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金保胎丸][천금보태환]

凡婦人受胎 經三月而墮者 雖氣血不足 乃中衝脈有傷

中衝卽陽明胃脈 供養胎孕 至此時 必須謹節飮食

絶色慾 戒惱怒 服此藥 庶免半産之患矣.

杜冲薑汁炒 白朮土炒 各80g`

當歸酒洗 熟地黃薑汁炒 阿膠蛤粉炒成珠 條芩益母草 續斷酒洗

香附米以酒 醋 塩水 童便各浸一包經三日焙乾 各40g

川芎 艾葉醋煮 陳皮 20g

縮砂10g

爲末 以棗肉和 丸梧子大 每100丸 空心 米飮呑下(醫鑒).  

대개 부인들이 임신 후 3달이 지나서 유산되는 것은

기혈이 부족한데도 관계되나 중충맥(中衝脈)이 상한 데 중요한 원인이 있다.

중충은 즉 양명위맥(陽明胃脈)으로서 태아를 기르는 것이다.

이 시기에 이르면 임신부가 반드시 음식을 알맞게 먹어야 하고

성생활을 하지 말고 고민하거나 성내지 말아야 한다. 이 약을 먹으면 유산될 염려가 없다.

두충(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각각 80g,

당귀(술로 씻은 것), 찐지황(숙지황,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갖풀(아교, 조가비가루와 같이 구슬처럼 되게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익모초, 속단(술로 씻은 것),

향부미(술, 식초, 소금물, 동변에 각각 1몫씩 3일 동안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각각 40g,

궁궁이(천궁), 약쑥(애엽, 식초에 넣고 삶은 것), 귤껍질(陳皮) 각각 20g,

사인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和痛湯][화통탕]  (0) 2021.11.02
[五味安胎丸][오미안태환]  (0) 2021.11.01
[安榮湯][안영탕]  (0) 2021.10.30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0) 2021.10.29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21.10.28

[安榮湯][안영탕]

治胎氣不固 時常 宜以預防固胎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 阿膠珠 香附子 桑寄生 白朮 黃芩 縮砂4g

糯米100

剉作一貼 水煎服(正傳).

태기가 든든치 못하여 때로 유산하려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으로 예방하면 태기를 든든하게 한다.

찐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아교주, 향부자,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흰삽주(백출), 속썩은풀(황금), 사인 각각 4g,

찹쌀 10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味安胎丸][오미안태환]  (0) 2021.11.01
[千金保胎丸][천금보태환]  (0) 2021.10.31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0) 2021.10.29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21.10.28
[安胎丸][안태환]  (0) 2021.10.27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治懷孕 氣血虛弱 不能營養 以致胎漏 每數月而墮

黃芪 當歸 白朮 杜冲 白芍藥 4g

乾薑 阿膠珠 川芎 五味子 木香 人參 甘草 2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一方] 無木香(正傳).

임신부가 기혈이 허약해서 태아를 잘 영양하지 못하여

태루가 생겨 매번 임신 후 2-3달이 되면 유산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당귀, 흰삽주(백출), 두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건강, 아교주, 궁궁이(천궁), 오미자, 목향, 인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어떤 처방에는 목향이 없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千金保胎丸][천금보태환]  (0) 2021.10.31
[安榮湯][안영탕]  (0) 2021.10.30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21.10.28
[安胎丸][안태환]  (0) 2021.10.27
[芩朮湯][금출탕]  (0) 2021.10.26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孕婦 宜服 養血淸熱 素慣半産者 宜服以淸其源 而無後患也.

黃芩 白朮 當歸 川芎 白芍藥40g,

爲末 每12g 溫酒下 或酒糊和丸 米飮下5070(入門).

婦人有孕則碍脾運化 遲而生濕 濕而生熱,

[古人] 用白朮 黃芩 爲安胎之聖藥.

盖白朮 補脾燥濕 黃芩 淸熱故也.

況姙娠 賴血培養 此方 有當歸 川芎 芍藥 以補血尤爲備也.

服此藥 則易産 所生男女 兼無胎毒 則痘疹亦稀 無病易育 而聰明智慧 不假言矣,

累試累驗(丹心).

임신부가 늘 먹는 것이 좋다. 혈을 보하고 열을 내리는 것이다.

