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蹻脈][양교맥]


陽蹻脈者 起於跟中 循外踝 上行(申脈穴)入風池.
양교맥은 발꿈치에서 시작하여 바깥쪽 복사뼈(신맥혈)를 따라 풍지혈에 들어갔다.
陽蹻之病 陽急而狂奔(入門)
양교맥의 병은 양이 성하여 미쳐 달아난다[입문].
蹻者捷也 言此脈之行 如蹻捷者之 擧動手足也(入門).
교라는 것은 빠르다는 말이다.
즉 이 경맥이 돌아가는 것이 아주 빠른 사람이 손과 발을 놀리는 것 같다는 것이다[입문].

'[鍼灸篇] > [陽蹻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臑腧穴][노유혈]   (0) 2018.08.06
[居髎穴][거료혈]   (0) 2018.08.06
[付陽穴][부양혈]   (0) 2018.08.06
[申脈穴][신맥혈]  (0) 2018.02.21
[僕叅穴][복삼혈]   (0) 2018.02.16

[帶脈][대맥]

帶脈者起於季脇 廻身一周(難經).
대맥은 마지막 갈비뼈에서 시작하여 몸을 한바퀴 돌았다[난경].
經云“大麥 周廻季肋間”
註云 “廻繞周身 總束諸脈如束, 諸脈如束帶然
起於季肋 卽章門穴 乃脇下接腰骨之間也(入門).

[내경]에 대맥은 마지막 갈비뼈 사이를 돌았다고 하였고 

주해에는 몸을 한바퀴를 돌아서 모든 경맥을 띠로 묶은 것처럼 묶었기 때문에 

대맥이라고 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마지막 갈비뼈에서 시작하였다는 것은 

즉 장문혈(章門穴)로서 옆구리 아래 허리등뼈가 시작되는 곳이다[입문].
帶脈爲病 腹滿溶溶 若坐水中(入門).
대맥에 병이 생기면 배가 그득하고 끓으며 물 속에 앉은 것과 같다[입문].


'[鍼灸篇] > [帶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維道穴][유도혈]  (0) 2018.02.20
[五樞穴][오추혈]  (0) 2018.02.20
[帶脈穴][대맥혈]  (0) 2018.02.20
[章門穴][장문혈]   (0) 2018.02.16

[奇經八脈][기경팔맥]
脈有陽維 陰維有陽蹻 陰蹻 有衝 有督 有任 有帶之脈
凡此八脈者 皆不拘於經
故曰[奇經八脈]也(難經).

경맥에는 양유맥, 음유맥, 양교맥, 음교맥, 충맥, 독맥, 임맥, 대맥 등이 있다.
이 8가지 경맥은 다 12경맥에 속하지 않으므로 기경8맥이라고 한다[난경].
奇經病 非自生 皆因 諸經溢出而流入之也.
比於聖人圖說 溝渠以備水 潦之溢溝渠
滿溢則流於深湖 人脈隆盛 入於八脈而不環周
故其受邪氣 蓄則腫熱 砭射之也(綱目).

기경의 병은 다 자기 경맥에서 생긴 것이 아니며
다른 경맥에서 생긴 병이 넘어온 것이다.
마치 성인이 도랑을 파서 물이 흘러 넘지 못하게 하였으나
도랑이 차고 넘치면 깊은 호수로 흘러 내려가는 것과 같이
사람의 경맥도 지나치게 실해지면 기경8맥으로 들어가서
제대로 돌아가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곳에 사기를 받아 몰리게 되면 붓고 열이 난다.
이때에는 침으로 치료하여야 한다[강목].
督 衝 任三脈 並起而異行 皆始於氣衝(穴名)一源而分三岐.
督脈 行背而應乎陽 任脈行腹而應呼陰 衝脈 自足至頭若衝
衝而直行於上 爲十二經脈之海.
總領諸經氣血.
三脈皆起於 氣衝, 氣衝 
又起於胃脈其源 

