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嗴羊頭][고양두 / 숫양머리]   

性凉(一云平)

治骨蒸腦熱風眩癲疾補虛損安心止驚治小兒驚癎
성질이 서늘하다(평(平)하다고도 한다).
골증(骨蒸)과 뇌열(腦熱), 풍현(風眩)과 전간[癲疾]을 치료하는데

허손된 것을 보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놀라는 증을 멎게 한다.
어린이의 경간[小兒驚癎]도 치료한다.
熱病後宜食羊頭肉冷病人勿食[本草]
열병 후에 양의 대가리고기(羊頭肉)를 먹으면 좋다.
냉병(冷病)환자는 먹지 말아야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肝][고양간]   (0) 2019.03.10
[嗴羊肉][고양육]   (0) 2019.03.10
[嗴羊角][고양각]   (0) 2019.03.09
[墪肉][궤육]   (0) 2019.03.09
[瀥臍][장제]   (0) 2019.03.09

[嗴羊角][고양각 / 숫양의 뿔]   

性溫(一云微寒)味稜苦無毒
主靑盲明目止驚悸殺鬼魅抗虎狼療漏下惡血治風退熱[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짜며 독이 없다.
청맹(靑盲)을 치료하는데 눈이 밝아지게 한다.
놀란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驚悸]을 멎게 하며 헛것[鬼魅]에 들린 병을 낫게 하고

범과 승냥이가 물러가게 하고 자궁출혈과 궂은 피가 나오는 것을 낫게 한다.
그리고 풍증도 치료하는데 열을 내린다[본초].
卽牡羊角也靑嗴者佳取無時勿使中濕濕卽有毒[本草]
이것이 바로 숫양의 뿔(牡羊角)인데 퍼런 숫양의 뿔이 좋다.
아무때나 잘라서 쓰는데 습기를 받지 않게 해야 한다.

습기를 받으면 독이 생긴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肉][고양육]   (0) 2019.03.10
[嗴羊頭][고양두]   (0) 2019.03.10
[墪肉][궤육]   (0) 2019.03.09
[瀥臍][장제]   (0) 2019.03.09
[瀥髓][장수]   (0) 2019.03.09

[墪肉][궤육 / 효근노루]

性平(一云凉)味甘(一云辛)無毒(一云有毒)
主五痔能墮胎多食動痼疾發瘡疥
성질이 평(平)하고(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맵다[辛]고도 한다)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5가지 치질을 낫게 하고 유산하게 한다.

많이 먹으면 고질병이 도지며 진옴[瘡疥]이 생긴다.
墪(音紀)獐類也

又小於獐但口兩邊有長牙性好鬪山深處有之[本草]
효근노루도 노루의 한 종류인데

노루보다 작고 긴 어금니가 양쪽으로 나와 있으며 싸우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깊은 산에서 산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頭][고양두]   (0) 2019.03.10
[嗴羊角][고양각]   (0) 2019.03.09
[瀥臍][장제]   (0) 2019.03.09
[瀥髓][장수]   (0) 2019.03.09
[瀥肉][장육]   (0) 2019.03.09

[瀥臍][장제]

中有香治虛損亦治惡病[本草]
배꼽 가운데 향(香)이 있는데 허손(虛損)된 것을 치료한다.
또한 잘 낫지 않는 병[惡病]도 낫게 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嗴羊角][고양각]   (0) 2019.03.09
[墪肉][궤육]   (0) 2019.03.09
[瀥髓][장수]   (0) 2019.03.09
[瀥肉][장육]   (0) 2019.03.09
[瀥骨][장골]   (0) 2019.03.09

[瀥髓][장수]

益氣力悅澤人面和酒服[本草]
기력(氣力)을 돕고 얼굴빛이 윤택해지게 하는데 술에 타서 먹는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墪肉][궤육]   (0) 2019.03.09
[瀥臍][장제]   (0) 2019.03.09
[瀥肉][장육]   (0) 2019.03.09
[瀥骨][장골]   (0) 2019.03.09
[慧肉][미육]   (0) 2019.03.09

[瀥肉][장육 / 노루고기]

