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治小兒 肺脹胸滿 喘粗氣急 兩脇扇動

兩鼻竅張 痰涎潮塞 悶亂喘喝 死在朝夕

白丑半生半熟 黑丑半生半熟 取頭末各20g 大黃40g 檳榔10g 木香6g

爲末 入輕粉一字 和勻 每取4g8g 蜜水調下 微利爲度(丹心).

一名, [一捻金](醫鑒).

어린이가 폐가 창만하여 가슴이 그득하며 숨이 차서 양쪽 갈비가 들먹거리며

양쪽 콧날개가 벌름거리고 담연이 끓으면서 막히고 속이 답답하여 견딜 수 없으며

목이 막혀서 곧 죽게 된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흰씨(백축, 절반은 생것, 절반은 익힌 것), 나팔꽃검은씨(흑축, 절반은 생 것, 절반은 익힌 것), 맏물가루 각각 20g,

대황 40g, 빈랑 10g, 목향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경분 1g과 고루 섞어서

한번에 4-8g씩 꿀물에 타 먹이되 약간 설사날 때까지 먹인다[단심].

일명 일념금(一捻金)이라고도 한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奪命散][탈명산]  (0) 2023.03.31
[一捻金][일념금]  (0) 2023.03.30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23.03.30
[淸金降火湯][청금강화탕]  (0) 2023.03.30
[華盖散][화개산]  (0) 2023.03.29

[馬脾風散][마비풍산]

治寒邪入肺 寒鬱爲熱

痰喘上氣 肺脹齁䶎 若不速治 立見危亡

辰砂10g 甘遂6g 輕粉2g

爲末 每取一字 以溫漿水少許 上滴香油一點抄藥 在油花上

待沈下 却去漿水 灌之 神效(入門).

한사(寒邪)가 폐에 들어가서 몰리고 막히면 열이 나고

담이 생겨 숨이 차고 기가 치밀며 폐가 창만한 것과 후합을 치료한다.

만일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아주 위태롭다.

주사 10g, 감수 6g, 경분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g씩 따뜻한 신좁쌀죽웃물에 참기름 한 방울을 떨구어 생긴 기름꽃 위에

약가루를 떠놓아서 약이 가라앉은 다음 물을 버리고 약만 먹이면 잘 낫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一捻金][일념금]  (0) 2023.03.30
[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0) 2023.03.30
[淸金降火湯][청금강화탕]  (0) 2023.03.30
[華盖散][화개산]  (0) 2023.03.29
[導痰湯][도담탕]  (0) 2023.03.29

[淸金降火湯][청금강화탕]

治熱嗽 能瀉肺胃之火 火降則痰消嗽止

陳皮, 杏仁 各一錢半

赤伏巔, 半夏, 桔梗, 貝母, 前胡, 瓜蔞仁, 黃芩, 石膏 各一錢

枳殼八分, 甘草三分

右犫作一貼 入生薑三片 水煎服 食後[醫鑑].

열수(熱嗽)를 치료하는데 폐와 위의 화()를 내린다.

화를 내리면 담이 삭고 기침이 멎는다.

귤껍질(陳皮), 살구씨(행인) 각각 6g,

벌건솔풍령(적복령), 끼무릇(반하), 도라지(길경), 패모, 전호, 하늘타리씨(과루인), 속썩은풀(황금), 석고 각각 4g,

지각 3.2g, 감초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0) 2023.03.30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23.03.30
[華盖散][화개산]  (0) 2023.03.29
[導痰湯][도담탕]  (0) 2023.03.29
[瀉肺散][사폐산]  (2) 2023.03.28

[華盖散][화개산]

治肺感寒邪 咳嗽 上氣 鼻塞 聲重

麻黃二錢

赤伏巔, 蘇子, 陳皮, 桑白皮, 杏仁 各一錢

甘草灸五分

右犫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入門].

폐가 한사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코가 메고 목소리가 탁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8g,

벌건솔풍령(적복령), 차조기씨(자소자), 귤껍질(陳皮),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살구씨(행인) 각각 4g,

감초(닦은 것)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23.03.30
[淸金降火湯][청금강화탕]  (0) 2023.03.30
[導痰湯][도담탕]  (0) 2023.03.29
[瀉肺散][사폐산]  (2) 2023.03.28
[瀉白散][사백산]  (0) 2023.03.28

[導痰湯][도담탕]

治風痰

半夏薑製二錢

南星礐, 橘紅, 枳殼, 赤茯巔,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 薑五片 水煎服[得效]

풍담증(風痰證)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에 법제한 것) 8g,

천남성(싸서 구운 것), 귤홍,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治中風痰盛 語澁眩暈

加 香附子, 烏藥, 沈香, 木香, 名曰 [順氣導痰湯]

加 黃芩, 黃連 名曰 [淸熱導痰湯]

加 羌活, 白朮 名曰 [祛風導痰湯]

加 遠志, 菖蒲, 芩連, 朱砂 名曰 [寧神導痰湯][入門].

중풍으로 담()이 성()해서 말이 잘 되지 않고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이 처방에 향부자, 오약, 침향, 목향을 넣으면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이 된다.

이 처방에 속썩은풀(황금), 황련을 넣으면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이 된다.

이 처방에 강호리(강활), 흰삽주(백출)를 넣으면 거풍도담탕(祛風導痰湯)이 된다.