如此則知胃氣爲本矣(入門).
독맥, 충맥, 임맥 등 3가지 경맥은 다 한 곳에서 시작하여 각각 다른 곳으로 갔다.
즉 기충혈(氣衝穴)에서 시작하여 3가지로 갈라졌다.
독맥은 잔등으로 가서 양이 되었고 임맥은 배로 가서 음이 되었으며
충맥은 발로부터 머리로 곧추 올라가 12경맥이 모이는 곳으로 가서
모든 경맥의 기혈을 통솔한다.
이 3가지 경맥은 다 기충혈에서 시작하였으며 기충혈은 또한 위맥에 근원을 두었다.
그 근원이 위맥이므로 위기가 근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입문].

'[鍼灸篇] > [奇經八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督脈][독맥]   (0) 2018.07.20
[衝脈][충맥]  (0) 2018.07.20
[陽蹻脈][양교맥]  (0) 2018.07.20
[陰維脈][음유맥]   (0) 2018.07.20
[陽維脈][양유맥]  (0) 2018.07.20

[任脈流注及孔穴][임맥유주급공혈.임맥의 순행과 침혈]


任脈者 起於中極之下 以上毛際 循腹裏上關元(穴名)
至咽喉(承漿穴) 屬陰脈之海也.
中行,凡二十四穴(銅人)

임맥은 중극혈(中極穴) 아래의 음모가 돋은 경계에서 시작하여
뱃속을 따라 관원혈(關元穴)을 거쳐 정중선을 따라 올라와
인후(승장혈)로 간 다음 음맥이 모이는 곳으로 들어갔다.
정중선에 24개의 침혈이 있다[동인].
任卽姙也,
所謂 生養之源,女子之主(入門)

임은 임신한다는 말이다.
낳고 기르는 데 근본이 되는 여자의 주되는 경맥이다[입문].

'[鍼灸篇] > [任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海穴][기해혈]   (0) 2018.02.01
[石門穴][석문혈]  (0) 2018.02.01
[關元穴][관원혈]   (0) 2018.02.01
[曲骨穴][곡골혈]   (0) 2018.01.31
[中極穴][중극혈]   (0) 2018.01.31

[督脈流注及孔穴][독맥유주급공혈.독맥의 순행과 침혈]


督脈者 起於下極之腧 並於脊裏上 至風府入腦,
上巓循額 至鼻柱 屬陽脈之海 中行 凡二十七穴(銅人).

독맥은 홍문의 유혈에서 시작하여 등뼈대 속으로 올라가 풍부혈을 거쳐
뇌에 들어갔다가 정수리로 나와 이마를 따라서 콧마루에 이르러
양맥이 모이는 곳에 속하였다.
정중선을 따라 27개의 침혈이 있다[동인].
督之爲言 都也.
陽脈都會, 男子之主也(入門)

독은 전부란 말이다.
양맥이 전부 모인 맥이므로 남자의 주되는 맥이다[입문].


'[鍼灸篇] > [督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懸樞穴][현추혈]  (0) 2018.01.30
[命門穴][명문혈]   (0) 2018.01.30
[陽關穴][양관혈]   (0) 2018.01.30
[腰腧穴][요유혈]  (0) 2018.01.30
[長强穴][장강혈]  (0) 2018.01.30

[足厥陰肝經流注][족궐음간경유주]




足厥陰之脈,起於大指聚毛之際(大敦穴)
上循足跗上廉(本節前行間穴,本節後大衝穴)去內踝一寸(中封穴) 上踝八寸
交出太陰之後 上膕內廉(曲泉穴) 循股陰 入毛中 環陰器 低小腹 挾胃屬肝絡膽 上貫膈布脇肋,循喉嚨之後 上入頏顙(額也)連目 系上出額與督脈 會于巓,
其支者 從目系下 頰裏環唇內, 其支者 復從肝 別貫膈 上注肺中(自此交入手陰).

