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蓮阿膠元][황련아교원]

治赤白痢 及熱痢

黃蓮120g,  赤茯苓80g

爲末 水調 阿膠炒末40g 和丸梧子大

空心 米飮下3050(局方).

적백리와 열리(熱痢)를 치료한다.

황련 120g, 벌건솔풍령(적복령)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닦아 가루낸 갖풀(아교) 40g과 함께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빈속에 미음으로 먹는다[국방].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感元][소감원]  (0) 2023.04.03
[六神丸][육신환]  (0) 2023.04.03
[益元散][익원산]  (0) 2023.04.02
[固腸丸][고장환]  (0) 2023.04.01
[黃芩湯][황금탕]  (0) 2023.04.01

[益元散][익원산]

治中暑 身熱 吐瀉 腸抌 下痢 赤白弐閉

砄胃中積聚寒熱 宣積氣

通九竅六府 生津液 去留結 消蓄水

止渴 除煩 大養脾腎之氣 解百藥酒食邪毒

滑石六兩

甘草灸一兩

右細末每三錢 溫蜜水調服 欲冷飮者 井水調下[宣明].

더위먹어[中暑] 몸에서 열이 나며 토하고 설사하며

적백이질(赤白痢疾)이 있고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위 속의 적취(積聚)와 한열(寒熱)을 씻어내며 뭉친 기[積氣]를 헤치고

9(九竅)6(六府)를 통하게 하며 진액을 생기게 하고

맺힌 것[留結]을 헤치며[] 쌓인 물[蓄水]을 삭아지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답답증[]을 없애고 비신(脾腎)의 기를 크게 보하며

여러 가지 약, , 음식 등의 중독을 풀어 준다.

곱돌(활석) 240g,

감초(닦은 것)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따뜻한 꿀물에 타 먹는다.

찬 것을 먹고 싶으면 찬물에 타 먹는다[선명].

 

一名 [六一散], 一名 [天水散], 一名 [神白散]

因寒吐瀉 反胃 加 乾薑五錢 名曰, [溫六丸]

濕熱泄瀉 加 紅塂五錢 名曰 [淸六丸]

俱以陳米 飯作丸 梧子大 白湯呑下五七十丸[入門]

일명 육일산(六一散), 천수산(天水散) 또는 신백산(神白散)이라고도 한다.

찬 탓으로 토하고 설사하며[吐瀉] 반위증(反胃證)이 된 데는

건강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온륙환(溫六丸)이라고 한다.

습열(濕熱)로 설사하면 홍곡 20g을 더 넣는데 이름은 청륙환(淸六丸)이라고 한다.

묵은 쌀밥(陳米飯)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神丸][육신환]  (0) 2023.04.03
[黃蓮阿膠元][황련아교원]  (0) 2023.04.02
[固腸丸][고장환]  (0) 2023.04.01
[黃芩湯][황금탕]  (0) 2023.04.01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0) 2023.04.01

[固腸丸][고장환]

治泄痢日久 滑數瘦弱 以此澁之

龍骨 附子炮 枯白礬 訶子皮 各40g

丁香 良薑 赤石脂 白豆蔲 縮砂 各20g,  木香12g

爲末 醋糊和 丸梧子大 粟米飮下 30(入門).

설사가 생긴 지 오래되어 줄줄 나가고[泄痢] 몸이 여위며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용골, 부자(싸서 구운 것), 고백반, 가자피 각각 40g,

정향, 양강, 적석지, 백두구, 사인 각각 20g, 목향 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醋糊)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좁쌀미음(粟米飮)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蓮阿膠元][황련아교원]  (0) 2023.04.02
[益元散][익원산]  (0) 2023.04.02
[黃芩湯][황금탕]  (0) 2023.04.01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0) 2023.04.01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23.03.31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治下痢膿血 身熱腹痛 脈洪數

黃芩 白芍藥 各8g, 甘草4g

剉作一貼 水煎服 腹痛加桂心1g(丹心).

一名, [黃芩湯]

이질로 피곱이 나오고 몸에 열이 나며 배가 아프고 맥이 홍(), ()한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배가 몹시 아프면 계심 1.2g을 넣어 쓴다[단심].

