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參羌活散][인삼강활산]

治 中風 痰盛 煩熱

羌活, 獨活, 前胡, 人參, 防風, 天麻, 赤茯巔, 薄荷, 川芎, 黃芩, 枳殼, 蔓荊子, 桔梗, 甘草 各七分

右犫作一貼 入薑三片 桑白皮 七寸同 水煎服[得效]

중풍으로 담()이 성하고 번열(煩熱)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전호, 인삼, 방풍, 천마, 벌건솔풍령(적복령), 박하,

궁궁이(천궁), 속썩은풀(황금), 지각, 순비기열매(만형자),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뽕나무뿌리껍질(桑白皮) 7치와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雄黃膏][웅황고]  (0) 2023.03.27
[參蘇飮][삼소음]  (0) 2023.03.27
[人參敗毒散][인삼패독산]  (0) 2023.03.26
[助胃膏][조위고]  (0) 2023.03.25
[雙金丸][쌍금환]  (0) 2023.03.25

[人參敗毒散][인삼패독산]

治傷寒時氣 發熱頭痛 項强 肢體煩疼及傷風咳嗽 鼻塞聲重

羌活, 獨活, 柴胡, 前胡, 枳殼, 桔梗, 川芎, 赤茯巔, 人參,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 入薑三片 薄荷少許 水煎服[醫鑑]

本方 加 天麻, 地骨皮 等分 名曰 [人參羌活散]

加 荊芥穗 防風 等分 名曰 [荊防敗毒散]

상한과 돌림병[時氣]으로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목덜미가 뻣뻣하고

팔다리와 몸이 안타깝게 아픈 것[煩痛]과 상풍(傷風)으로 기침이 나며

코가 메고 목쉰 소리를 하는 것을 치료한다.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시호, 전호, 지각,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과 박하를 조금 넣어서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이 처방에 천마와 지골피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은 것을 인삼강활산 이라고 한다.

형개수와 방풍을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넣은 것을 형방패독산 이라고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蘇飮][삼소음]  (0) 2023.03.27
[人參羌活散][인삼강활산]  (0) 2023.03.27
[助胃膏][조위고]  (0) 2023.03.25
[雙金丸][쌍금환]  (0) 2023.03.25
[和胃丸][화위환]  (0) 2023.03.24

[助胃膏][조위고]

治小兒吐瀉 和脾胃 進乳食 最妙

山藥五錢

人參, 白朮, 白茯巔, 陳皮, 甘草 各二錢半

木香一錢, 縮砂二十箇, 白豆埼七箇, 肉豆埼二箇

右爲末 蜜丸 夿子大

每一丸 米飮化下 或爲末 木瓜湯調 下一錢[湯氏]

어린이가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비위를 편안하게 하고 젖과 음식을 잘 먹게 하는데 아주 좋다.

20g,

인삼,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10g,

목향 4g, 사인 20, 백두구 7, 육두구 2.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에 타 먹이거나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모과 달인 물에 타 먹인다[탕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羌活散][인삼강활산]  (0) 2023.03.27
[人參敗毒散][인삼패독산]  (0) 2023.03.26
[雙金丸][쌍금환]  (0) 2023.03.25
[和胃丸][화위환]  (0) 2023.03.24
[燒鍼丸][소침환]  (0) 2023.03.24

[雙金丸][쌍금환] [雙金元][쌍금원]

治吐瀉日久 脾胃虛損 手足厥冷 精神昏塞

多睡露睛 口鼻氣冷 欲成慢驚風

金液丹(方見寒門) 與靑州白元子(方見風門) 等分同

硏生薑 米飮 調灌之惟多服 乃效雖至危者 往往死中得生 十救八九 沈存中

云 金液丹 治吐利垂絶服之 得活須 多服方驗[綱目]

一云 金液丹 眞小兒 吐瀉之妙 劑也[入門]

오랫동안 토하고 설사한 탓으로 비위(脾胃)가 허손되고 손발이 싸늘하며 정신이 혼미하고

눈을 채 감지 못하고 잠만 자며 입과 콧김이 서늘하면서 만경풍이 되려는 것을 치료한다.

금액단(金液丹)과 청주백원자(靑州白元子)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함께 갈아서

생강을 두고 쑨 미음에 타 먹이되 많이 먹어야 효과가 있다.

비록 몹시 위중하게 되었어도 왕왕 죽게 된 사람 10명 가운데서 8-9명은 살릴 수 있다.

심존중(沈存中)금액단은 구토설사하여 죽게 된 것이라도 먹이면 살릴 수 있는데

반드시 많이 먹어야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강목].

또는 금액단은 참으로 어린이들의 구토설사하는 데 묘한 약이라고 하였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敗毒散][인삼패독산]  (0) 2023.03.26
[助胃膏][조위고]  (0) 2023.03.25
[和胃丸][화위환]  (0) 2023.03.24
[燒鍼丸][소침환]  (0) 2023.03.24
[大靑膏][대청고]  (0) 2023.03.23

[和胃丸][화위환]

治吐瀉不止 欲生慢驚

丁香 白朮40g, 半夏20g, 藿香 蝎尾 4g

爲末 薑汁糊和丸 小豆大 一歲兒 10丸 薑湯化下(綱目).

