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母膏][익모고]

通治 姙娠諸病 及催生神效

又治橫生 逆産 及死胎不出 胞衣不下

益母草重午日 不犯鐵器採取 淨搗 取汁銀石器熬成膏,

每取一大匙 溫酒或白湯化下(丹心).

[一名][返魂丹](丹心)   

 

임신 때의 여러 가지 병을 두루 치료하는데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는 횡산, 역산 그리고 죽은 태아가 뱃속에서 나오지 못하는 것,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 등을 두루 치료한다.

음력 5월초에 쇠로 만든 도구를 쓰지 말고 익모초를 뜯어서 깨끗이 씻은 다음

짓찧어 즙을 내어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졸여 고(膏)를 만들어

한번에 큰 숟가락으로 하나씩 데운 술이나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단심].

일명 반혼단(返魂丹)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사물탕]  (0) 2021.09.30
[返魂丹][반혼단]  (0) 2021.09.28
[返魂丹][반혼단]  (0) 2021.09.27
[益母丸][익모환]  (0) 2021.09.27
[濟陰丹][제음단]  (0) 2021.09.26

[返魂丹][반혼단]

催生神效(種杏) 催生易産

又 治橫逆産 産後百病(入門).

益母草於五月五日 六月六日 花正開時 收採陰乾

不犯鐵器 搗爲末 蜜丸彈子大 每一丸 白湯化下

或丸如梧子大 每取 5070丸 溫酒或白湯下(種杏).

[一名][返魂丹](入門)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익모초(음력 5월초와 6월초에 꽃이 필 때 뜯어서 그늘에 말려 쓰되 쇠그릇은 쓰지 않는다)

이것을 짓찧어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

혹은 벽오동씨만하게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종행].

일명 반혼단(返魂丹)이라고도 하는데 아이를 빨리 쉽게 낳게 하고

또 가로 낳거나 거꾸로 낳는 것과 산후의 온갖 병을 치료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返魂丹][반혼단]  (0) 2021.09.28
[益母膏][익모고]  (0) 2021.09.28
[益母丸][익모환]  (0) 2021.09.27
[濟陰丹][제음단]  (0) 2021.09.26
[益母丸][익모환]  (0) 2021.09.26

[益母丸][익모환]

催生神效(種杏) 催生易産

又 治橫逆産 産後百病(入門).

益母草於五月五日 六月六日 花正開時

收採陰乾 不犯鐵器 搗爲末 蜜丸彈子大 每一丸 白湯化下

或丸如梧子大 每取 5070丸 溫酒或白湯下(種杏).

[一名][返魂丹](入門)

 

아이를 빨리 낳게 하는 데 효과가 있다.

익모초(음력 5월초와 6월초에 꽃이 필 때 뜯어서 그늘에 말려 쓰되 쇠그릇은 쓰지 않는다)

이것을 짓찧어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에 풀어 먹는다.

혹은 벽오동씨만하게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끓인 물로 먹는다[종행].

일명 반혼단(返魂丹)이라고도 하는데 아이를 빨리 쉽게 낳게 하고

또 가로 낳거나 거꾸로 낳는 것과 산후의 온갖 병을 치료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母膏][익모고]  (0) 2021.09.28
[返魂丹][반혼단]  (0) 2021.09.27
[濟陰丹][제음단]  (0) 2021.09.26
[益母丸][익모환]  (0) 2021.09.26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21.09.25

[濟陰丹][제음단]

治婦人久冷無子 及數經 墮胎 皆因衝任虛損

胞內宿挾疾病 經候不調 或崩漏帶下 36疾 皆令孕育不成

以至絶嗣 亦治産後百病 令人有孕 及生子充實 無病

蒼朮320g

香附子 熟地黃 澤蘭160g

人參 桔梗 蚕退 石斛 藁本 秦芃 甘草80g

當歸桂心 乾薑 細辛 牧丹皮 川芎60g

木香 白茯苓 京墨燒 桃仁40g

川椒 山藥30g

糯米炒一升 大豆黃卷炒半升,

爲末 煉蜜和勻 兩(37.5g)作六丸 每一丸 細嚼溫酒 或醋湯 送下(局方).

부인이 오랜 냉병으로 임신을 하지 못하거나 자주 유산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다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이 허손(虛損)되고

자궁 안에 오랜 병이 있어서 월경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혹은 붕루(崩漏), 대하(帶下) 등 36가지 병은 임신하지 못하게 하므로 대가 끊어지기도 한다.

또는 해산 후 온갖 병을 치료하여 임신이 되게 하며 아이를 낳은 다음 병 없이 충실히 자랄 수 있게 한다.

삽주(창출) 300g,

향부자, 찐지황(숙지황), 쉽싸리(택란) 각각 160g,

인삼, 도라지(길경), 잠퇴, 석곡, 고본, 진교, 감초 각각 80g,

당귀, 계심, 건강, 족두리풀(세신),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궁궁이(천궁) 각각 60g,

목향, 흰솔풍령(백복령), 좋은 먹(태운 것),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조피열매(천초), 마(산약) 각각 30g,

찹쌀(닦은 것) 2홉 반, 대두황권(닦은 것) 1홉 2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40g으로 6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데운 술이나 식초를 둔 끓인 물로 잘 씹어 먹는다[국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返魂丹][반혼단]  (0) 2021.09.27
[益母丸][익모환]  (0) 2021.09.27
[益母丸][익모환]  (0) 2021.09.26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21.09.25
[保安丸][보안환]  (0) 2021.09.24

[益母丸][익모환]

治産前産後 一切諸病 及難産橫逆 能行血養血 安胎順氣

又 能活血行氣 有補陰之妙 故命名益母(丹心)

[一名] [濟陰丹](丹心)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난산, 횡산, 역산 등을 치료는데

피를 잘 돌게 하고 보혈하며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기를 잘 돌게 한다.

