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治惡阻病 嘔吐心煩 頭目眩暈 惡聞食氣

好食酸醎 多臥少起 百節煩疼 羸瘦痰盛

半夏6g

赤茯苓 熟地黃 4g

橘紅 旋覆花 人參 白芍藥 川芎 桔梗 甘草 3g

剉作一貼 入薑七片 水煎服(丹心).

오조증으로 토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하며

밥냄새를 싫어하고 신 것과 짠 것을 먹기 좋아하며 눕기를 좋아하고

온몸의 뼈마디가 달면서 아프며 몸이 여위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6g,

벌건솔풍령(적복령), 찐지황(숙지황) 각각 4g,

귤홍, 선복화, 인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連丸][황련환]  (0) 2021.09.18
[抑靑丸][억청환]  (0) 2021.09.18
[竹茹湯][죽여탕]  (0) 2021.09.15
[復元湯][부원탕]  (0) 2021.09.14
[歸元散][귀원산]  (0) 2021.09.14

[竹茹湯][죽여탕]

治惡阻

靑竹茹 麥門冬 12g

前胡8g

橘皮4g

蘆根半握,

剉作一貼 水煎服(聖惠).

오조증을 치료한다.

청죽여, 맥문동 각각 12g,

전호 8g,

귤껍질(陳皮) 4g,

갈뿌리(노근) 반 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성혜].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抑靑丸][억청환]  (0) 2021.09.18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7
[復元湯][부원탕]  (0) 2021.09.14
[歸元散][귀원산]  (0) 2021.09.14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21.09.13

[歸元散][귀원산]

治惡阻 全不入食

白朮 白茯苓 陳皮 5g

半夏4g

人參 川芎 當歸 白芍藥 丁香 甘草 2g

桔梗 枳殼 1g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水煎服(綱目).

[一名] [復元湯][부원탕](醫鑒)

오조증으로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6g,

끼무릇(반하) 4g,

인삼,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정향, 감초 각각 2g,

도라지(길경), 지각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일명 부원탕(復元湯)이라고도 한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7
[竹茹湯][죽여탕]  (0) 2021.09.15
[歸元散][귀원산]  (0) 2021.09.14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21.09.13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2

[歸元散][귀원산]

治惡阻 全不入食

白朮 白茯苓 陳皮 5g

半夏4g

人參 川芎 當歸 白芍藥 丁香 甘草 2g

桔梗 枳殼 1g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水煎服(綱目).

[一名] [復元湯][원탕](醫鑒)

오조증으로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각각 6g,

끼무릇(반하) 4g,

인삼, 궁궁이(천궁),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정향, 감초 각각 2g,

도라지(길경), 지각 1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일명 부원탕(復元湯)이라고도 한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竹茹湯][죽여탕]  (0) 2021.09.15
[復元湯][부원탕]  (0) 2021.09.14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21.09.13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2
[保生湯][보생탕]  (0) 2021.09.11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治惡阻病 胸背滿痛

黃芩5g

白朮 半夏4g

赤茯苓3g

黃連 陳皮 當歸 梔子 香附 人參 蒼朮 縮砂 甘草 2g

剉作一貼 入薑七片 水煎服(類聚).

오조증으로 가슴과 등이 뻐근하면서 아픈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5g,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각각 4g,

벌건솔풍령(적복령) 3g,

황련, 귤껍질(陳皮), 당귀, 산치자, 지각, 향부자, 인삼, 삽주(창출), 사인,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영류].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復元湯][부원탕]  (0) 2021.09.14
[歸元散][귀원산]  (0) 2021.09.14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2
[保生湯][보생탕]  (0) 2021.09.11
[白朮散][백출산]  (0) 2021.09.10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治惡阻病 嘔吐心煩 頭目眩暈 惡聞食氣

好食酸醎 多臥少起 百節煩疼 羸瘦痰盛

半夏6g

赤茯苓 熟地黃 4g

橘紅 旋覆花 人參 白芍藥 川芎 桔梗 甘草 3g

剉作一貼 入薑七片 水煎服(丹心).  