습관성 유산에도 먹는 것이 좋은데 먹으면 그 원인을 없애 후환이 없게 한다.

속썩은풀(황금), 흰삽주(백출),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거나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입문].

임신이 되면 비위의 소화작용이 장애되어 소화가 더디면 습이 생기고 습이 생기면 열이 생기게 된다.

옛사람들이 흰삽주(백출)와 속썩은풀(황금)을 안태시키는 좋은 약으로 써온 것은

흰삽주(백출)는 비위를 보하고 습을 말리며 속썩은풀(황금)은 열을 내리기 때문이다.

더욱이 임신하면 혈에 의하여 태아가 자라는 것인데

이 처방은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등이 들어 있는 것은

혈을 보해 주기 때문에 더욱 잘 만들어진 약이다.

이 약을 먹으면 해산하기 쉬우며 아들이나 딸을 낳은 뒤에 태독이 없고

따라서 마마나 홍역도 가볍게 앓게 하고 병 없이 잘 자라면서 총명하고 지혜로운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를 여러 번 경험하였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榮湯][안영탕]  (0) 2021.10.30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0) 2021.10.29
[安胎丸][안태환]  (0) 2021.10.27
[芩朮湯][금출탕]  (0) 2021.10.26
[白萹豆散][백편두산]  (0) 2021.10.25

[安胎丸][안태환]

芩朮湯材 爲丸也.

治懷孕 四五月 常墮不安者 內熱甚故也

子芩12g 白朮6g,

爲末 粥丸 梧子大 白湯下 5070(入門).

 

治同上卽芩朮湯材爲末粥丸梧子大白湯下五七十丸[入門]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금출탕 재료를 가루내어 죽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補中湯][궁귀보중탕]  (0) 2021.10.29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21.10.28
[芩朮湯][금출탕]  (0) 2021.10.26
[白萹豆散][백편두산]  (0) 2021.10.25
[佛手散][불수산]  (0) 2021.10.22

[芩朮湯][금출탕]

治懷孕 四五月 常墮不安者 內熱甚故也

子芩12g

白朮6g,

剉作一貼 水煎服.

임신 4-5개월에 늘 태동(胎動)으로 불안한 것을 치료한다. 

그것은 속에 열이 심하기 때문이다.

속썩은풀(황금) 12g, 

흰삽주(백출) 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乃安胎之 聖藥也

凡卒有所下 急則一日三五服

緩則五日十日一服 安胎易産所生之兒

又無胎毒, 盖姙孕 脾土運化遲滯 則生濕

濕則生熱 故以黃芩 淸熱 以養血,

白朮 健脾 以燥濕 安胎丸 金櫃當歸散 皆此方而推之也(入門).

금출탕(芩朮湯)은 곧 안태시키는 좋은 약이다.

대개 갑자기 유산하려는 증상이 있어서 급할 때에는 하루 3-5첩을 먹고

그 증상이 완만할 때에는 5-10일에 1첩씩 먹으면 안태되고

쉽게 해산할 뿐 아니라 갓난아이에게 태독도 없게 된다.

대개 임신하면 비위(脾胃)에서의 소화작용이 떠지면서 습이 생길 수 있다.

이 습은 열이 생기기 때문에 속썩은풀(황금)로 열을 내리면서 혈을 보해야 하고

흰삽주(백출)로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습을 말리는 것이다.

안태환(安胎丸), 금궤당귀산(金 當歸散) 등은 다 이 처방에서 나온 것이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櫃當歸散][금궤당귀산]  (0) 2021.10.28
[安胎丸][안태환]  (0) 2021.10.27
[白萹豆散][백편두산]  (0) 2021.10.25
[佛手散][불수산]  (0) 2021.10.22
[葱白湯][총백탕]  (0) 2021.10.21

[白萹豆散][백편두산]

治毒藥攻胎藥毒 衝心口噤 握拳自汗不省 其脈浮而數 十死一生

白萹豆生

爲末 新汲水調下 812g卽甦, 口噤者 斡開灌之(得效). 

임신 중에 낙태시키기 위해 독한 약을 먹은 탓으로

약독이 가슴으로 치밀어서 이를 악물고 주먹을 쥐며 저절로 땀이 나고 정신을 잃으며

맥이 부(浮)하면서 연(軟)하면 10에 하나가 살 수 있는데 이런 것을 치료한다.