족궐음경맥은 엄지발가락의 털이 난 곳(대돈혈)에서 시작하여 발잔등 윗쪽

(밑마디 앞은 행간혈, 밑마디 뒤는 태충혈)으로 올라가 안쪽 복사뼈에서 아래로 1치 되는

곳(중봉혈)을 거쳐 안쪽 복사뼈에서 위로 8치 되는 곳으로 올라가 족태음경의 뒤로 교차된다.
계속 무릎 안쪽(곡천혈)으로 올라가서 허벅지를 따라 음모 있는 곳으로 들어갔다가

생식기를 돌아서 아랫배로 올라가 위를 끼고 간에 속하고 담을 얽었다.
그리고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옆구리에 분포되고 울대 뒤쪽을 따라서 올라가

입천장을 거쳐 목계(目系)에 연계되었다.
다시 이마로 나와서 정수리로 올라가 독맥(督脈)과 연계되었다.
그 한 가지는 목계에서 뺨 속으로 내려가 입술 안쪽을 돌렸다.
다른 한 가지는 다시 간에서 갈라져서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폐로 들어갔다

(여기서 수태음경과 연계된다).
是動則病 腰痛不可以俛仰 丈夫㿗疝 婦人小腹腫 甚則嗌乾 面塵脫色 是主 肝
所生病者, 胸滿 嘔逆 洞泄 狐疝 遺尿 閉癃, 盛者 寸口大一倍於人迎,
虛者 寸口反小於人迎也(靈樞 經脈 第十)

시동병(是動病)은 허리가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고 남자에게는 퇴산( 疝)이 생기고

여자에게는 아랫배가 붓고 심하면 목이 마르며 얼굴이 때가 낀 것처럼 윤기가 없어진다.
이것은 주로 간과 관련된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가슴이 그득하고 구역이 나며 설사하고 호산(狐疝), 유뇨(遺尿),

오줌이 막히는 등 증상이 생긴다.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2배나 크고 허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도리어 작다[영추].
丑時自竅陰交與大敦, 循膝上行 至期門穴止(入門)
이 경맥의 경기는 축시(1-3시)에 규음혈에서 시작하여 대돈혈에서 교체되며

무릎과 허벅지를 따라서 올라가 기문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厥陰根于大敦 結于玉英 絡又膻中(靈樞)
족궐음간경은 대돈혈에서 시작하여 옥영혈(玉英穴)에 몰리고

단중혈( 中穴)과 연계되었다[영추].

'[鍼灸篇] > [足厥陰肝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蠡溝穴][여구혈]  (0) 2018.07.19
[中封穴][중봉혈]   (0) 2018.07.18
[太衝穴][태충혈]  (0) 2018.07.18
[行間穴][행간혈]   (0) 2018.07.18
[大敦穴][대돈혈]  (0) 2018.02.16

[足少陽膽經流注][족소양담경유주]



足少陽之脈 起於目銳眥上 抵頭角

下耳後, 循頸行手少陽之脈 前至肩上
却交出手少陽之後 入缺盆 其支別者 從耳後入耳中 出走耳前至目銳眥下
大迎合于手少陽 抵於䪼下 加頰車下頸合缺盆以下胸中 貫膈絡肝屬膽
循脇裏出氣衝(穴名)繞毛際橫入髀厭中(卽環跳穴), 其直者 從缺盆下
腋循胸中過季脇(脇骨曰肋,肋盡處曰季脇)下 合髀厭中(腹下腿上節處是也).
以下 循髀陽出膝外廉(陽陵泉穴) 下外輔骨之前(輔骨謂輔佐行骨在䯒之外骨)
直下抵絶骨之端(陽輔穴) 下出外踝之前(丘墟穴) 循足跗上出小指
次指之端(本節前俠谿穴,本節後臨泣穴,末乃竅陰穴),
其支者 從跗上 入大指岐骨內 出其端還 貫爪甲出三毛(自此交入足厥陰).