또는 혈과 기를 잘 돌게 하며 음을 보하는 데 아주 좋다.

때문에 익모(益母)라고 한다[단심].

일명 제음단(濟陰丹)이라고도 한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母丸][익모환]  (0) 2021.09.27
[濟陰丹][제음단]  (0) 2021.09.26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21.09.25
[保安丸][보안환]  (0) 2021.09.24
[芎歸湯][궁귀탕]  (0) 2021.09.23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治姙娠心腹痛 及泄痢 産前産後 通用

白芍藥10g

川芎 澤瀉 6g

當歸 赤茯苓 白朮 3g,

細末 溫酒下8g(局方). 

임신 때 명치 밑이 아픈 것과 설사와 이질을 치료하는데 산전 산후에 두루 쓴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10g,

궁궁이(천궁), 택사 각각 6g,

당귀, 벌건솔풍령(적복령), 흰삽주(백출)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陰丹][제음단]  (0) 2021.09.26
[益母丸][익모환]  (0) 2021.09.26
[保安丸][보안환]  (0) 2021.09.24
[芎歸湯][궁귀탕]  (0) 2021.09.23
[黃連丸][황련환]  (0) 2021.09.18

[保安丸][보안환]

治産前産後 諸疾

生乾地黃另爲末 馬鳴退(卽蠶退紙) 40g

赤茯苓 牧丹皮 白芍藥 30g

川芎 細辛 人參 肉桂 當歸 牛膝 白芷 木香 藁本 麻黃

澤蘭 附子甘草灸 寒水石防風 桔梗 蟬退 20g

石茱萸 沈香 10g,

爲末 蜜丸彈子大 酒下一丸(御院).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한다.

생건지황(따로 가루낸 것), 마명퇴(즉 잠퇴지(簪退紙)이다. 닦은 것) 각각 40g,

벌건솔풍령(적복령),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30g,

궁궁이(천궁), 족두리풀(세신), 인삼, 육계, 당귀, 쇠무릎(우슬), 구릿대(백지), 목향, 고본, 마황,

쉽싸리잎(택란엽), 부자(싸서 구운 것), 감초(닦은 것), 한수석(달군 것), 방풍, 도라지(길경), 매미허물(선퇴) 각각 20g,

석수유, 침향 각각 1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술로 먹는다[어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益母丸][익모환]  (0) 2021.09.26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21.09.25
[芎歸湯][궁귀탕]  (0) 2021.09.23
[黃連丸][황련환]  (0) 2021.09.18
[抑靑丸][억청환]  (0) 2021.09.18

[芎歸湯][궁귀탕]

治産前産後諸疾 及血暈不省 橫生逆産 死胎不下

血崩不止 臨月服之 則縮胎易産 産後服之 則惡血自下

川芎 當歸 20g,

剉作一貼 水煎服 日23.

又 治半産 去血多 産後 去血多 崩中 去血多 金瘡 去血多

拔牙齒 去血多 一切 去血過多 眩暈悶絶 不省人事者 連進 數服 卽甦(得效).

當歸24g 川芎16g [佛手散].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과 혈훈(血暈)으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 횡산[橫]이나

역산[逆] 또는 태아가 뱃속에서 죽어 나오지 않는 것, 혈붕(血崩)이 멎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이 약은 해산할 달에 먹으면 태아가 줄어들어서 쉽게 해산한다.

해산 후에 먹으면 궂은 피가 잘 나온다.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하루에 두세번 먹는다.

또는 유산이나 해산 후에 피를 많이 흘렸거나 붕중(崩中)으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쇠붙이에 상해서 피를 많이 흘렸거나 이를 뽑고 피를 많이 흘린 것과

일체 지나치게 많은 피를 흘린 것으로 하여 어지럽고 까무러쳐서 정신을 잃었을 때

연거푸 몇 번 먹이면 곧 깨어난다[득효].

당귀 24g과 궁궁이(천궁) 16g으로 되어 있는 것을 불수산(佛手散)이라고 한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芍藥散][당귀작약산]  (0) 2021.09.25
[保安丸][보안환]  (0) 2021.09.24
[黃連丸][황련환]  (0) 2021.09.18
[抑靑丸][억청환]  (0) 2021.09.18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7

[黃連丸][황련환]

伐心經之火兼治酒熱

黃連酒炒 或薑汁炒,

爲末 粥丸 白湯 呑下2030(丹心).

[一名] [抑靑丸] 火門轉載

심경(心經)의 화를 내리며 겸하여 주열(酒熱)을 치료한다.

황련(술이나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죽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일명 황련환(黃連丸)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安丸][보안환]  (0) 2021.09.24
[芎歸湯][궁귀탕]  (0) 2021.09.23
[抑靑丸][억청환]  (0) 2021.09.18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7
[竹茹湯][죽여탕]  (0) 2021.09.15

[抑靑丸][억청환]

伐心經之火兼治酒熱

黃連酒炒 或薑汁炒,

爲末 粥丸 白湯 呑下2030(丹心).

[一名][黃連丸] 火門轉載

심경(心經)의 화를 내리며 겸하여 주열(酒熱)을 치료한다.

황련(술이나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죽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일명 황련환(黃連丸)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湯][궁귀탕]  (0) 2021.09.23
[黃連丸][황련환]  (0) 2021.09.18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7
[竹茹湯][죽여탕]  (0) 2021.09.15
[復元湯][부원탕]  (0) 2021.09.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