오조증으로 토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 앞이 아찔하며

밥냄새를 싫어하고 신 것과 짠 것을 먹기 좋아하며 눕기를 좋아하고

온몸의 뼈마디가 달면서 아프며 몸이 여위고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6g,

벌건솔풍령(적복령), 찐지황(숙지황) 각각 4g,

귤홍, 선복화, 인삼,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歸元散][귀원산]  (0) 2021.09.14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21.09.13
[保生湯][보생탕]  (0) 2021.09.11
[白朮散][백출산]  (0) 2021.09.10
[參橘散][삼귤산]  (0) 2021.09.09

[保生湯][보생탕]

治婦人 月經不行 身無病似病 脈滑大而 六脈俱勻 乃孕婦之脈也.

精神如故 惡聞食氣 或但嗜一物 或大吐 或時吐淸水 此名惡阻 宜服此,

白朮 香附子 烏藥 橘紅8g

人參 甘草 4g

剉作一貼 薑三 煎服(良方).

월경이 끊어지고 몸에 병이 없는데 병맥(病脈)과 비슷한 맥이 나타나고

활대(滑大)하면서 6맥이 다 고르면 이것은 임신이 된 맥이다.

정신은 여전한데 밥냄새를 싫어한다.

혹 한 가지 음식만 좋아하거나 몹시 토하거나 때로 멀건 물을 토하는 것을

오조(惡阻)라고 하는데 이 약을 먹는 것이 좋다.

흰삽주(백출), 향부자, 오약, 귤홍 각각 8g,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芩連半夏湯][금련반하탕]  (0) 2021.09.13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2
[白朮散][백출산]  (0) 2021.09.10
[參橘散][삼귤산]  (0) 2021.09.09
[二陳湯][이진탕]  (0) 2021.09.08

[白朮散][백출산]

治惡阻 吐淸水 十餘日 粥藥不入

白朮20g

人參10g

丁香5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良方).

오조증으로 멀건 물을 토하며 10여 일이 넘도록

죽이나 약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20g,

인삼 10g,

정향 4.8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半夏茯苓湯][반하복령탕]  (0) 2021.09.12
[保生湯][보생탕]  (0) 2021.09.11
[參橘散][삼귤산]  (0) 2021.09.09
[二陳湯][이진탕]  (0) 2021.09.08
[二陳湯][이진탕]  (0) 2021.09.07

[參橘散][삼귤산]

治惡阻病 嘔吐痰水 全不入食

橘皮 赤茯苓 6g

麥門冬 白朮 厚朴 人參 甘草 4g,

剉作一貼 入薑七片 靑竹茹雞子大 同煎服(拔粹).

오조증으로 멀건 침을 토하면서 전혀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6g,

맥문동, 흰삽주(백출), 후박,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각 7쪽, 청죽여(달걀만한 것)와 함께 달여 먹는다[발수].

[人蔘橘皮湯][인삼귤피탕]

일명 인삼귤피탕(人蔘橘皮湯)이라고도 한다[성혜].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生湯][보생탕]  (0) 2021.09.11
[白朮散][백출산]  (0) 2021.09.10
[二陳湯][이진탕]  (0) 2021.09.08
[二陳湯][이진탕]  (0) 2021.09.07
[艾醋湯][애초탕]  (0) 2021.08.31

[二陳湯][이진탕]

通治痰飮諸疾 或嘔吐惡心或 頭眩心悸 或發寒熱 或流注作痛

半夏製8g

橘皮 赤茯苓各4g

甘草灸2g

上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正傳)

[方氏]曰 半夏豁痰燥濕 橘紅消痰利氣 茯苓降氣滲濕 甘草補脾和中

盖補脾則不生濕燥 滲濕則不生痰 利氣降氣則痰消解

可謂體用兼該標本 兩盡之藥 用者 隨證加減(丹心) 痰飮轉載

 

二陳湯 加縮砂 桔梗 入薑棗 烏梅煎服 消痰順氣 自然安平(本文轉載)

瘦人熱 肥人痰, 俱宜二陳湯 竹茹 生薑,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散][백출산]  (0) 2021.09.10
[參橘散][삼귤산]  (0) 2021.09.09
[二陳湯][이진탕]  (0) 2021.09.07
[艾醋湯][애초탕]  (0) 2021.08.31
[神方驗胎散][신방험태산]  (0) 2021.08.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