족소양경맥은 눈귀에서 시작하여 옆머리로 올라갔다가 귀 뒤로 내려와 목을 따라서 

수소양경맥의 앞을 지나 어깨에 가서 다시 수소양경맥의 뒤로 돌아 나와 

결분(缺盆)으로 들어갔다.
그 한 가지는 귀 뒤에서 귓속으로 들어갔다가 귀 앞으로 나와 눈귀로 갔다.
계속 대영혈(大迎穴)로 내려가서 수소양경맥과 합쳐 광대뼈 아래로 내려가서 

협거혈(頰車穴)을 지나 목으로 내려간다.
계속하여 결분에서 합하여 가슴속으로 내려가 가름막을 뚫고 지나 간을 얽은 다음 

담에 속하고 다시 옆구리를 따라 기충혈(氣衝穴)로 가서 음모의 경계를 돌아 

비염(환도혈) 속으로 들어갔다.
곧바로 가는 가지는 결분에서 겨드랑이로 내려와 가슴속을 지나

계협(季脇, 옆구리의 뼈를 갈비대라고 하고 갈비대가 끝난 곳을 계협이라고 한다)을

따라 내려와서 비염(배 아래 넙적다리 위에 뼈마디가 있는 곳) 속을 지나서 넙적다리의

바깥쪽으로 내려가 무릎 바깥쪽(양릉천혈)으로 나와 바깥쪽

보골(보골은 정강이뼈를 보좌하는 뼈로 정강이뼈의 옆에 있다) 앞으로 곧바로 내려가

절골의 끝(양보혈)을 거쳐 바깥 복사뼈 앞(구허혈)으로 나와 발등을 따라 네번째 발가락

밑마디 앞의 협계혈, 밑마디 위의 임읍혈을 거쳐 끝에 있는 규음혈로 나갔다.
그 한 가지는 발등에서 갈라져 엄지발가락뼈로 들어가 그 끝으로 나왔다가 발톱을 뚫고

발톱 뒤 털이 있는 곳으로 나왔다(여기서 족궐음경맥과 연계된다).
是動則病 口苦 善太息 心脇痛 不能轉側 甚則面微塵 體無膏澤 足外反熱
是爲陽厥 是主骨
所生病者 頭痛 角頷痛 目銳眥痛 缺盆中腫痛 腋下腫 馬刀挾癭 汗出 振寒瘧
胸脇肋髀 膝外至脛 絶骨外踝前 及諸節皆痛 小指 次指不用
盛者人迎大一倍於寸口, 虛者人迎 反小於寸口也(靈樞 經脈 第十)

시동병(是動病)은 입이 쓰고 한숨을 쉬며 가슴과 옆구리가 아파서 몸을 잘 놀리지 못하고

심하면 얼굴에 약간 때가 낀 것 같고 몸에 윤기가 없으며 발 바깥쪽이 다는데

이것을 양궐(陽厥)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뼈와 관련되는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머리가 아프고 옆턱과 눈귀가 다 아프며 결분 속이 붓고 아프다.
겨드랑이 아래가 붓고 마도창이 생기며 땀이 나고 추워 떨며 학질이 생기고 가슴과 옆구리,

넙적다리와 무릎의 바깥쪽, 다리와 절골, 바깥 복사뼈 앞 등 모든 뼈마디가 다 아프며

네번째 발가락을 쓰지 못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배나 크고 허할 때는

인영맥이 도리어 촌구맥보다 작다[영추].
子時 自耳門交與瞳子髎, 循頭耳側脇下行 至足竅陰穴止(入門)
이 경맥의 경기는 자시(23-1시)에 이문혈에서 시작하여 동자료혈에서 교체되고

머리와 귀, 옆구리를 따라 내려가서 발끝에 있는 규음혈에서 끝났다[입문].
少陽根于竅陰, 結于窓籠, 窓籠者 耳中也(靈樞)
족소양경맥은 규음혈에서 시작하여 창롱(窓籠)에 가서 끝났다.
창롱이란 귓속을 말한 것이다[영추].