계속 토하고 설사하여 만경풍이 생기려는 것을 치료한다.

정향, 흰삽주(백출) 각각 40g, 끼무릇(반하) 20g, 곽향, 전갈꼬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으로 쑨 풀로 반죽한 다음 팥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10알씩 생강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강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助胃膏][조위고]  (0) 2023.03.25
[雙金丸][쌍금환]  (0) 2023.03.25
[燒鍼丸][소침환]  (0) 2023.03.24
[大靑膏][대청고]  (0) 2023.03.23
[木瓜丸][모과환]  (0) 2023.03.23

[燒鍼丸][소침환]

治內傷乳食 吐瀉不止 危甚者

黃丹 朱砂 白礬枯 各等分

爲末 棗肉和丸 芡實大

每一丸 用鍼挑於 燈焰上 燒存性 乳汁 或米 飮化下.

此藥 淸鎭專主 吐瀉(醫鑒).

젖과 음식에 체하여 계속 토하고 설사하여 몹시 위태로운 것을 치료한다.

황단, 주사, 백반(구운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바늘에 꿰서 등불에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젖이나 미음에 타 먹인다.

이 약은 열을 내리고 진정시키는 힘이 있어서 순전히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雙金丸][쌍금환]  (0) 2023.03.25
[和胃丸][화위환]  (0) 2023.03.24
[大靑膏][대청고]  (0) 2023.03.23
[木瓜丸][모과환]  (0) 2023.03.23
[半粟散][반속산]  (0) 2023.03.23

[大靑膏][대청고]

治急驚風宜用此發散

白附子一錢半

天麻, 靑黛 各一錢

烏蛇肉, 蝎梢 各半錢

朱砂, 天竺黃, 麝香 各一字

右細末 生蜜 和成膏

月內兒 粳米大, 半歲兒 半爣子大,

一歲兒 一爣子大 以薄荷 竹葉 煎湯化下[得效]

급경풍을 치료하는 동시에 표를 풀어 준다.

노랑돌쩌귀(백부자) 6g,

천마, 청대 각각 4g,

오사육, 전갈꼬리 각각 2g,

주사, 천축황, 사향 각각 1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생꿀로 반죽한 다음 고약을 만들어

한 달 전의 어린이에게는 입쌀만하게, 여섯 달이 된 어린이에게는 주염열매 절반만하게,

1살 난 어린이에게는 주염열매만하게 해서 박하와 참대잎을 넣고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和胃丸][화위환]  (0) 2023.03.24
[燒鍼丸][소침환]  (0) 2023.03.24
[木瓜丸][모과환]  (0) 2023.03.23
[半粟散][반속산]  (0) 2023.03.23
[四逆湯][사역탕]  (0) 2023.03.22

[木瓜丸][모과환]

治初生吐不止

木瓜 麝香 木香 檳榔 膩粉 各一字

爲末 麪糊和 丸如黍米大 甘草湯下12(正傳).

갓 나서 계속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모과, 사향, 목향, 빈랑, 경분 각각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2알씩 감초 달인 물로 먹인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燒鍼丸][소침환]  (0) 2023.03.24
[大靑膏][대청고]  (0) 2023.03.23
[半粟散][반속산]  (0) 2023.03.23
[四逆湯][사역탕]  (0) 2023.03.22
[四順理中丸][사순이중환]  (0) 2023.03.22

[半粟散][반속산]

治吐涎沫 或白綠水者 胃冷 宜用此

半夏薑製8g, 陳粟米4g

爲作一貼 入薑10片 水煎服(正傳).

위가 차서 거품침이나 희고 푸른 물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8g, 묵은 좁쌀 4g.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10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靑膏][대청고]  (0) 2023.03.23
[木瓜丸][모과환]  (0) 2023.03.23
[四逆湯][사역탕]  (0) 2023.03.22
[四順理中丸][사순이중환]  (0) 2023.03.22
[四順元][사순원]  (0) 2023.03.22

[四逆湯][사역탕]

治傷寒陰證 要藥也

凡三陰脈之身痛並用 又治四肢逆冷

甘草灸24g 乾薑炮20g 附子生1

左分2貼 水煎服(正傳).

상한음증(傷寒陰證) 치료에 중요한 약인데

대체로 3음맥이 지()하고 몸이 아픈 것과 팔다리가 싸늘한 것을 치료한다.

감초(닦은 것) 24g, 건강(싸서 구운 것) 20g, 생부자 1.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木瓜丸][모과환]  (0) 2023.03.23
[半粟散][반속산]  (0) 2023.03.23
[四順理中丸][사순이중환]  (0) 2023.03.22
[四順元][사순원]  (0) 2023.03.22
[四順理中湯][사순이중탕]  (0) 2023.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