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金消癖丸][천금소벽환]

治小兒癖壞

水紅花子微炒 神曲麥芽炒 各16g

人蔘 白朮 白茯 12g

使君子 胡黃連 山査肉 香附子 三菱 蓬朮並醋炒 各8g

蘆薈 阿魏 靑黛 木香 檳榔 厚朴 陳皮 甘草 4g

將阿魏硏 水和麪打糊和丸菉豆大 白湯下3040(回春)

어린이의 벽괴(癖塊)를 치료한다.

수홍화자(약간 닦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16g,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g,

사군자, 호황련, 찔광이(산사), 향부자, 삼릉, 봉출(모두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8g,

노회, 아위, 청대, 목향, 빈랑, 후박,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4g.

위의 약에서 먼저 아위를 물에 갈아서 나머지 약들을 가루낸 것과 함께

밀가루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胃養脾湯][청위양비탕]  (0) 2023.03.15
[化癖如神散][화벽여신산]  (2) 2023.03.15
[廣朮化癖丸][광출화벽환]  (2) 2023.03.14
[六味三菱丸][육미삼릉환]  (0) 2023.03.14
[紫霜丸][자상환]  (0) 2023.03.13

[廣朮化癖丸][광출화벽환]

治乳癖 食癥

木香20g

代赭石煆醋淬, 當歸炒, 朱砂硏, 枳殼炒, 三菱, 蓬朮並炮 各10g

麝香, 巴豆霜 5g

爲末 麪糊和 丸麻子大 一歲兒米飮下23(丹心).

유벽(乳癖)과 식징()을 치료한다.

목향 20g,

대자석(달구어 식초에 담근 것), 당귀(닦은 것), 주사(간 것),  지각(닦은 것), 봉출, 삼릉(모두 싸서 구운 것) 각각 10g,

사향, 파두상 각각 5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2-3알씩 미음으로 먹인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化癖如神散][화벽여신산]  (2) 2023.03.15
[千金消癖丸][천금소벽환]  (2) 2023.03.14
[六味三菱丸][육미삼릉환]  (0) 2023.03.14
[紫霜丸][자상환]  (0) 2023.03.13
[白玉餠][백옥병]  (0) 2023.03.13

[六味三菱丸][육미삼릉환]

治未喫食 小兒有癖積者

蓬朮 三菱並煨 神曲 麥芽並炒 靑皮 陳皮 各等

爲末 麪糊和 丸菉豆大 白湯下 1020(丹心).

밥을 먹지 못하는 어린이가 벽과 적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봉출, 삼릉(모두 잿불에 묻어 구운 것),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모두 닦은 것),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20알씩 끓인 물로 먹인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千金消癖丸][천금소벽환]  (2) 2023.03.14
[廣朮化癖丸][광출화벽환]  (2) 2023.03.14
[紫霜丸][자상환]  (0) 2023.03.13
[白玉餠][백옥병]  (0) 2023.03.13
[玉餠子][옥병자]  (0) 2023.03.13

[紫霜丸][자상환]

治食癎及腹中有食積 痰癖 吐哯乳(音顯 不嘔而吐也).

代赭石醋淬七次 赤石脂40g 巴豆30粒去皮油 杏仁50箇去皮尖

爲先 將杏仁泥 巴豆霜 入二石(赤石 赭石)末 相和 搗千杵

若更入少蜜貯蜜器中 月內兒 服麻子大 一粒 乳汁化下 百日內服小豆大.

식간(食癎)과 뱃속에 있는 식적(食積), 담벽(痰癖)이 있어서 젖을 토하는 것(소리는 있고 구역은 없으면서 토한다)을 치료한다.

대자석(식초에 일곱번 담갔다 낸 것), 적석지 각각 40g,

파두 30(껍질과 기름을 버린 것),

살구씨(행인) 50(껍질과 끝을 버린 것).

위의 약들에서 먼저 살구씨와 파두상을 풀지게 짓찧은 데다 대자석과 적석지를 가루내어 넣고 섞은 다음 오랫동안 짓찧는데 만일 되면 꿀을 조금 넣는다.

이것을 약 기운이 새 나가지 않는 그릇에 담아 두고 쓴다.

한 달 미만의 어린이에게는 삼씨만하게 1알을 젖에 풀어 먹인다.

100일 전의 어린이에게는 팥알만하게 1알을 먹인다.

 

食癎用此 取積並不虛人.

凡兒愉悅不欲飮乳 眠睡不寧 常常驚悸 此皆發癎之

漸卽以此藥導之 減 其盛熱則無驚風 釣癎之患矣(入門).

식간에 이 약을 쓰면 적만 없어지고 몸은 허약해지지 않는다.