'[鍼灸篇] > [足少陽膽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懸顱穴][현로혈]   (0) 2018.07.15
[頷厭穴][함염혈]   (0) 2018.07.14
[客主人][객주인]  (0) 2018.07.14
[聽會穴][청회혈]   (0) 2018.07.14
[瞳子髎][동자료]   (0) 2018.02.16

[手少陽三焦經流注][수소양삼초경유주]


手少陽之脈 起於小指 次指之端 外側(關衝穴)上出兩指之間, 本節前液門穴,
本節後(中渚穴)循手表腕(陽池穴) 出臂外兩骨之間(支溝穴) 上貫肘(天井穴)
循臑外 上項挾耳後 直上出耳上角, 以屈下頰至䪼(䪼頰骨也),
其支者 從耳後入耳中 出走耳前 過客主人(穴名也)前交頰至目銳眥(自此交入足少陽)

수소양경맥은 약손가락 바깥쪽 끝(관충혈)에서 시작하여 두 손가락 사이

(밑마디의 앞은 액문혈, 밑마디의 뒤는 중저혈)로 나와서 손목 겉(양지혈)을 따라

팔뚝의 바깥쪽 두 뼈 사이(지구혈)로 올라간다.
계속 팔굽(천정혈)을 뚫고 위로 올라가 팔죽지의 바깥쪽을 따라 목으로 올라가서

귀 뒤를 돌아 올라가 귀 윗끝으로 나온 다음 구부러져 뺨으로 내려와 광대뼈

(광대뼈는 즉 뺨의 뼈다)로 갔다.
그 한 가지는 귀 뒤에서 귀 속으로 들어갔다가 귀 앞으로 나와서 객주인혈(客主人穴)의

앞을 지나 뺨에서 교차되어 눈 귀에 닿았다(여기서 족소양담경과 연계되었다).
是動則病, 耳聾 渾渾焞焞 嗌腫 喉痺,是主氣.
所生病者 汗出 目銳眥痛 頰痛, 耳後肩臑肘臂外皆痛, 小指 次指不用,
盛者人迎大一倍於寸口, 虛者人迎反小於寸口也(靈樞 經脈 第十)

시동병(是動病)은 귀가 잘 들리지 않으며 목이 붓고 후비증이 생긴다.
이것은 주로 기와 관련되는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땀이 나고 눈귀가 아프며 뺨이 아프고 귀 뒤쪽과

어깨와 팔죽지, 팔굽, 팔뚝의 바깥쪽이 다 아프며 약손가락을 쓰지 못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인영맥이 촌구맥보다 배나 크고 허할 때에는

인영맥이 도리어 촌구맥보다 작다[영추].
亥時 自中衝 交與關衝 循臂上行 至耳門穴止(入門)
이 경맥의 경기는 해시(21-23시)에 중충혈(中衝穴)에서 시작하여

관충혈에 와서 교체되고 팔을 따라 위로 올라가 이문혈(耳門穴)에 가서 끝난다[입문].

'[鍼灸篇] > [手少陽三焦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外關穴][외관혈]   (0) 2018.07.11
[陽池穴][양지혈]   (0) 2018.07.11
[中渚穴][중저혈]   (0) 2018.07.11
[液門穴][액문혈]   (0) 2018.07.11
[關衝穴][관충혈]  (0) 2018.02.16

[手厥陰心包經流注][수궐음심포경유주]

手厥陰之脈 起於胸中 出屬心包下膈歷絡三焦 其支者 循胸出脇下

腋三寸上抵 腋下下循 臑內, 行太陰 少陰之間入肘中(曲澤穴)
下臂行兩臂之間(間使穴 腕中太陵穴) 入掌中(勞宮穴)循中指出其端(中衝穴)
其支別者 從掌中循小指 次指出其端(自此交入手少陽入).