일명 황금탕(黃芩湯)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元散][익원산]  (0) 2023.04.02
[固腸丸][고장환]  (0) 2023.04.01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0) 2023.04.01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23.03.31
[獨參湯][독삼탕]  (0) 2023.03.31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治下痢膿血 身熱腹痛 脈洪數

黃芩 白芍藥 各8g, 甘草4g

剉作一貼 水煎服 腹痛加桂心1g(丹心).

一名, [黃芩湯]

이질로 피곱이 나오고 몸에 열이 나며 배가 아프고 맥이 홍(), ()한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배가 몹시 아프면 계심 1.2g을 넣어 쓴다[단심].

일명 황금탕(黃芩湯)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固腸丸][고장환]  (0) 2023.04.01
[黃芩湯][황금탕]  (0) 2023.04.01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23.03.31
[獨參湯][독삼탕]  (0) 2023.03.31
[血竭散][혈갈산]  (0) 2023.03.31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治一切癰疽 無名惡瘡 能內托令自消

天花粉二錢

穿山甲, 蛤粉炒, 赤芍藥, 甘草節 各一錢

防風, 白芷, 爣角刺, 金銀花, 陳皮 各七分

當歸尾, 貝母, 乳香 各五分

右犫作一貼 好酒一大碗煎服[丹心]

여러 가지 옹저와 원인 모를 악창을 치료하는데 내탁하여 저절로 삭게 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8g,

천산갑(조가비가루와 함께 닦은 것),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마디) 각각 4g,

방풍, 구릿대(백지), 주염나무가시(조각자), 금은화, 귤껍질(陳皮) 각각 2.8g,

당귀(잔뿌리), 패모, 유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좋은 술 1사발에 넣어 달여 먹는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芩湯][황금탕]  (0) 2023.04.01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0) 2023.04.01
[獨參湯][독삼탕]  (0) 2023.03.31
[血竭散][혈갈산]  (0) 2023.03.31
[奪命散][탈명산]  (0) 2023.03.31

[奪命散][탈명산]

治傷寒壞證 昏沈垂死

或陰陽一證 不明過經 不解及

或因誤服藥 困重垂死 一切危急之證

好人參一兩犫 作一服 水二升 於銀石器 內煎至一升 去滓以新水沈冷一服

而盡汗自鼻梁上出涓涓 如水是藥之效也

一名, [獨參湯][丹心]

상한괴증(傷寒壞證)으로 정신이 흐릿하여 죽을 것 같고

혹 음증과 양증이 명확치 못한 것과 과경(過經)이 되어도 낫지 않는 것과

혹 잘못 치료하여 죽게 된 것 등 일체 위급한 증상들을 치료한다.

좋은 인삼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 2되를 둔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달여

1되가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새로 길어온 물에 채워 식힌 다음 한번에 먹는다.

콧등에서 땀이 줄줄 흘러내리면 약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일명 독삼탕(獨蔘湯)이라고도 한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芩芍藥湯][황금작약탕]  (0) 2023.04.01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23.03.31
[血竭散][혈갈산]  (0) 2023.03.31
[奪命散][탈명산]  (0) 2023.03.31
[一捻金][일념금]  (0) 2023.03.30

[奪命散][탈명산]

治血暈晨妄

沒藥, 血竭 各等分

右爲末 每三錢以童便 好酒各半盞 煎數沸調服 神效

一名, [血竭散][丹心]

혈훈으로 헛소리하는 것을 치료한다.

몰약, 혈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좋은 술 반 잔을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데다 타 먹으면 곧 효과가 있다.

일명 혈갈산(血竭散)이라고도 한다[단심].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23.03.31
[獨參湯][독삼탕]  (0) 2023.03.31
[奪命散][탈명산]  (0) 2023.03.31
[一捻金][일념금]  (0) 2023.03.30
[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0) 2023.03.30

[奪命散][탈명산]

治急喉閉枯

白礬, 白召蠶炒, 鵬砂, 爣角 各等分

右爲末 吹少許入喉中 痰出卽差[丹心]

급성후폐증을 치료한다.