대개 어린이가 열이 있으면서 젖을 먹으려고 하지 않고 잠을 잘 자지 않으며 자주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은 모두 간질이 점차 발작하려는 징조이므로 곧 이 약으로 풀려 나가게 해서 심한 증세를 덜어 주면 경풍(驚風), 천조풍(天弔風), 간질(癎疾) 등이 발생할 염려가 없다[입문].

 

一方 赭石8g 巴豆21粒 去皮油 杏仁21箇 爲末 飯丸粟米大(錢乙).

어떤 처방에는 대자석 8g, 파두 21(껍질과 기름을 버린 것), 살구씨 21알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좁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고 하였다[전을].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廣朮化癖丸][광출화벽환]  (2) 2023.03.14
[六味三菱丸][육미삼릉환]  (0) 2023.03.14
[白玉餠][백옥병]  (0) 2023.03.13
[玉餠子][옥병자]  (0) 2023.03.13
[白餠子][백병자]  (0) 2023.03.13

[白餠子][백병자]

腹中有癖 則不食但飮乳 此主之

滑石 輕粉 白附子 南星炮 各4g

爲末 巴豆24粒去皮膜 1升 煮水盡爲度 共硏勻 糯米飯和丸如菉

豆大 捏作餠子 3歲以下12 3歲以上35餠 葱白湯下(錢氏).

人乳 味甘戀膈易於停積 小兒之病 多繫於此 此方南星 以豁痰,

輕粉 滑石 以瀉濕熱, 巴豆 去積 所以爲妙(丹心).

一名,  [玉餠子]

一名,  [白玉餠](入門).

뱃속에 벽이 있어서 밥을 먹지 않고 다만 젖만 먹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경분,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4g(가루낸다),

파두 24(껍질과 막을 버리고 물 1되를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다).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찹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납작하게 떡처럼 만든다. 3살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1-2개씩, 3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3-5개씩 파밑(총백) 달인 물로 먹인다[전씨].

사람의 젖은 맛이 달고 잘 내리지 않아서[膈易於停] ()이 되기 쉬우므로 어린이의 병은 대개 이와 관련된다.

이 처방에서 천남성은 담을 헤치고 경분, 곱돌(활석) 등은 습열을 내리며 파두로는 적을 없애기 때문에 묘한 것이다[단심].

일명 옥병자(玉餠子)라고도 하고 또는 백옥병(白玉餠)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味三菱丸][육미삼릉환]  (0) 2023.03.14
[紫霜丸][자상환]  (0) 2023.03.13
[玉餠子][옥병자]  (0) 2023.03.13
[白餠子][백병자]  (0) 2023.03.13
[厚腸丸][후장환]  (0) 2023.03.13

[白餠子][백병자]

腹中有癖 則不食但飮乳 此主之

滑石 輕粉 白附子 南星炮 各4g

爲末 巴豆24粒去皮膜 1升 煮水盡爲度 共硏勻 糯米飯和丸如菉

豆大 捏作餠子 3歲以下12 3歲以上35餠 葱白湯下(錢氏).

人乳 味甘戀膈易於停積 小兒之病 多繫於此 此方南星 以豁痰,

輕粉 滑石 以瀉濕熱, 巴豆 去積 所以爲妙(丹心).

一名,  [玉餠子]

一名,  [白玉餠](入門).

뱃속에 벽이 있어서 밥을 먹지 않고 다만 젖만 먹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경분,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4g(가루낸다),

파두 24(껍질과 막을 버리고 물 1되를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다).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찹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납작하게 떡처럼 만든다. 3살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1-2개씩, 3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3-5개씩 파밑(총백) 달인 물로 먹인다[전씨].

사람의 젖은 맛이 달고 잘 내리지 않아서[膈易於停] ()이 되기 쉬우므로 어린이의 병은 대개 이와 관련된다.

이 처방에서 천남성은 담을 헤치고 경분, 곱돌(활석) 등은 습열을 내리며 파두로는 적을 없애기 때문에 묘한 것이다[단심].

일명 옥병자(玉餠子)라고도 하고 또는 백옥병(白玉餠)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霜丸][자상환]  (0) 2023.03.13
[白玉餠][백옥병]  (0) 2023.03.13
[白餠子][백병자]  (0) 2023.03.13
[厚腸丸][후장환]  (0) 2023.03.13
[七聖丸][칠성환]  (0) 2023.03.12

[白餠子][백병자]

腹中有癖 則不食但飮乳 此主之

滑石 輕粉 白附子 南星炮 各4g

爲末 巴豆24粒去皮膜 1升 煮水盡爲度 共硏勻 糯米飯和丸如菉

豆大 捏作餠子 3歲以下123歲以上35餠 葱白湯下(錢氏).