수궐음경맥은 가슴속에서 시작하여 심포(心包)에 속하고 

가름막을 뚫고 내려가 3초를 얽었다.
그 한 가지는 가슴을 지나 옆구리로 나와 겨드랑 아래 3치 되는 곳으로 나왔다가 

다시 겨드랑이로 올라가 팔죽지를 따라서 수태음경맥과 수소음경맥의 사이를

따라 팔굽(곡택혈) 속으로 들어간다.
계속 팔뚝을 따라 내려와 두 힘줄 사이에 있는 간사혈과 손목의 대릉혈을 거쳐서 

손바닥 가운데(노궁혈)로 들어가서 가운뎃손가락 끝(중층혈)으로 나갔다.
다른 한 가지는 손바닥 가운데에서 약손가락 끝으로 나갔다

(여기서 수소양경맥과 연계됐다).
是動則病, 手心熱肘臂攣急 腋腫,
甚則胸脇支滿 心中澹澹大動 面赤 目黃 善笑不休 是主脈.
所生病者 煩心 心痛 掌中熱. 盛者寸口大一倍於人迎,
虛者寸口反小於人迎也(靈樞 經脈 第十)

시동병(是動病)은 손바닥이 달고 팔굽과 팔뚝이 저리며 당기고

겨드랑이가 붓고 심하면 가슴과 옆구리가 벅차며 가슴이 몹시 뛰고

얼굴이 붉으며 눈이 누렇고 자주 원인 없이 웃는다. 

이것은 주로 맥과 관련되는 병이다.
소생병(所生病)은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손바닥이 단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배나 크며 허할 때는 

촌구맥이 도리어 인영맥보다 작다[영추].
戌時 自腧府 交與天池, 循手臂下行至中衝穴止(入門)
이 경맥의 경기는 술시(19-21시)에 유부혈에서 시작하여

천지혈에서 교체되어 팔과 손을 따라서 아래로 내려가

중충혈에 가서 끝났다[입문].
心者 五藏六府之大主也, 精神之所舍也, 其藏堅固, 瀉不能容也,
容之則心傷, 心傷則神去, 神去則死矣.故瀉之在於心者皆在於心之包絡,
包絡者心主之脈也.故獨無輸焉,其餘脈出入屈折,其行之徐疾,
皆如手少陰心主之脈行也,故竇漢卿孔穴傍通圖,
心經不出少衝 少府 神門 靈道 少海而代以中衝 勞宮 大陵 間使 曲澤則可知矣(綱目)

심은 5장 6부에서 가장 주되는 장기이며 정신이 있는 곳이다.
심은 든든하여 사기가 잘 들어가지 못하는데 만일 사기가 들어가면

심이 상하고 심이 상하면 정신이 없어지며 정신이 없어지면 죽는다.
그러므로 모든 사기가 심에 있다는 것은 곧 심포락(心包絡)에 있다는 것이다.
심포락은 심주(心主)의 맥이다.
그러므로 심경만 유혈이 없다.
이밖의 경맥들은 나가고 들어가는 것, 구부러진 것, 돌아가는 속도가 뜨고 빠른 것이다 

수소음심경과 같다.
그러므로 [두한경]의 공혈방통도(孔穴傍通圖)에는 심경이 소충(少衝), 소부(少府), 

신문(神門), 영도(靈道), 소해(少海)로부터 시작한 것으로 하지 않고 중충, 노궁, 대릉, 

간사, 곡택에서 시작한 것으로 한 것을 보면 능히 알 만하다[강목]. 

'[鍼灸篇] > [手厥陰心包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郄門穴][극문혈]   (0) 2018.07.11
[曲澤穴][곡택혈]  (0) 2018.07.11
[天泉穴][천천혈]   (0) 2018.07.11
[天池穴][천지혈]   (0) 2018.07.11
[腧府穴][유부혈]  (0) 2018.02.16

[足少陰腎經流注] [족소음신경유주]



足少陰之脈 起於小指之下 斜趨足心(涌泉穴) 出然骨之下(然谷穴)
循內踝之後(太谿穴)別入跟中(太鐘穴)理想腨內(復溜穴)出膕內廉(陰谷穴)
上股內 後廉貫脊 屬腎絡膀胱 其直者從腎上貫肝膈入肺中 循喉嚨挾舌本
其支者 從肺出絡心注胸中(自此交入手心主入)

