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嗴羊骨][고양골]

性熱主虛寒羸瘦有宿熱人勿食[本草]
성질이 열(熱)하다.
허한증(虛寒)과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본래부터 열이 있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脛骨][고양경골]   (0) 2019.03.10
[嗴羊脊骨][고양척골]   (0) 2019.03.10
[嗴羊血][고양혈]   (0) 2019.03.10
[嗴羊脂][고양지]   (0) 2019.03.10
[嗴羊髓][고양수 / 숫양머리]   (0) 2019.03.10

[嗴羊血][고양혈]

産後血暈及中風血悶飮一升卽愈[本草]
산후혈훈(産後血暈), 중풍, 혈민(血悶)에 쓰는데 1되를 마시면 낫는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脊骨][고양척골]   (0) 2019.03.10
[嗴羊骨][고양골]   (0) 2019.03.10
[嗴羊脂][고양지]   (0) 2019.03.10
[嗴羊髓][고양수 / 숫양머리]   (0) 2019.03.10
[嗴羊腎][고양신 / 숫양신장]   (0) 2019.03.10

[嗴羊脂][고양지 / 숫양기름]

治遊風幷黑历[本草]
유풍(遊風)과 주근깨[黑 ]를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骨][고양골]   (0) 2019.03.10
[嗴羊血][고양혈]   (0) 2019.03.10
[嗴羊髓][고양수 / 숫양머리]   (0) 2019.03.10
[嗴羊腎][고양신 / 숫양신장]   (0) 2019.03.10
[嗴羊胃][고양위]   (0) 2019.03.10

[嗴羊髓][고양수 / 숫양머리]

性溫味甘無毒利血怴益經氣以酒服之[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혈맥(血脈)을 좋게 하고 경맥의 기운[經氣]을 보한다.
술로 먹는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血][고양혈]   (0) 2019.03.10
[嗴羊脂][고양지]   (0) 2019.03.10
[嗴羊腎][고양신 / 숫양신장]   (0) 2019.03.10
[嗴羊胃][고양위]   (0) 2019.03.10
[嗴羊心][고양심]   (0) 2019.03.10

[嗴羊腎][고양신 / 숫양신장]

補腎氣益精髓主虛損耳聾盜汗壯陽益胃止小便
신기(腎氣)와 정수(精髓)를 보하고 허손된 것과 귀머거리[耳聾]와

식은땀[盜汗]이 나는 것을 낫게 하며 양기(陽氣)를 세지게 한다.
또한 위(胃)를 보하고 오줌이 자주 나오는 것을 멎게 한다[본초].
羊五藏補人五藏[本草]
양의 5장은 사람의 5장을 보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脂][고양지]   (0) 2019.03.10
[嗴羊髓][고양수 / 숫양머리]   (0) 2019.03.10
[嗴羊胃][고양위]   (0) 2019.03.10
[嗴羊心][고양심]   (0) 2019.03.10
[嗴羊膽][고양담]   (0) 2019.03.10

[嗴羊胃][고양위 / 숫양위장]

主虛羸補胃虛損止尿數補氣[本草]
허하고 여윈 것[虛羸]을 낫게 하고 위(胃)가 허손(虛損)된 것을 보하며

오줌이 잦은 것을 멎게 하고 기(氣)를 보(補)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髓][고양수 / 숫양머리]   (0) 2019.03.10
[嗴羊腎][고양신 / 숫양신장]   (0) 2019.03.10
[嗴羊心][고양심]   (0) 2019.03.10
[嗴羊膽][고양담]   (0) 2019.03.10
[嗴羊肝][고양간]   (0) 2019.03.10

[嗴羊心][고양심 / 숫양심장]

補心主憂樰膈氣  心有孔者殺人勿食[本草]
심(心)을 보(補)하는데 몹시 근심하거나 성을 내서 기가 막힌 것[憂 膈氣]을 낫게 한다.
구멍이 뚫린 염통을 먹으면 죽을 수 있기 때문에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腎][고양신 / 숫양신장]   (0) 2019.03.10
[嗴羊胃][고양위]   (0) 2019.03.10
[嗴羊膽][고양담]   (0) 2019.03.10
[嗴羊肝][고양간]   (0) 2019.03.10
[嗴羊肉][고양육]   (0) 2019.03.10

[嗴羊膽][고양담 / 숫양쓸개]

性平主靑盲明目點眼中主赤障白膜[本草]
성질이 평(平)하다.
청맹(靑盲)을 치료하는데 눈이 밝아지게 한다.
눈에 넣으면 적장(赤障)과 흰막[白膜]이 없어진다[본초].
靑羊膽佳[本草]
퍼런 양(靑羊)의 담즙이 좋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胃][고양위]   (0) 2019.03.10
[嗴羊心][고양심]   (0) 2019.03.10
[嗴羊肝][고양간]   (0) 2019.03.10
[嗴羊肉][고양육]   (0) 2019.03.10
[嗴羊頭][고양두]   (0) 2019.03.10

[嗴羊肝][고양간]

性冷

療肝風目赤暗痛能明目[本草]
성질이 서늘하다[冷].
간풍(肝風)과 눈이 피지고[目赤] 잘 보이지 않으면서 아픈 것[暗痺]을 치료하는데

잘 보이게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心][고양심]   (0) 2019.03.10
[嗴羊膽][고양담]   (0) 2019.03.10
[嗴羊肉][고양육]   (0) 2019.03.10
[嗴羊頭][고양두]   (0) 2019.03.10
[嗴羊角][고양각]   (0) 2019.03.09

[嗴羊肉][고양육 / 숫양고기]

性大熱(一云溫)味甘無毒

治虛勞寒冷補中益氣  安心止驚開胃肥健[本草]
성질이 몹시 열하고[大熱] (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허로(虛勞)와 한랭증(寒冷證)을 치료하는데 중초를 보하고 기를 도와주며[補中益氣]

마음을 안정시키고 놀라는 증을 멎게 하며

음식맛이 나게 하고[開胃] 몸을 건강해지게 한다[본초].
齒骨及五藏皆溫平而主疾惟肉性大熱熱病差後百日內食之復發熱

秇人食之令發熱困重皆致死[本草]
숫양의 이빨과 뼈, 5장은 다 성질이 따뜻하고[溫] 평(平)하기 때문에

병을 낫게 할 수 있으나 고기는 성질이 몹시 열하기[大熱] 때문에

열병을 앓고 난 지 백일 이내에 먹으면 다시 열이 나게 된다.

학질을 앓을 때 먹으면 열이 나고 몹시 피곤해져서 죽을 수도 있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膽][고양담]   (0) 2019.03.10
[嗴羊肝][고양간]   (0) 2019.03.10
[嗴羊頭][고양두]   (0) 2019.03.10
[嗴羊角][고양각]   (0) 2019.03.09
[墪肉][궤육]   (0) 2019.03.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