백반(구운 것), 백강잠(닦은 것), 붕사, 주염열매(조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목 안에 조금씩 불어넣으면 가래가 나오고 곧 낫는다[단심].

 

[奪命散][탈명산]

治血暈晨妄

沒藥, 血竭 各等分

右爲末 每三錢以童便 好酒各半盞 煎數沸調服 神效

一名, [血竭散][丹心]

혈훈으로 헛소리하는 것을 치료한다.

몰약, 혈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좋은 술 반 잔을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데다 타 먹으면 곧 효과가 있다.

일명 혈갈산(血竭散)이라고도 한다[단심].

 

[奪命散][탈명산]

治傷寒壞證 昏沈垂死

或陰陽一證 不明過經 不解及

或因誤服藥 困重垂死 一切危急之證

好人參一兩犫 作一服 水二升 於銀石器 內煎至一升 去滓以新水沈冷一服

而盡汗自鼻梁上出涓涓 如水是藥之效也

一名, [獨參湯][丹心]

상한괴증(傷寒壞證)으로 정신이 흐릿하여 죽을 것 같고

혹 음증과 양증이 명확치 못한 것과 과경(過經)이 되어도 낫지 않는 것과

혹 잘못 치료하여 죽게 된 것 등 일체 위급한 증상들을 치료한다.

좋은 인삼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 2되를 둔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달여

1되가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새로 길어온 물에 채워 식힌 다음 한번에 먹는다.

콧등에서 땀이 줄줄 흘러내리면 약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일명 독삼탕(獨蔘湯)이라고도 한다[단심].

 

[奪命散][탈명산]

治金刃所傷及從 高墮落 木石壓損瘀 血瘀積心腹痛 二便不通

水蛭以石灰拌炒焦五錢

大黃, 黑牽牛頭末 各二兩

右爲末 每取二錢 熱酒調下 過數時無效 再用一服 以下惡血爲度[得效]

날이 선 쇠붙이에 상하였거나 높은 데서 떨어져 상하였거나

나무나 돌에 깔려서 상하여 어혈(瘀血)이 생긴 것과

어혈로 적()이 생겨 명치가 아프고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거머리(수질, 석회와 같이 눋도록 닦은 것[炒焦]) 20g,

대황, 나팔꽃 검은씨(흑견우, 맏물가루)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따끈한 술에 타서 먹고 2시간 정도 지나서

효과가 없으면 다시 설사로 궂은 피가 나올 때까지 먹어야 한다[득효].

 

[奪命散][탈명산]

治 卒中風涎潮 氣塞口夝目琌 破傷風紩媛 小兒驚風 危急之疾

天南星, 㴿熖嵫, 白芷, 半夏, 巴豆去殼不去油 各等分

右爲末 每半錢 薑汁一稨調下 卽效

凡口夝 藥不下者 宜用此[醫鑑]

갑자기 풍을 맞아서 침을 흘리고 기가 막히며 이를 악물고 눈을 곧추 보는 것과

파상풍(破傷風)으로 경련이 이는 것, 어린이의 경풍 등의 위급한 병을 치료한다.

천남성, 꽃다지씨(정력자), 구릿대(백지), 끼무릇(반하), 파두(껍질은 버리고 기름은 빼지 않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2g씩 생강즙 한 모금에 타서 먹으면 낫는다.

이를 악물어서 약을 먹일 수 없을 때에는 반드시 이 약을 써야 한다[의감].

大能控風痰不問 急 慢驚風 痰塞咽喉 其響如潮 名曰 潮涎

百藥不能過咽 命在須臾 但用此藥 入喉

痰則墜下 功有萬全 奪天地之造化也.

靑礞石40g同焰硝40g 入鍋內火煆 待硝盡 候礞石如金色 取用爲細末

急驚風身熱 用薄荷汁入蜜調微溫服

其藥自裹痰墜下 從大便出 如稠涕膠粘 乃藥之功也.

