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消食散][소식산]

消食散

治食積腹痛

白朮 陳壁土炒 二錢半

麥芽, 縮砂, 山査肉 各一錢

橘紅, 香附米, 神麴, 靑皮 各七分

甘草五分

右爲末每一錢 米飮調下 或犫取二錢, 入薑三片 煎服亦可[醫鑑]

식적(食積)으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묵은 벽흙과 함께 닦은 것) 10g,

보리길금(맥아), 사인, 찔광이(산사) 각각 4g,

귤홍, 향부자, 약누룩(신국), 선귤껍질 각각 2.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미음에 타 먹이거나 썰어서 한번에 8g씩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여도 좋다[의감].  

 

[消食散][소식산]

消蝕散

消蝕惡肉 淫盤歛骨

先用洗瘡方然後付此藥

白礬枯一兩

綠礬枯, 雄黃, 乳香, 檎脂, 遠志 各一錢

右爲末 蜜水硏 膏付惡肉 上麻 油調亦得[直指]

궂은 살을 없애고 벌레를 죽이며 썩은 뼈를 녹여낸다.

먼저 헌데를 씻는 약으로 씻은 다음에 이 약을 붙여야 한다.

백반(구운 것) 40g,

녹반(구운 것), 석웅황(웅황), 유향, 연지, 원지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물에 개서 궂은 살에 붙인다.

참기름에 개어 붙여도 좋다[직지].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蟲散][안충산]  (0) 2023.04.07
[消積丸][소적환]  (0) 2023.04.06
[乳香散][유향산]  (0) 2023.04.05
[治瀉痢一方][치사리일방]  (0) 2023.04.04
[眞人養臟湯][진인양장탕]  (2) 2023.04.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