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消積丸][소적환]

治乳食傷積 腹脹氣急

丁香, 縮砂 各十二箇

烏梅肉, 巴豆肉 各三箇

使君子肉五箇

右爲末飯丸麻子大每三丸

或五丸橘皮湯下[入門]

젖과 음식에 체해서 적이 되고 배가 창만하여 숨이 찬 것을 치료한다.

정향, 사인 각각 12,

오매살, 파두살 각각 3,

사군자육 5.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밥으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5알씩 귤껍질 달인 물로 먹인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盤丸][안충환]  (0) 2023.04.07
[安蟲散][안충산]  (0) 2023.04.07
[消食散][소식산]  (0) 2023.04.06
[乳香散][유향산]  (0) 2023.04.05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0) 2023.04.04

[消食散][소식산]

消食散

治食積腹痛

白朮 陳壁土炒 二錢半

麥芽, 縮砂, 山査肉 各一錢

橘紅, 香附米, 神麴, 靑皮 各七分

甘草五分

右爲末每一錢 米飮調下 或犫取二錢, 入薑三片 煎服亦可[醫鑑]

식적(食積)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묵은 벽흙과 함께 닦은 것) 10g,

보리길금(맥아), 사인, 찔광이(산사) 각각 4g,

귤홍, 향부자, 약누룩(신국), 선귤껍질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 먹이거나 썰어서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여도 좋다[의감].  

 

[消食散][소식산]

消蝕散

消蝕惡肉 淫盤歛骨

先用洗瘡方然後付此藥

白礬枯一兩

綠礬枯, 雄黃, 乳香, 檎脂, 遠志 各一錢

右爲末 蜜水硏 膏付惡肉 上麻 油調亦得[直指]

궂은 살을 없애고 벌레를 죽이며 썩은 뼈를 녹여낸다.

먼저 헌데를 씻는 약으로 씻은 다음에 이 약을 붙여야 한다.

백반(구운 것) 40g,

녹반(구운 것), 석웅황(웅황), 유향, 연지, 원지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물에 개서 궂은 살에 붙인다.

참기름에 개어 붙여도 좋다[직지].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蟲散][안충산]  (0) 2023.04.07
[消積丸][소적환]  (0) 2023.04.06
[乳香散][유향산]  (0) 2023.04.05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0) 2023.04.04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2) 2023.04.04

[乳香散][유향산]

治盤腸 內吊腹痛

乳香 沒藥 各少許

細硏 另取木香一塊

於乳鉢內磨 水一分滾數沸

調乳沒末 服之 只一服 卽效(湯氏)

반장내조(盤腸內弔)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유향, 몰약 각각 조금.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낸다.

따로 목향 1덩이를 유발에 넣고 갈아서 물에 두고 두어 서너번 끓어오르게 끓인 다음

유향과 몰약가루를 타 먹이되 한번만 먹여도 효과가 난다[탕씨].

 

[乳香散][유향산]

治赤口瘡

乳香, 沒藥 各一錢

白礬半錢

銅綠少許

右爲末敄之[綱目]

입 안이 벌겋게 허는 것을 치료한다.

유향, 몰약 각각 4g, 백반 2g,

동록 적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뿌린다[강목].

 

[乳香散][유향산]

治 打撲傷損 痛不可忍

白朮炒, 當歸炒, 白芷, 桂皮, 乳香, 沒藥, 甘草 各等分

右爲末每二錢溫酒調下[得效]

타박(打撲)을 받아 상하여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닦은 것), 당귀(닦은 것), 구릿대(백지), 계피, 유향, 몰약,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득효].

 

[乳香散][유향산]

治 杖瘡腫痛

自然銅火禭醋柒七次, 當歸 各五錢

茴香四錢,

乳香, 沒藥 各三錢

右末每三錢溫酒調下[精要]

매맞은 자리가 헐고 부으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자연동(불에 달구었다가 식초에 담그기를 7번 한 것), 당귀 각각 20g,

회향 16g,

유향, 몰약 각각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서 먹는다[정요].

 

[乳香散][유향산]

乳香二錢水一盞煎服[丹心]

유향 8g을 물 1잔에 넣고 달여 먹인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消積丸][소적환]  (0) 2023.04.06
[消食散][소식산]  (0) 2023.04.06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0) 2023.04.04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2) 2023.04.04
[小駐車元][소주거원]  (0) 2023.04.04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설사와 이질에 대한 한 가지 처방]

治瀉痢

五倍子炒黃爲末, 烏梅肉水浸, 和丸彈子大

每一丸 白痢 米飮下, 赤痢 薑湯下 水瀉 冷水下[回春]

설사와 이질을 치료한다.

오배자를 누렇게 닦아서 가루내어 물에 담근 오매살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쓰되 백리(白痢)에는 미음으로 먹이고

적리에는 생강 달인 물로 먹이며 물만 설사하는 데는 찬물로 먹인다[회춘].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消食散][소식산]  (0) 2023.04.06
[乳香散][유향산]  (0) 2023.04.05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2) 2023.04.04
[小駐車元][소주거원]  (0) 2023.04.04
[感應元][감응원]  (0) 2023.04.03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治赤白痢 及諸痢

楾粟殼一錢, 甘草九分, 白芍藥八分, 木香七分, 訶子六分,

肉桂, 人參, 當歸, 白朮, 肉豆埼 各三分

右犫 作一貼 空心 水煎溫服[入門]

적백리와 그 밖의 여러 가지 이질도 다 치료한다.