이 처방에 원지, 석창포, 속썩은풀(황금), 황련, 주사를 넣으면 영신도담탕(寧神導痰湯)이 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金降火湯][청금강화탕]  (0) 2023.03.30
[華盖散][화개산]  (0) 2023.03.29
[瀉肺散][사폐산]  (2) 2023.03.28
[瀉白散][사백산]  (0) 2023.03.28
[惺惺散][성성산]  (0) 2023.03.28

[瀉白散][사백산]

一名,  [瀉肺散] 治肺實

桑白皮, 地骨皮 各二錢

甘草一錢

右犫作一貼 水煎服

或加 知母, 貝母, 桔梗, 梔子, 麥門冬, 生地黃 亦可[入門].

일명 사폐산(瀉肺散)이라고도 하는데 폐가 실()한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리고 지모, 패모, 도라지(길경), 산치자, 맥문동, 생지황을 넣어서 쓰는 것도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華盖散][화개산]  (0) 2023.03.29
[導痰湯][도담탕]  (0) 2023.03.29
[瀉白散][사백산]  (0) 2023.03.28
[惺惺散][성성산]  (0) 2023.03.28
[雄黃膏][웅황고]  (0) 2023.03.27

[瀉白散][사백산]

一名,  [瀉肺散] 治肺實

桑白皮, 地骨皮 各二錢

甘草一錢

右犫作一貼 水煎服

或加 知母, 貝母, 桔梗, 梔子, 麥門冬, 生地黃 亦可[入門].

일명 사폐산(瀉肺散)이라고도 하는데 폐가 실()한 것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골피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그리고 지모, 패모, 도라지(길경), 산치자, 맥문동, 생지황을 넣어서 쓰는 것도 좋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導痰湯][도담탕]  (0) 2023.03.29
[瀉肺散][사폐산]  (2) 2023.03.28
[惺惺散][성성산]  (0) 2023.03.28
[雄黃膏][웅황고]  (0) 2023.03.27
[參蘇飮][삼소음]  (0) 2023.03.27

[惺惺散][성성산]

治傷風發熱 痰嗽煩渴

人參, 白朮, 白茯巔, 桔梗, 川芎, 白芍藥, 瓜蔞根, 甘草 各二分半

細辛, 薄荷 各一分

右犫作一貼 薑二 水煎服[錢乙]

풍에 상하여 열이 나고 가래가 나오면서 기침을 하며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감초 각각 1g,

족두리풀(세신), 박하 각각 0.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2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肺散][사폐산]  (2) 2023.03.28
[瀉白散][사백산]  (0) 2023.03.28
[雄黃膏][웅황고]  (0) 2023.03.27
[參蘇飮][삼소음]  (0) 2023.03.27
[人參羌活散][인삼강활산]  (0) 2023.03.27

[雄黃膏][웅황고]

治傷風溫 壯熱引飮

寒水石 五錢

㴿硝 甘草末 各三錢

龍腦一字

朱砂五分

雄黃小棗大硏 蘿挙根水幷醋一大盞煮令盡

右硏勻 煉蜜成膏 薄荷湯化下 半夿子大[錢乙]

풍온에 상하여 열이 높고 물을 많이 켜는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 20g, 첨초, 감초가루 각각 12g, 용뇌 1g, 주사 2g,

석웅황(웅황, 작은 대추만한 것을 갈아서 무즙과 식초 1잔을 넣어 물이 없어질 때까지 달인 것).

위의 약들을 갈아서 졸인 꿀에 섞은 다음 고약을 만들어 한번에 주염열매 절반만한 것을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전을].

 

[雄黃膏][웅황고]

治 久年冷瘻

油髮灰, 黃蠟 各五錢

雄黃末, 硫黃末 各二錢半, 香油二兩

右和勻熔火候成膏貼之[直指]

오랜 냉루창(冷瘻瘡)을 치료한다.

기름 먹은 난발을 태운 재, 황랍 각각 20g,

석웅황가루, 유황가루 각각 10g, 참기름 80g.

위의 약들을 고루 섞어서 녹여 고약을 만들어 붙인다[직지].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白散][사백산]  (0) 2023.03.28
[惺惺散][성성산]  (0) 2023.03.28
[參蘇飮][삼소음]  (0) 2023.03.27
[人參羌活散][인삼강활산]  (0) 2023.03.27
[人參敗毒散][인삼패독산]  (0) 2023.03.26

[參蘇飮][삼소음]

治感傷風寒 頭痛 發熱 咳嗽 及內因七情痰盛 胸滿潮熱

人參, 紫蘇葉, 前胡, 半夏, 乾葛, 赤茯巔 各一錢

陳皮, 桔梗, 枳殼, 甘草 各七分半

右犫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易簡]

풍한(風寒)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며 기침이 나는 것과

속으로 7정에 상하여 담이 성해져 가슴이 그득하고 조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차조기잎(자소엽), 전호, 끼무릇(반하), 칡뿌리(갈근),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지각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이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惺惺散][성성산]  (0) 2023.03.28
[雄黃膏][웅황고]  (0) 2023.03.27
[人參羌活散][인삼강활산]  (0) 2023.03.27
[人參敗毒散][인삼패독산]  (0) 2023.03.26
[助胃膏][조위고]  (0) 2023.03.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