性溫味甘無毒補益五藏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는데 5장을 보한다.
自八月至十二月食之勝羊肉餘月食之動氣
음력 8월-12월 사이에 먹으면 양고기보다 좋다.
다른 달에 먹으면 기(氣)가 동(動)하게 된다.
道家以瀥鹿肉羞爲自脯言其無禁忌也.
양생하는 사람들[道家]이 노루나 사슴의 고기를 말려 먹는 데는 꺼릴 것이 없다고 한다.
獐又呼爲壳壳肉主人心㵋豪取心肝爲末酒服卽小膽[本草]
노루를 보고 균(고라니)이라고도 하는데 균의 고기는 사람이 통이 커지게 한다.
염통[心]과 간(肝)을 가루내서 술로 먹으면 담이 적어진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瀥臍][장제]   (0) 2019.03.09
[瀥髓][장수]   (0) 2019.03.09
[瀥骨][장골]   (0) 2019.03.09
[慧肉][미육]   (0) 2019.03.09
[慧骨][미골]   (0) 2019.03.09

[瀥骨][장골 / 노루뼈]  

性微溫(一云平)味甘(一云稜)無毒
主虛損泄精益精髓悅顔色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微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짜다고도 한다) 독이 없다.
허손(虛損)과 유정, 몽설을 치료하는데 정혈과 골수[精髓]를 보하고 얼굴빛이 좋아지게 한다.
煮骨汁釀酒飮之有補下之功[本草]
이 뼈를 삶은 물로 술을 만들어 먹으면 하초가 보[補下]해진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瀥髓][장수]   (0) 2019.03.09
[瀥肉][장육]   (0) 2019.03.09
[慧肉][미육]   (0) 2019.03.09
[慧骨][미골]   (0) 2019.03.09
[慧角][미각]   (0) 2019.03.09

[慧肉][미육 / 고라니고기]

性熱益氣補中治腰脚[本草]
성질이 열(熱)한데 기를 돕고 중초를 보[補中]한다.
허리와 다리의 병을 치료한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瀥肉][장육]   (0) 2019.03.09
[瀥骨][장골]   (0) 2019.03.09
[慧骨][미골]   (0) 2019.03.09
[慧角][미각]   (0) 2019.03.09
[慧茸][미용]   (0) 2019.03.09

[慧骨][미골 / 고라니뼈]

除虛勞至良煮骨汁釀酒飮令人肥白美顔色[本草]
허로(虛勞)를 치료한다.
이 뼈를 고운 물로 술을 만들어 먹으면 살이 찌고 얼굴빛이 좋아진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瀥骨][장골]   (0) 2019.03.09
[慧肉][미육]   (0) 2019.03.09
[慧角][미각]   (0) 2019.03.09
[慧茸][미용]   (0) 2019.03.09
[慧脂][미지]   (0) 2019.03.09

[慧角][미각]

性溫味甘無毒
添精補髓益血怴煖腰膝悅色壯陽偏

治丈夫療腰膝不仁補一切血[本草]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정이 많아지게 하고[添精] 골수를 보해주며[補髓] 혈맥을 좋게 하고[補益]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얼굴빛을 좋아지게 하고 양기(陽氣)가 세지게 한다.
그리고 남자의 병을 더 잘 낫게 하는데 허리와 무릎을 잘 쓰지 못하는 것을 낫게 하며

혈을 보한다[본초].
月令云仲夏鹿角解仲冬慧角解
日華子謂夏至角解誤矣

鹿是山獸夏至得陰氣而解角從陽退之象
慧是澤獸冬至得陽氣而解角從陰退之象也[本草]
예기(禮記) 월령(月令)에는 음력 5월에 사슴의 뿔이 떨어지고

음력 2월에 누렁이의 뿔이 떨어진다고 씌어 있다.
일화자(日華子)는 하지(夏至)에 누렁이의 뿔이 떨어진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잘못된 말이다.
사슴은 산에서 사는 짐승인데 하지에 음기(陰氣)를 받는다.
이때에 뿔이 떨어지는 것은 양기(陽氣)가 물러가는 것을 본받은 것이다.
누렁이는 못가에서 사는 짐승인데 동지에 양기를 받는다.
이때에 뿔이 떨어지는 것은 음기가 물러가는 것을 본받은 것이다[본초].
煎作膠與鹿角膠同功[本草]
달여서 갖풀(阿膠)처럼 만들면 녹각교(鹿角膠)와 효과가 같다[본초].

'[湯液篇] > [獸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慧肉][미육]   (0) 2019.03.09
[慧骨][미골]   (0) 2019.03.09
[慧茸][미용]   (0) 2019.03.09
[慧脂][미지]   (0) 2019.03.09
[鹿筋][녹근]   (0) 2019.03.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