앵속각 4g, 감초 3.6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3.2g, 목향 2.8g, 가자 2.4g,

육계, 인삼, 당귀, 흰삽주(백출), 육두구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乳香散][유향산]  (0) 2023.04.05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0) 2023.04.04
[小駐車元][소주거원]  (0) 2023.04.04
[感應元][감응원]  (0) 2023.04.03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3.04.03

[小駐車元][소주거원]

治赤白痢

黃蓮三兩, 阿膠珠一兩半, 當歸一兩, 乾薑五錢

右爲末 醋糊和 丸梧子大

空心 米飮下三五十丸[入門].

적백리를 치료한다.

황련 120g, 아교주 60g, 당귀 40g, 건강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0) 2023.04.04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2) 2023.04.04
[感應元][감응원]  (0) 2023.04.03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3.04.03
[蘇感元][소감원]  (0) 2023.04.03

[感應元][감응원]

治 積痢 久痢 赤白膿血相雜

肉豆埼氖, 白薑礐, 百草霜 各二兩

木香一兩半

禕澄茄, 三稜礐, 丁香 各一兩

巴豆百粒 去皮心膜 去油爲霜

杏仁百粒去皮尖 雙仁掦炒嶽硏

酒煮 蠟四兩

淸油一兩

右七味爲細末 入巴豆 杏仁末 先將油煎蠟 令熔化 拌和藥末

成劑每一兩分 作十錠 每一錠米飮 調服 或作丸 菉豆大 白湯呑下十丸[得效]

적리(赤痢)와 구리(久痢), 적백리(赤白痢)로 대변에 피곱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건강(싸서 구운 것), 백초상 각각 80g,

목향 60g,

필징가, 삼릉(싸서 구운 것), 정향 각각 40g,

파두 1백알(껍질과 막, 심을 버리고[去皮心膜] 기름을 빼서 상()을 만든다).

살구씨(행인) 1백알(꺼풀과 끝과 두알들이를 버리고 밀기울과 함께 볶아서 따로 간다),

술에 달인 황랍 160g,

참기름 40g.

위의 7가지 약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파두와 살구씨가루를 넣고 섞는다.

그리고 먼저 참기름을 달이다가 황랍을 넣어 녹인 다음

위의 약가루를 넣고 반죽하여 4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또는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0알씩 끓인 물로 먹어도 된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2) 2023.04.04
[小駐車元][소주거원]  (0) 2023.04.04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3.04.03
[蘇感元][소감원]  (0) 2023.04.03
[六神丸][육신환]  (0) 2023.04.03

[蘇合香元][소합향원]

治一切氣疾 及中氣 上氣 氣逆 氣鬱 氣痛

白朮, 木香, 沈香, 麝香, 丁香, 安息香, 白檀香, 朱砂(水飛半爲衣)

犀角, 訶子皮, 香附子, 禕撥 各二兩

蘇合油(入安息香膏內), 乳香, 龍腦 各一兩

右細末用 安息香膏 幷煉蜜 搜和千宭 每一兩分 作四十丸

每取二三丸 井華水 或 溫水 溫酒 薑湯化服[局方]

일체 기병(氣病)과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로 생긴 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水飛)하여 절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각 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안식향고를 섞은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 짓찧어서 40g으로 40알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깨끗한 물이나 따뜻한 물 또는 데운 술,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駐車元][소주거원]  (0) 2023.04.04
[感應元][감응원]  (0) 2023.04.03
[蘇感元][소감원]  (0) 2023.04.03
[六神丸][육신환]  (0) 2023.04.03
[黃蓮阿膠元][황련아교원]  (0) 2023.04.02

[蘇感元][소감원]

積痢腹內緊痛

蘇合香元 4 + 感應元 6 硏勻 丸菉豆大 米飮下30(得效).

적리로 뱃속이 몹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향소합원 4, 감응원(感應元) 6 비율로 넣고 갈아서 고루 섞어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득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感應元][감응원]  (0) 2023.04.03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3.04.03
[六神丸][육신환]  (0) 2023.04.03
[黃蓮阿膠元][황련아교원]  (0) 2023.04.02
[益元散][익원산]  (0) 2023.04.02

[六神丸][육신환]

治諸痢要藥

黃連 木香 枳殼 赤茯苓 神麴麥芽各等分

爲末 神麴糊和丸 梧子大

5070丸 赤痢 甘草湯下,

白痢 乾薑湯下, 赤白痢 乾薑甘草湯下(入門).

여러 가지 이질을 치료할 때에 꼭 있어야 할 약이다.

황련, 목향, 지각, 벌건솔풍령(적복령), 약누룩(신국, 닦은 것),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약누룩으로 쑨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적리(赤痢)에는 감초를 달인 물로

백리에는 건강을 달인 물로, 적백리에는 건강과 감초를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3.04.03
[蘇感元][소감원]  (0) 2023.04.03
[黃蓮阿膠元][황련아교원]  (0) 2023.04.02
[益元散][익원산]  (0) 2023.04.02
[固腸丸][고장환]  (0) 2023.04.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