人乳 味甘戀膈易於停積 小兒之病 多繫於此 此方南星 以豁痰,

輕粉 滑石 以瀉濕熱, 巴豆 去積 所以爲妙(丹心).

一名,  [玉餠子]

一名,  [白玉餠](入門).

뱃속에 벽이 있어서 밥을 먹지 않고 다만 젖만 먹는 것을 치료한다.

곱돌(활석), 경분, 노랑돌쩌귀(백부자), 천남성(싸서 구운 것) 각각 4g(가루낸다),

파두 24(껍질과 막을 버리고 물 1되를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졸인다).

위의 약들을 고루 갈아서 찹쌀밥으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납작하게 떡처럼 만든다. 3살 이전의 어린이에게는 1-2개씩, 3살 이후의 어린이에게는 3-5개씩 파밑(총백) 달인 물로 먹인다[전씨].

사람의 젖은 맛이 달고 잘 내리지 않아서[膈易於停] ()이 되기 쉬우므로 어린이의 병은 대개 이와 관련된다.

이 처방에서 천남성은 담을 헤치고 경분, 곱돌(활석) 등은 습열을 내리며 파두로는 적을 없애기 때문에 묘한 것이다[단심].

일명 옥병자(玉餠子)라고도 하고 또는 백옥병(白玉餠)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玉餠][백옥병]  (0) 2023.03.13
[玉餠子][옥병자]  (0) 2023.03.13
[厚腸丸][후장환]  (0) 2023.03.13
[七聖丸][칠성환]  (0) 2023.03.12
[進食丸][진식환]  (0) 2023.03.12

[厚腸丸][후장환]

治乳食積 腹脹瘦弱

枳實 麥芽 神曲末各2g

橘紅 半夏 蒼朮 人蔘 厚朴 靑皮1g

爲末 麪糊和 丸麻子大 溫水下 2030(東垣).

유적과 식적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여위며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지실, 보리길금(맥아), 약누룩(신국)가루 각각 2g,

귤홍, 끼무릇(반하), 삽주(창출), 인삼, 후박, 선귤껍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더운물로 먹인다[동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餠子][옥병자]  (0) 2023.03.13
[白餠子][백병자]  (0) 2023.03.13
[七聖丸][칠성환]  (0) 2023.03.12
[進食丸][진식환]  (0) 2023.03.12
[天乙丸][천을환]  (0) 2023.03.10

[七聖丸][ 칠성환]

治乳食積

三菱 蓬朮 川練子 靑皮 陳皮 芫花 杏仁泥 各等分

以先用醋浸芫花一宿炒漸乾 次入蓬菱同炒赤色

又入陳練再炒令微焦 取出

爲末 入杏仁泥和勻醋糊和丸 黍米大

一歲兒 常服2丸 臨臥溫湯 送下.

使日間所食之物 一夜而化 永無疳疾 能使黃瘦子頓作化 生兒(湯氏).

유적(乳積)과 식적(食積)을 치료한다.

삼릉, 봉출,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 선귤껍질, 귤껍질(陳皮), 원화, 살구씨(행인, 풀지게 간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에서 먼저 원화를 하룻밤 식초에 담갔다가 볶아서 약간 말린다.

그 다음 삼릉과 봉출을 넣고 벌겋게 되도록 닦은 다음

또 귤껍질(陳皮)과 멀구슬나무열매(고련실)를 넣고 다시 닦아서 약간 검누르면 꺼낸다.

이것을 가루내어 살구씨를 풀지게 간 것과 함께 섞어서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한번에 2알씩 잠잘 무렵에 더운물로 먹이면 낮에 먹은 음식이

하룻밤 사이에 소화되어 영영 감질이 없어지고 누르고 여위었던 아이가 딴 아이로 된다[탕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餠子][백병자]  (0) 2023.03.13
[厚腸丸][후장환]  (0) 2023.03.13
[進食丸][진식환]  (0) 2023.03.12
[天乙丸][천을환]  (0) 2023.03.10
[小兒淸心丸][소아청심환]  (0) 2023.03.10

[進食丸][진식환]

治癖積

木香 枳殼 當歸 代赭石 朱砂 12g, 巴豆霜4g, 麝香2g

爲末 麪糊和 丸黍米大 一歲兒取23丸 米飮呑下(局方).

벽과 적을 삭힌다.

목향, 지각, 당귀, 대자석, 주사 각각 12g, 파두상 4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1살 난 어린이에게는 2-3알씩 미음으로 먹인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厚腸丸][후장환]  (0) 2023.03.13
[七聖丸][칠성환]  (0) 2023.03.12
[天乙丸][천을환]  (0) 2023.03.10
[小兒淸心丸][소아청심환]  (0) 2023.03.10
[地骨皮散][지골피산]  (0) 2023.03.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