次服 去風退熱 截驚等藥 以靑州白元子再硏爲末

薑汁調前 如糊 熟蜜調下 其涎卽墜入腹 次服蛇蝎 蜈蚣 川烏等藥

此藥治急慢驚 利痰之聖藥 以器盛水 吐痰水上

以藥少許 糝之痰隨藥而下 須用木香湯調下(湯氏)

礞石 雖利痰 非胃家所好

故以木香佐之 能裹痰從大便出 而無糞來 不動藏府 始知藥妙(入門).

풍담을 없애는 힘이 세다.

급경풍이나 만경풍을 물론하고

담이 목구멍에 막혀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데 이것을 조연(潮涎)이라고 한다.

온갖 약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아 생명이 위급한 때에

이 약을 써서 목구멍으로 들어가면 가래가 떨어져 내려가서 낫지 않는 것이 없으니 참으로 신기한 약이다.

청몽석 40g을 염초 40g과 함께 냄비에 넣고 불에 굽는데 염초가 다 녹아 없어지고

청몽석이 금빛으로 된 다음에 꺼낸다.

이것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쓰는데

급경풍으로 몸에 열이 날 때에는 꿀을 넣은 박하즙에 이 약을 타서 약간 따뜻하게 하여 먹이면

그 약이 저절로 담을 싸가지고 대변으로 나가는데 긴 코 같은 것이 나오면 약효가 나는 것이다.

그 다음 풍을 없애고 열을 내리고 경련을 진정시키는 약들을 먹인다.

만경풍이 매우 위중할 때에는 이 약을 쓰되 청주백원자를 넣고 다시 갈아 가루내어

생강즙에 섞어 달여서 풀처럼 된 다음 졸인 꿀을 타서 먹이면 담이 곧 떨어져 뱃속에 들어간다.

그 다음 뱀허물(사퇴), 전갈, 왕지네(오공), 오두 등의 약을 먹인다.

이 약은 급경풍과 만경풍을 치료하는 데서 담을 삭게 하는 좋은 약이다.

그릇에 물을 담고 거기에 토한 담을 넣고 약을 조금 뿌리면 담은 약을 따라 가라앉는다.

이 약은 반드시 목향 달인 물에 타 먹인다[탕씨].

청몽석은 비록 담을 삭게는 하지만 위에는 좋지 않다.

그러므로 목향을 좌약으로 하여 쓰면 담을 싸가지고 대변으로 나가게 하되

너무 세게 나가지 않게 함으로 56부에도 지장이 없다.

때문에 묘한 약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입문].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獨參湯][독삼탕]  (0) 2023.03.31
[血竭散][혈갈산]  (0) 2023.03.31
[一捻金][일념금]  (0) 2023.03.30
[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0) 2023.03.30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23.03.30

[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治小兒 肺脹胸滿 喘粗氣急 兩脇扇動

兩鼻竅張 痰涎潮塞 悶亂喘喝 死在朝夕

白丑半生半熟 黑丑半生半熟 取頭末各20g 大黃40g 檳榔10g 木香6g

爲末 入輕粉一字 和勻 每取4g8g 蜜水調下 微利爲度(丹心).

一名, [一捻金](醫鑒).

어린이가 폐가 창만하여 가슴이 그득하며 숨이 차서 양쪽 갈비가 들먹거리며

양쪽 콧날개가 벌름거리고 담연이 끓으면서 막히고 속이 답답하여 견딜 수 없으며

목이 막혀서 곧 죽게 된 것을 치료한다.

나팔꽃흰씨(백축, 절반은 생것, 절반은 익힌 것), 나팔꽃검은씨(흑축, 절반은 생 것, 절반은 익힌 것), 맏물가루 각각 20g,

대황 40g, 빈랑 10g, 목향 6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경분 1g과 고루 섞어서

한번에 4-8g씩 꿀물에 타 먹이되 약간 설사날 때까지 먹인다[단심].

일명 일념금(一捻金)이라고도 한다[의감].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竭散][혈갈산]  (0) 2023.03.31
[奪命散][탈명산]  (0) 2023.03.31
[牛黃奪命散][우황탈명산]  (0) 2023.03.30
[馬脾風散][마비풍산]  (0) 2023.03.30
[淸金降火湯][청금강화탕]  (0) 2023.03.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