까치 콩(백편두, 생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12g씩 새로 길어 온 물에 타 먹으면 곧 살아난다.

이를 악물었을 때에는 억지로 입을 벌리고 떠넣는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胎丸][안태환]  (0) 2021.10.27
[芩朮湯][금출탕]  (0) 2021.10.26
[佛手散][불수산]  (0) 2021.10.22
[葱白湯][총백탕]  (0) 2021.10.21
[葱粥][총죽]  (0) 2021.10.20

[佛手散][불수산]

[一名] [立效散] 方見下 保産

治胎動不安 腹痛(綱目).

일명 입효산(立效散)이라고도 한다.

태동이 되어 불안하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강목].

 

[佛手散][불수산]

孕婦臨月服之 則縮胎易産 自無難産之患

當歸24g.  川芎16g,

剉作一貼 水煎 臨熟入酒少許

再煎溫服 若加益母草12g尤妙(回春).

[一名][芎歸湯] 卽 芎歸等分也(入門). 保産轉載

임신부가 해산할 달에 이 약을 먹으면 태아가 여위어서 쉽게 해산하므로 자연히 난산할 염려가 없다.

당귀 24g, 궁궁이(천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이되 다 끓을 무렵에 술을 조금 넣고 다시 달여 더운 것을 먹는다. 익모초 12g을 더 넣으면 그 효과가 더욱 좋다[회춘].

일명 궁귀탕(芎歸湯)이라고도 하는데 궁궁이(천궁)와 당귀를 각각 같은 양으로 했다[입문].

 

[佛手散][불수산]

治纏喉風神效

芒硝一兩

白召蠶五錢

甘草二錢半

靑黛一錢

右爲末取少許敄喉中如閉甚以竹管吹入[類聚]

전후풍을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망초 40g, 백강잠 20g, 감초 10g, 청대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조금씩 목구멍에 뿌린다.

목구멍이 몹시 막혔으면 참대대롱으로 불어넣어야 한다[유취].

 

[佛手散][불수산]

治風熱咽喉腫痛生瘡

薄荷葉二兩

芒硝一兩

甘草七錢

桔梗 蒲黃 各五錢

靑黛二錢

右爲末取少許乾晜或以竹管吹入喉中[丹心]

풍열(風熱)로 인후(咽喉)가 붓고 아프며 허는 것을 치료한다.

박하잎 80g,

망초 40g,

감초 28g,

도라지(길경), 부들꽃가루(포황) 각각 20g,

청대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서 마른 채로 조금씩 목 안에 뿌리거나 참대대롱으로 불어넣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芩朮湯][금출탕]  (0) 2021.10.26
[白萹豆散][백편두산]  (0) 2021.10.25
[葱白湯][총백탕]  (0) 2021.10.21
[葱粥][총죽]  (0) 2021.10.20
[生地黃粥][생지황죽]  (0) 2021.10.18

[葱白湯][총백탕]

治胎動不安 腰痛搶心 或下血

葱白濃煮汁 飮之 主安胎 若胎死卽出(海藏).

태동이 되어 불안한 것과 허리가 아프고

병 기운이 가슴으로 치밀거나 피가 나오는 데 쓴다.

파밑(총백)을 진하게 달인 물을 먹으면 태아가 편안해진다.

만일 태아가 죽었으면 금방 나온다[해장].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萹豆散][백편두산]  (0) 2021.10.25
[佛手散][불수산]  (0) 2021.10.22
[葱粥][총죽]  (0) 2021.10.20
[生地黃粥][생지황죽]  (0) 2021.10.18
[知母丸][지모환]  (0) 2021.10.17

[葱粥][총죽]

治胎動

糯米作粥 入葱白35莖 再煮 食之(入門).

태동을 치료한다.

찹쌀로 죽을 쑤다가 파밑(총백) 3-5대를 넣고 다시 끓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佛手散][불수산]  (0) 2021.10.22
[葱白湯][총백탕]  (0) 2021.10.21
[生地黃粥][생지황죽]  (0) 2021.10.18
[知母丸][지모환]  (0) 2021.10.17
[獨聖散][독성산]  (0) 2021.10.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