족소음경맥은 새끼발가락 밑에서 시작하여 발바닥 가운데(용천혈)로 비스듬히 가서

연골(연곡혈) 나가 안쪽 복사뼈의 뒤(태계혈)에 갔다가 발꿈치 가운데(태종혈)로 갈라져

들어갔다가 장딴지 속(부류혈)으로 올라가 무릎 안쪽(음곡혈)으로 나와 허벅지 안쪽 뒤

변두리로 올라가 등뼈를 뚫고 신에 속하는 방광을 얽었다.
그 바로 가는 가지는 신에서 갈라져 간과 가름막을 뚫고 올라가 폐에 들어갔다가

울대를 따라 혀뿌리에 갔다.
다른 한 가지는 폐에서 나와 심을 얽고 가슴속으로 들어갔다.

(여기서 수소음경맥과 심포락경맥에 연결되었다).
是動則病 飢不欲食 面黑如炭色 咳唾則有血 喉鳴而喘 坐而欲起 䀮䀮如無所見
心懸若飢狀, 氣不足則善恐 心惕惕若人將捕之 是謂骨厥 是主腎.

시동병(是動病)은 배가 고프면서도 먹고 싶지 않고 얼굴빛이 숯처럼 거멓고 기침을 하면서

가래를 뱉는데 피가 섞여 나오고 목에서 소리가 나고 숨이 차며 앉았다가 일어서면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배고픈 것과 같이 가슴이 쓰리다. 기가 부족하면

무서움을 잘 타고 가슴이 뛰며 누가 자기를 잡으러 오는 것과 같은 감을 느끼는데

골궐(骨厥)이라고 한다.
이것은 주로 신과 관련된 병이다.
所生病者 口熱 舌乾 咽腫 上氣 嗌乾及痛 煩心 心痛 黃疸 腸澼 脊臀 股內後廉痛
痿厥 嗜臥 足下熱而痛, 灸則强食生肉(勉强飮食以生肌肉) 緩帶被髮
大杖重履而步 盛者寸口脈大二倍於人迎 虛者寸口反小於人迎也(靈樞 經脈 第十)

소생병(所生病)은 입 안이 달고 혀가 마르며 목이 붓고 기가 치밀어 오르며 목 안이 마르고

아프며 가슴이 답답하고 아프며 황달과 이질이 생기고 등뼈, 엉덩이, 허벅지 안쪽,

뒤 변두리가 아프며 다리에 힘이 없고 차며 눕기를 좋아하고 발바닥이 달면서 아프다.

뜸을 뜨면서 음식을 억지로 먹어 살이 오르게 한다(음식을 억지로 먹으면 살이 오르게 된다).
허리띠를 늦추고 머리를 풀어 놓으며 큰지팡이를 짚고 무거운 신을 신고 걸어다녀야 한다.

이 경맥의 기가 실할 때에는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2배나 크며 허할 때에는 촌구맥이 도리어 인영맥보다 작다[영추].
酉時自至陰與涌泉 循膝上行 至肓腧府穴止(入門)
이 경맥의 경기는 유시(17-19시)에 지음혈(至陰穴)과 용천혈에서 시작하여

무릎을 따라 위로 올라가 가슴에 이르러 유부혈에 가서 끝난다[입문].
少陰根又涌泉 結于廉泉[靈樞]
족소음경맥은 용천혈에서 시작하여 염천혈(廉泉穴)에 가서 끝났다[영추].


'[鍼灸篇] > [足少陰腎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泉穴][수천혈]  (0) 2018.07.09
[太鐘穴][태종혈]  (0) 2018.07.09
[太谿穴][태계혈]   (0) 2018.07.09
[然谷穴][연곡혈]   (0) 2018.07.09
[涌泉穴][용천혈]  (0) 2018.02.16

+ Recent posts