.03.08
[馬頭骨][마두골]   (0) 2019.03.08

[馬眼][마안 / 말안구]

主驚癎秇疾主小兒妮病[本草]
경간과 학질, 어린이의 아우타는 병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懸蹄][마현제]   (0) 2019.03.09
[馬蹄][마제]   (0) 2019.03.09
[馬齒][마치]   (0) 2019.03.08
[馬頭骨][마두골]   (0) 2019.03.08
[馬脛骨][마경골]   (0) 2019.03.08

[馬齒][마치 / 말이빨]

療丁腫主小兒驚癎[本草]
정종(丁腫)과 어린이 경간(驚癎)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蹄][마제]   (0) 2019.03.09
[馬眼][마안]   (0) 2019.03.08
[馬頭骨][마두골]   (0) 2019.03.08
[馬脛骨][마경골]   (0) 2019.03.08
[白馬脂][백마지]   (0) 2019.03.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